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에 대한 검색결과 1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높다. 韓國의 佛像(秦弘燮, 一志社, 1976) 國寶 2-金銅佛‧磨崖佛-(黃壽永 編, 藝耕産業社, 1984) 삼국시대의 보살상. 높이 11.1㎝. 보물 제...
    연계항목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金銅彌勒菩薩半跏思惟像)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50년 사이의 작품으로서 초기 불상양식을 대변하는 반가사유상이라 할 수 있다. 『한국조각사(韓國彫刻史)』(문명대, 열화당, 1980) 삼국시대의 보살상. 높이 9.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신라시대의 보살상. [내용] 높이 27.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면 유산리에서 출토되었다. 전면에 녹이 덮여 있으나 형태는 비교적 완전한 편이다. 출토지가 확실한 신라시대의 반가사유상으로, 반가상연구에 매우 귀중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삼국시대의 금동반가사유보살상. 전체 높이 17cm, 불상 높이 15.5cm, 대좌 넓이 6.7cm. 프랑스 기메박물관 소장.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83호. 삼국시대에 금동으로 만들어진 미륵보살상.
    정의국보 제83호. 삼국시대에 금동으로 만들어진 미륵보살상.[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Geumdong Mireuk Bosal Ban-ga Sayusang | MR표기Kŭmdong Mirŭk Posal Pan’ga Sayus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조각]

    고구려의 보살상. 국보 제118호. 1940년 5월 평안북도 평양시 평천리에서 병기창 공사를 하던 중 출토된 상이다. 전면에 녹이 많이 슬었고 오랫동안 흙 속에서 침식된 흔적이 뚜렷하며, 불에 탄 흔적이 많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