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동보살입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관음좌상
-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 금동여래입상
- 금동보살반가상
연구성과물(42)
사전(37)
- 금동보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文化財大觀 1-國寶 1-(韓國文化財保護協會, 大學堂, 1986) 금동보살입상 통일신라시대의 전형적인 보살상. 전체적인 균형은 잡혀있지만 주조기법이나 조형상에 있어서 약간 딱딱한 느낌을 풍기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연계항목금동보살입상(金銅菩薩立像)
- 금동보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銅如來‧金銅菩薩立像 發見始末(姜仁求, 考古美術 129‧130, 1976)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 경북 구미시 고아면 봉안2동에서 출토된 고신라시대의 보살상. 삼국시대 말기 금동보살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보여주고...이칭별칭선산출토금동보살입상
- 금동보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신라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32㎝. 국보 제184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976년경상북도 구미시 고아면 봉한2동 산에서 사방공사를 하던 중, 다른 금동보살입상 1구(국보 제183호),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1구와이칭별칭선산출토금동보살입상
- 금동보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보(國寶) 2 -금동불(金銅佛)‧마애불(磨崖佛)-』(황수영 편, 예경산업사, 1984) 『한국조각사(韓國彫刻史)』(문명대, 열화당, 1980) 금동보살입상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 높이 34㎝. 국...
- 금동보살입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보살상은 부여의 군수리사지(軍守里寺址) 출토 금동보살입상이나 평양의 원오리사지(元五里寺址)에서 나온 흙으로 빚은 이조(泥造)보살상들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천의가 양쪽으로 뻗쳐 있는 모습이나 조각의 표현이 간략화된 점 등에서 삼국시대 보살상의 초기양식을 이어...이칭별칭거창출토금동보살입상
고서·고문서(1)
- 금동보살입상 [일제침략기 한국 관련 사진그림엽서(繪葉書)의 수집·분석·해제 및 DB 구축 | 동아대학교]2293 P-SDK-02293-P-B-08-05 P-SDK-02293-P-B-08-05-1 P-SDK-02293-P-B-08-05-2 금동보살입상 金銅菩薩立像 금동보살입상의 모습을 인쇄한 엽서 불상엽서 봉투 있음. 8매 세트. 사제엽...자료명금동보살입상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기타자료(4)
- 김해 덕산리사지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같은 시설이 있다. 그 외 건물지 1의 남쪽으로는 목주열, 북동쪽에서는 폐와무지가 확인되었다. 하층에서는 주혈과 석렬 등이 확인되었다. 유물은 상층에서는 금동여래입상ㆍ금동보살입상ㆍ금동경패ㆍ금동판불ㆍ소조불ㆍ연화문 수막새ㆍ당초문 암막새ㆍ고려도기ㆍ고려청자ㆍ분청사기 등이...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경상남도
- 월아산 청곡사 삼층석탑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에서 7점의 금동불이 출토되었다. 10cm 내외의 소형불상으로 입상(立像) 형태이며 대부분 신체 일부가 결실되었다. 금동여래입상이 5점, 금동보살입상이 2점이다. 주조방법은 무구식(無垢式)과 중공식(中空式)이 모두 보이며, 제작 시기는 8세기, 9세기, 고려시대에 해당...발행연도2000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진주시 | 발굴지역경상남도
- 청주 운천동사지 발굴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나타내 준다. 청주시 운천동사지는 시내에 위치한 평지가람으로서 1970년 4월에 동종, 청동금고, 금동보살입상, 향완등의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알려진 사찰지인데 인근에서 발견된 신라사적비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사적비여서 더욱 이 사지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할...발행연도1985 | 발굴기관청주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 거창임불리천덕사지(附 합천계산리고분군)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청자개 아.흑유자기 및 청자광구곤 자.토제소탑 3.금속유물 가.불상 ①금동보살입상 ②금동여래입상 ③금동여래두부편 ④금동불수편 나.금동탑 ①금동탑 상륜부 ②금동탑 상륜부 다.불좌 라.금동풍탁 마.동종 바.동전 사.동제 소탁 아.동제 파수 자.동제 시저편 차.금구류 카....발행연도1987 | 발굴기관부산여자대학박물관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1)
-
금동보살입상 / 金銅菩薩立像 [예술·체육/조각]
조금 드러나 보이기는 하지만, X자형으로 교차한 영락(瓔珞)이라든가 좌우로 뻗친 옷자락 등은 백제 군수리사지 출토 금동보살입상과 매우 닮은 모습이다. 따라서, 조성시기는 6세기 3·4분기나 말경으로 추정되며, 출토지가 확실한 삼국시대 보살상으로서 신라조각사에서 귀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