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군장”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4)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軍三廳)으로 호칭되는 한편 종2품의 금군별장(禁軍別將) 1, 2인을 두어 금군을 총지휘하는 체제로 변화하였다. 당시 은 정3품 관직으로 격하되어 금군별장의 밑에 소속되었고, 정원에는 변화가 없었다. 금군청은 1755년(영조 31)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
  • 천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內外將)을 거친 자로 임명되고, 임기는 1년이었으며, 내금위장(內禁衛將) 등의 ()이 옮겨오는 경우가 많았다. 법전상으로 천총이 있던 군영을 보면,『속대전』에 훈련도감 2인, 금위영 4인, 어영청 5인, 수어청 2인, 총융청 2인이 있었고,『대전통편(...
  • 이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무과에 급제, 선전관을 거쳐 비변사낭관ㆍ사재감첨정(司宰監僉正)ㆍ평안도절제사ㆍ()ㆍ방어사를 지냈고, 해남현감 및 덕원ㆍ곡산ㆍ회령 등의 부사와 옥천군수ㆍ정주목사 등 수령으로 치적을 남겼고, 전라도수사와 황해도ㆍ경상도ㆍ함경도의 병사를 거쳐 어영청 중군의 부총관으로...
    이칭별칭 여욱(汝旭)
  • 기사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상으로 임명되었으며 교대연한은 1년이었다. 특히, 금위영의 경우 설치 초기에는 없었으나 기병부대인 별효위(別驍衛)가 향기사(鄕騎士)로 개편된 1746년(영조 22) 전에 별효위를 관장하던 좌부의 초관(哨官)을 ()의 예에 의하여 기사장으로 개칭, 승격시키는...
  • 이기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衷將軍)으로 품계가 올라 ()이 되었고, 이어 수별장(首別將)이 되었다. 1629년 위원군수로 나갔다가 읍민이 채삼(採蔘)한 사건으로 파직되고, 곧이어 호위별장(扈衛別將)ㆍㆍ오위장(五衛將)ㆍ군문천총별장(軍門千摠別將) 등을 지냈다. 그...
    이칭별칭 희열(希說)| 양의(襄毅)

고서·고문서(46)

  • 16234 B016234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年 2月 15日_022 ○李潗, 以兵曹言啓曰, 因江華府別遣御史李秉常陳達, 金夢魯, 以軍官帶去事, 定奪矣。 異於他職, 在前奉命之臣, 雖有陳稟帶去之例, 而率皆遞改, 金夢魯依前姑爲改差, 使之往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0110 B010110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43年 7月 3日_013 ○以承傳色口傳下敎曰, 崇禮門仍留, 江都去聞來到, 則入之後下鑰, 闕門, 亦待下敎, 下鑰。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509 B038509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年 9月 21日_008 ○兵批啓曰, 多大浦僉使,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未準朔, 竝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655 B038655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31年 11月 14日_022 ○又啓曰, 多大浦僉使, 今當差出, 而擬望之人乏少, 未準朔幷擬, 何如? 傳曰, 允。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裹米分給, 而未及來待者, 使其同類傳給。 上曰, 濟民持來者, 或有唐柚子耶? 濟民等曰, 唐柚子所載船, 漂風未到矣。 上曰, 濟民漂風者, 方傳諭三南求得, 汝等歸見漂風人家屬, 傳此遍求之由, 使識予意, 可也。 上曰, 入直宣傳官入侍。 出傳敎 仍下敎曰, 俄已下標信, , 率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

  • /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내금위·겸사복·우림위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경국대전≫에는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우림위장 각 2인을 두었다. 당시 은 정

  • 이휘 / 李暉 [종교·철학/유학]

    1655(효종 6)∼1723(경종 3). 조선 후기의 무신. 아버지는 정준, 어머니는 이희재의 딸이다. 작은아버지 세화에게 수학하였다. 무과급제, 선전관을 거쳐 비변사낭관·사재감첨정·평안도절제사··방어사를 지냈고, 해남현감 및 덕원·곡산·회령 등의 부사와 옥천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