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난전권” 에 대한 검색결과 4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4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부터의 자신들의 이익 보호, 난전의 설치 금지권 등을 부여하였다. 특히, 서울 및 성저십리 지역 안에서 난전의 설치를 규제하는 은 대표적인 특권이었다. 원래 난전이란 전안(廛案 : 숙종 32년부터 실시된 제도로, 시전에서 취급하는 물종과 상인의 주소‧성...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육의전(六矣廛)이나 시전상인(市廛商人)이 난전(亂廛)을 금지시킬 수 있었던 권리.
    정의조선 후기 육의전(六矣廛)이나 시전상인(市廛商人)이 난전(亂廛)을 금지시킬 수 있었던 권리.[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mnanjeon-gwon | MR표기kŭmnanjŏn’gw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평시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대체로 물가를 통제, 조절하고 상도의(商道義)를 바로잡는 일이 그 주된 업무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이 강화된 뒤에는 각 시전의 전안물종(廛案物種)을 결정하고 그것의 전매권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통공정책(通共政策)의 실시에 있어...
  • 금난전(禁亂廛)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든 상황에서 청나라에 바쳐야 하는 세폐(歲幣) 부담 등의 세출은 점점 확대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에서는 상인들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였고 이에 정부와 시전상인의 상호 필요성에 따라 일종의 대상(代償) 관계로 이루어진 것이 바로 이다. 은 서울...
    상위어상업(商業) | 동의어도고권(都賈權) | 관련어시전(市廛), 육의전(六矣廛), 신해통공(辛亥通共)
  • 신해통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일반 시전상인들만의 상행위 활동을 배타적으로 제한한 권한)을 폐지하여 비시전계(非市廛系) 상인들의 활동을 용인한 상업정책이다. 조선 후기 상업의 발달 과정에서 육의전을 비롯한 시전상인들에게 이 부여되어 이들이 상품의 전매권을 장악하고...

주제어사전(4)

  • /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육의전이나 시전상인이 난전을 금지시킬 수 있었던 권리. 국역을 부담하는 육의전을 비롯한 시전이 서울 도성 안과 성저십리(城底十里) 이내의 지역에서 난전의 활동을 규제하고, 특정 상품에 대한 전매 특권을 지킬 수 있도록 조정으로부터 부여받았던 상업상의 특권이

  • 신해통공 / 辛亥通共 [경제·산업]

    1791년 조선 후기의 문신 채제공의 건의로 시행된 통공발매정책. 조선 후기에 육의전을 제외한 일반시전이 소유하고 있던 을 폐지하여 비시전계 상인들의 활동을 용인한 상업정책이다. 이 정책을 통해 도시빈민층과 영세상인 및 소생산자가 보호받을 수 있었고, 상업의

  • 송파시장 / 松坡市場 [지리/인문지리]

    광주유수부에 소속되어 ()이 미치지 못하였던 점도 중요하다.

  • 평시서 / 平市署 [정치·법제/법제·행정]

    일이 그 주된 업무였다. 그러나 조선 후기에 이르러 이 강화된 뒤에는 각 시전의 전안물종을 결정하고 그것의 전매권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통공정책의 실시에 있어서도 그 실제업무를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