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보” 에 대한 검색결과 2,16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16)

사전(461)

  • 김경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의 유보(遺譜)인『()』(일명 芳山韓氏)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곳곳에서 멋있고 흥에 넘치는 가락으로 연주하였는데, 그는 이것을 ‘흥치’라고 불렀다. ‘흥치’ 또는 ‘해탄(解彈)’이라는 말은 원곡 가락에서 벗어난 변주의 한가지라고 할 수 있다.
  • 여창지름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반가웁다 님의소식 약수(弱水) 삼천리 네 어이 건너온다 우리 님 만단정회(萬端情懷)를 네 알가 하노라 『서(西)』에 「여창지름시조」에 해당하는 악보가 전한다. 『시조음악론』(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73...
  • 구라철사금자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 이규경(李圭景)이 엮은 양(洋). [내용] 1책. 사본. 유럽의 철사로 된 금(琴), 즉 양금의 악보라는 뜻이다. 차례 중 첫째의 창래조(刱來條)에는 “정축년 봄에 전악문명신(典樂文命新)이 이 악보를 강작(講作)하였다....
  • 지름시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평시조에서 변형시킨 곡조이다. 즉,「두거」는 머리를 높이 드러낸다는 뜻인 것과 같이 지름시조도 초장 처음을 높은 소리로 질러내기 때문에 두거시조(頭擧時調)라고도 하며, 『삼죽(三竹)』에서는 소이시조(騷耳時調)라고도 하였다. 음계는 평시조가 황(黃)‧중(仲...
    이칭별칭두거시조(頭擧時調)|소이시조(騷耳時調)
  • 초중대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작(新作)』‧『삼죽(三竹)』등의 옛 악보에 기록된「중대엽」의 첫 곡. [내용] 『백운암(白雲庵)』‧『신증(新證)』‧『한금신보(韓琴新譜)』‧『어은보(漁隱譜)』‧『낭옹신보(浪翁新譜)』등에 기록된「중대엽」제1과...

고서·고문서(1,344)

  • 夢金浦打令 몽타령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4299 잡가 악부[고대본] 16001 1930년경 이용기 필사본 夢金浦打令 몽타령 [233] 長山串 말누에 북소 나드니 今日도 相逢에 헤이에헤야 님 맛 보겟네 아하아 에헤 에헤이에헤야 나혼자 살나 갈 길은 멀구요 行般은 더듸...
    구분잡가 | 편저자이용기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99년_대대면(大代面) 1699년 대대면(大代面) 第二十一仇未里 8 第八統統首折 統第一戶 金所乙伊今故代子府案付能櫓軍良人折年參拾庚戌本蔚山父良人所乙伊祖良人注叱之曾祖彦男外祖良人金 善金本金海妻私婢楚玉年貳拾柒丙午本蔚山父朴今山祖儀山曾祖山卜母私婢介萬外...
    연도_면이름1699년_대대면(大代面) | 면이름대대면(大代面) | 마을이름第二十一仇未里
  • 4 第四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789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六東部里 4 第四統統首才 第一戶 營鹽汗才年伍拾壹己未本金海父正兵貴卜祖正兵英白曾祖石乙立外祖金自里本金海妻金召史年肆拾陸 甲子本慶州父世根祖萬郁曾祖道成外祖正兵李春奉本慶州率女年參丁未等丙午戶口...
    연도_면이름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六東部里
  • 개조도감의궤(改造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5년(숙종31)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의 ()와 관련 기물들을 개수(改修)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종묘와 영녕전에는 역대 왕과 왕후들의 신주(神主) 뿐 아니라 와 옥책(玉冊) 등도 함께 봉안하였다. 그런데 세월의 흐...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개조도감추보의궤(改造都監追補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05년(숙종31) 태조(太祖)의 비 신의왕후 한씨(神懿王后 韓氏)와 태조의 사조(四祖: 穆祖, 翼祖, 度祖, 桓祖) 및 그 비들의 ()를 제작하여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에 각각 봉안(奉安)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이 해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구술자료(8)

  • 강도근 흥보가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상태가 좋지 않아 들리지 않음 (중중모리)땡그랑 땡그랑 땡그랑 땡그랑 때댕 땡그랑 땡그랑 땡 (중중모리)때댕그 때댕그 땡그랑 땡그랑 댕그랑 땡 댕그랑 땡 (진양조)둘째 통을 내려놓고 당그여라 톱질이야~은화가 나오게 되면 형님*~* *~*테이프 상태가 좋지 않아 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도근
  • 강도근 흥보가 현장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상태가 좋지 않아 들리지 않음 (중중모리)땡그랑 땡그랑 땡그랑 땡그랑 때댕 땡그랑 땡그랑 땡 (중중모리)때댕그 때댕그 땡그랑 땡그랑 댕그랑 땡 댕그랑 땡 (진양조)둘째 통을 내려놓고 당그여라 톱질이야~은화가 나오게 되면 형님*~* *~*테이프 상태가 좋지 않아 들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득수
  • 호랑이 털이 얼룩덜룩한 이유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코끼리 이런 거 다 나와요. 그러니까 옛날에 약간, 그 넓구, 지다 훨씬 더 넓구 남쪽으로 좀 더 많이 들어가 있구. 그래서 동물들이 있었을 것이다. 이렇게 생각, 그런 설명도 있구. 또, 문화적으로도 불교나 이런 거 많아서, 옛날부터 들어와서 인도나 그쪽으로 사람
    국가몽골 | 제보자멀얼게렐 [몽골, 여, 1983년생, 결혼이주 1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수 없거든요. 그 예전에 지다 특히. 그래서 절대 안 되니까 열두 살 아이가 이제 인생이 끝난 거예요. 그래서 그 여자애도 “저도 같이 장례식 갈 거예요. 남편 따라갈 거예요.” 해서 얘기하고 갔는데 그날 비 엄청 내리는 거예요. 그래서 같이 갔던 사람들 “오늘
    국가인도 | 제보자파드마바티차크라바르티 [인도, 여, 1992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던 노래가 지면 고향초. 그때도 의용군 들이 있었으니까. 노래들 다 재간도 좋죠. 노래 그때 고향초도 들었고 귀곡성. 그땐 동백아가씨는 못 들었어요. 그땐 동백아가씨는 못 듣고. 내가 그때 고향초하고. 고향초 들으면서 ‘야아 노래 참 좋구나.’ 하고 들었던 적이 있
    조사지역서울 | 조사일2013년 4월 30일

기초학문(32)

  • 호에 대한 헌법적 명령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진곤, 게재일 : 2015
    59247 김진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헌법학회 2015 임호에 대한 헌법적 명령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호한도와 시장규율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호, 게재일 : 2017
    61129 이진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FP학회 2017 예호한도와 시장규율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신용위험모형을 이용한 적정예험기금 규모의 추정과 예험료율체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선애, 게재일 : 2006
    29082 전선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금융학회 2006 신용위험모형을 이용한 적정예험기금 규모의 추정과 예험료율체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경기 예측에 따른 현유수준 조정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지윤, 게재일 : 2015
    63476 박지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기 예측에 따른 현유수준 조정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기업의 예비적 현유가 경기침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빈기범, 게재일 : 2014
    53011 빈기범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재무관리학회 2014 기업의 예비적 현유가 경기침체에 미치는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178)

  • 민세안재홍전집 : 本書에奇한諸氏序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776 1932 4 15 1 1 安在鴻 안재홍 本書에奇한諸氏序文 잡지 삼천리 25호, 4권4호 광고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丁抹體操法,榮 B19320415삼천01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李氏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궁부 검샤국쟝 리봉씨가 계동 보흥학교에 경비 군죨다 말을듯고 금화 오십원을 연죠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7월 5일 | 기사분류잡보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出(-) 원산 出 - 旭町2 - - 요리옥,음식점,카페 - 8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寶出(-)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요리옥,음식점,카페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榮(金光時計鋪 ) 수원 榮 金光時計鋪 仁溪町 756 - - 시계/안경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輔榮(金光時計鋪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시계/안경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京城商議 消費塡策 結局借金運用乎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
    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매일신보 京城商議 消費塡策 結局借金運用乎 1931년 4월16일 서울 서울 경성상공회의소에서 특별의원들에게 20만원을 차입(...
    대표표제어京城商議 消費金補塡策 結局借金運用乎 | 연월일1931년 4월16일 | 지역서울

기타자료(93)

  • ;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4842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3면 (학과)본과신제도 최;崔 4회 192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崔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8580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회원명부 1939―12―20 53면 (학과)본과신제도 최;崔 4회 1926년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보;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4945 남한 전남 광주제일고등학교 2-08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대장(1925-1941) n.r. 70면 16. 제16회 졸업자 90명 1940년 3월 25일(5년제) 김보; 광주
    학교소재지역전남 | 학교명광주제일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보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251 미국 미상 학교(집합) 우라키 류미학생총회10주년 기념호 1930―06―14 151면 김보배;
    학교소재지역미상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보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36727 남한 경성 정신여학교 1-40 貞信 창간호(貞信女學生基督敎靑年會) 1935―03―20 88면 1. 졸업생상황(1935년 1월 조사) 김보패;貝 평북도;奉天 21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정신여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42)

  • / [종교·철학/유학]

    1521(중종 16)∼1584(선조 17). 조선 중기의 학자. 아버지는 첨지중추부사 금원수, 어머니는 안동김씨로 장령 김영수의 딸이다. 이숙량·오수영과 더불어 삼절이라 불리었다. 저서로는『사서질의』·『심근강의』·『가선휘편』·『사례정변』·『사례기문』등이 있었으나 병화에

  • / [정치·법제]

    금으로 제작된 왕과 왕비의 의식용 도장. 왕과 왕비의 도장인 어보(御寶)는 재질에 따라 와 옥보로 구분된다. 는 왕과 왕비의 시호, 존호, 묘호, 휘호 등을 새기며 주로 거북이 혹은 용이 조각되어 있다.

  • 가곡 / 歌曲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가곡과 기악곡의 반주곡을 수록한 악보.거문고악보·양금악보. 인천의 거문고 풍류객이었던 김태영(金兌英)에 이어 이세환(李世煥, 2020년 별세)이 소장하였다. 한글로 표기된 거문고 육보(肉譜)이며, 일부 악곡에는 양가 병기되었다.공책에 철필로 적은 것으로

  • 강외 / 江外 [예술·체육/국악]

    표지명은 ‘()’이며 소장처에 따라 ‘강외’라 칭하게 된 것이다. 수록악곡은 「우조초편(羽調初篇)」·「우조제이편(羽調第二篇)」·「우조제삼편(羽調第三篇)」·「계면조제이편(啓眠調第二篇)」·「계면조제삼편(啓眠調第三篇)」·「계면조농가(界面調弄謌)」·「우조낙시조(羽調

  • 가 /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속기아(續箕雅)』 및 『장편가집(長篇歌集)』에 실려 있다. 4음보를 1행으로 헤아려 모두 65행이다. 내용은 태평성대의 올바른 음악이었던 순금(舜琴)을 찬양하고, 그 거문고의 갖춤새와 성률을 도덕적인 견지에서 부연 설명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