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내학관” 에 대한 검색결과 1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려시대 궁궐 안에 설치하였던 학문기관(學問機關)에 소속된 6개 학관의 총칭.
    정의고려시대 궁궐 안에 설치하였던 학문기관(學問機關)에 소속된 6개 학관의 총칭.[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eumnae hakgwan | MR표기kŭmnae hakkwa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시대의 학관(學官). [내용] 궁궐내에 설치된 학문기관인 비서성ㆍ사관(史館)ㆍ한림원(翰林院)ㆍ보문각(寶文閣)ㆍ어서원(御書院)ㆍ동문원(同文院)에 소속된 학관으로 ‘금내육관(禁內六官)’이라고도 하였다. 또한, 식목(式目)ㆍ도병마(都...
    이칭별칭금내육관|금내구관
  • 어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적을 전관(專管)하는 왕실도서관으로 비서성ㆍ사관(史館)ㆍ한림원ㆍ보문각(寶文閣)ㆍ동문원(同文院)과 함께 ()의 하나였다. 『고려사(高麗史)』
  • 통문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6품 이하직에 있는 40세 미만자를 선발하여 한어(漢語 : 몽고어)를 습득하게 함으로써 통역사무의 질적 향상을 꾀하게 되었다. 그러나 실제 역관으로 현달한 조인규(趙仁規)를 비롯하여 원나라 있는 고려인이나 내주자(來住者)들이 역인으로서 대부...
  • 제술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못하는 사례가 늘었다. 급제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문한관(文翰官)에 무인이 등용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무신정권이나 원나라의 압력으로 문신과 무신의 기능이 혼돈되면서 나타났다. 문한관으로 6국(局)이 있었는데, 문한 6국은 ()이라고도 하였다. 문한...
    이칭별칭사장학

고서·고문서(7)

  • 經史門4_胡服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II) | 청명문화재단]
    胡服 高麗 元宗時, 元 世祖詔許表請六事, 其一卽衣冠從本國之俗. 皆不更易. 至忠烈王四年, 令國內, 服元衣冠. 時自宰相至下僚, 無不開剃, 惟不剃. 左承旨朴恒, 呼執事官諭之, 於是學生皆剃, 蓋畏元也. 至忠肅時, 元欲立行省, 削國號, 懇奏得免. 又至辛禑, 變胡服, 則...
    서명星湖先生僿說卷之二十一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而已,公主又多奪人臧獲,甞以松子人蔘,送江南獲厚利,後分遣宦官求之,雖不產之地,無不徵納,民甚苦之 置通文館,令參外文臣
    서명歷史輯略 | 자료명高麗紀忠烈王
  • 朝鮮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遂廢太妃爲庶人 流琮于海島 【四年】 元宗之世 將軍印公秀勸王效蒙人衣服 元宗曰 吾未忍一朝遽變祖宗之家風 我死之後 卿等目自爲之 及是初令境內皆服元國衣冠 百官無不開剃 惟不剃 王令承宣開諭 於是皆剃頭○王及公主·世子如元 宴慰甚厚 元主曰 人謂朕禁高麗服 豈其然乎 汝國之禮何遽廢哉○王及...
    서명朝鮮歷代史略 | 자료명高麗紀 6
  • 妃與其子順安公琮謀咀呪王,王乃廢太妃爲庶人,流琮于海島 戊寅四年[宋帝昺祥興元年]春二月令國內皆着元衣冠,初元宗之世,將軍印公秀勸王效蒙服,元宗曰吾未忍遽變祖宗家風,我死之後,卿等自爲之,至是始令效之,百官無不開剃,惟不剃,王令承宣朴恒呼執事官開,諭於是學生皆剃頭 先是,大將軍韋得中郞將盧進...
    서명歷史輯略 | 자료명習漢語
  • 東國歷代史略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
    內僚叅官凡舊制內僚之職限南班七品雖有大功只有賞賜○夏五月知僉議府事張鎰卒鎰昌寧人温恭正直前後使元不辱君命諡章𥳑○王與公主幸興王寺公主取寺中金塔入內王禁之不得涕泣而己公主又多奪人臧獲甞以松子人蔘送江南獲厚利後分遣宦官求之雖不產之地無不徵納民甚苦之○置通文館令參外文臣習漢語○六月密直副使金文本...
    서명東國歷代史略 | 자료명高麗紀

주제어사전(1)

  • / [역사/고려시대사]

    고려시대의 학관. 궁궐내에 설치된 학문기관인 비서성·사관(史館)·한림원(翰林院)·보문각(寶文閣)·어서원(御書院)·동문원(同文院)에 소속된 학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