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남정맥”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6)
- 금남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유역을 가름하는 분수령들을 기본정맥으로 삼고 있어 대부분의 그 이름이 강 이름과 관련되어 있다. 이 산줄기는 금강의 남서쪽을 지나므로 금남정맥이라 한 것이다. 금강 상류유역과 만경강유역을 구분짓는 산줄기로 동사면을 따라...
- 산경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으로부터 경기도 및 충청남도 일부 지역을, 금북정맥(錦北正脈)은 송악(松岳 : 온양)으로부터 충청남도 일원을 포함한다. 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은 장안산(長安山 : 長水)으로부터 전라북도 일대를, 금남정맥(錦南正脈)은 계룡산(공주)으로부터 시작하여 충청도 및...
- 금남호남정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결된 주요산은 수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이루...
- 여지편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향산맥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해서정맥‧임진북예성남정맥(臨津北禮成南正脈)‧한북정맥(漢北正脈)‧낙동정맥‧한남금북정맥(漢南錦北正脈)‧한남정맥‧금북정맥‧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금남정맥‧호남정맥으로 나누고 있다. 따라서, 정맥은 하계의 유로와 밀접한 관계가...
- 백두대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錦北正脈)ㆍ금북정맥(錦北正脈)ㆍ금남정맥(錦南正脈)ㆍ금남호남정맥(錦南湖南正脈)ㆍ호남정맥(湖南正脈)ㆍ낙동정맥(洛東正脈)ㆍ낙남정맥(洛南正脈)과 연결되고 있다. 이들 산줄기의 이름은 강줄기의 이름에서 얻어진 것이다. 산과 물이 하나로 자연을 이루고, 언어ㆍ습관ㆍ풍속 등...
주제어사전(2)
-
금남정맥 / 錦南正脈 [지리/자연지리]
주화산(珠華山, 600m)에서 시작하여 왕사봉·대둔산을 지나 계룡산으로 이어지고 부여의 부소산에서 끝나는 산줄기의 옛 이름. 조선시대 우리 조상들이 인식하던 산줄기는 하나의 대간(大幹)과 하나의 정간(正幹), 그리고 13개의 정맥(正脈)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0대강의
-
금남호남정맥 / 錦南湖南正脈 [지리/자연지리]
분현(水分峴, 530m)·팔공산(八公山, 1,151m)·성수산(聖壽山, 1,059m)·마이산(馬耳山, 667m)·부귀산(富貴山, 806m) 등이며, 그 길이가 약 65㎞로 13개 정맥 중 가장 짧다. 금남정맥과 더불어 금강유역의 경계를 이루고, 호남정맥과 더불어 금강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