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동향로”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기도문화재대관(京畿道文化財大觀)』(경기도, 1995) 경기도 화성군 태안읍 송산리 용주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 높이 40㎝.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중국 명나라에서 전래되어 궁중에서 사...
    이칭별칭용주사금동향로 | 연계항목금동향로(金銅香爐)
  • 선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하는 장식의도를 엿볼 수 있다. 몸체 밑부분에 일부 푸른 녹이 피어나긴 했지만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한 이 향로는, 현재 로 지칭되고 있으나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고배형 청동제 은입사 향로이다. 비록 자체에 조성 연대를 알려주는 명문이 남아 있지 않아...
    연계항목선암사금동향로(仙岩寺金銅香爐)
  • 익산 미륵사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보물 제1753호.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향로.
    정의보물 제1753호. 전라북도 익산시 미륵사지에서 출토된 향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Iksan Mireuksaji Geumdong Hyangno | MR표기Iksan Mirŭksaji Kŭmdong Hyangn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용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1호인 , 제12호인 청동향로, 제13호인 상량문, 제14호인 전적수사본(典籍手寫本), 제15호인 병풍, 제16호인 대웅전 후불탱화, 제17호인 동판‧석판‧목판의 불설부모은중경판(佛說父母恩重經板) 등이 있다. 『전통사찰총서...
  • 청동향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조가 부왕(父王)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침(園寢)을 경기도 양주(楊州)에서 화산(華山)으로 옮겨 장사하고 자복사(資福寺)로서 용주사를 창건한 뒤 와 함께 이곳에 하사한 것이라 한다. 8각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각면에는 안상(眼象)으...
    이칭별칭용주사청동향로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공예]

    경기도 화성시 태안읍 송산리 용주사(龍珠寺)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로. 높이 40㎝.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1호. 중국 명(明)나라에서 전래되어 궁중에서 사용하던 것을, 조선시대의 정조가 그의 부왕(父王)인 장헌세자(莊獻世子)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원침(園寢)을 양주(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