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립과”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2)
- 금립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조선 시대 노부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금립과(金立瓜)는 나무로 외[瓜]의 모양을 만든 후 도금하고 붉은 칠을 한 자루에 세워서 붙인 의장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사용된 의장이며 국왕의 대가 의장(大駕儀仗)에 금립과 2개, 법가 의장(法駕儀仗)에 2개, 기우제 소가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금립과(金立瓜)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립과 금립과 金立瓜 가례(嘉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왕실왕실의례/예기 물품 도구 대한민국 조선 허태구 의장용(儀仗用) 주칠봉(朱漆棒),...상위어가례(嘉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 모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金粧刀二銀盂子一銀灌子一銀立瓜二金立瓜二銀橫瓜二金橫瓜二毛節四內二仍修補銀鉞斧二金鉞斧二雀扇六內四仍修補二新造, (책례1651/061ㄴ02~04)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은월부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의장(儀仗)의 한 가지. 용이 도끼를 물고 있는 모양으로 만든 나무 도끼에 은으로 칠하여 붉은 칠을 한 장대를 꿰었다. 금칠을 한 것은 금월부라 한다. 一本房次知前排儀仗各樣油雨備及各樣凶儀仗等油雨備竝爲取來看審則靑紅蓋各二部銀鉞斧金鉞斧各二部銀金鐙各二部銀金立瓜各二部,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이년목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목재질이 튼튼하고 가벼우면서도 탄력이 있어, 각종 의례용 병장기나 의장(儀仗) 등 다양한 용도로 쓰였던 가시나무과 수목의 하나. 책례(冊禮)에서 의례용 금월부(金鉞斧)와 은등(銀鐙), 일산(日傘), 금립과(金立瓜), 장죽(仗竹), 의장(儀仗) 등의 자루감, 교자(轎子...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주제어사전(2)
-
금립과 / 金立瓜 [정치·법제]
조선 시대 노부 의장에 사용되는 기구. 금립과는 나무로 외[瓜]의 모양을 만든 후 도금하고 붉은 칠을 한 자루에 세워서 붙인 의장이다. 조선시대에 들어와 사용된 의장이며 국왕의 대가 의장에 금립과 2개, 법가 의장에 2개, 기우제 소가 의장에 1개가 사용되었다. 왕
-
금횡과 / 金橫瓜 [정치·법제]
금색을 칠한 참외 모양의 의장. 나무로 만든 참외 모양의 표면에 금칠을 하고 붉은 장대 위에 가로로 꽂았다.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대가가 움직일 때 은립과ㆍ금립과 다음에 금횡과 2개와 은횡과 4개를 좌우로 나누어 은교자 위에 올려놓고 따라간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