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7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41)
사전(404)
- 금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親衛軍). [내용] ≪고려사≫에 따르면, 고려 현종 때 왕의 친위병으로 금군이 있었던 사실은 확인되나, 자세한 것은 알 수 없다. 조선시대 금군으로는 1407년(태종 7) 10월 종래의
- 금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중국 정부 및 황실을 호위하던 정예군정의중국 정부 및 황실을 호위하던 정예군 | 문광부표기Geumgun | MR표기Kŭm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금군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親衛軍).정의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親衛軍).[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mgun | MR표기Kŭmg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禁軍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H3_J_0008 禁軍 군제 內禁衛, 司僕, 羽林衛, 材官, 蹶張, 虎賁, 彍騎, 簡選, 風彩者, 入侍, 識理者, 勇敢者, 騎曹郞官, 完議可否, 門地, 身長, 武藝, 赳赳, 壯勇, 軍功, 納粟, 庶賤雜類, 除授, 才藝文, 冗雜 前朝, 本朝, 亂後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금군(禁軍)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금군 금군 禁軍 친위군(親衛軍) 금군청(禁軍廳), 겸사복(兼司僕),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용호영(龍虎營),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 정치군사·국방/편제 집단 기구 대한민국 고려~조선 노영구동의어친위군(親衛軍) | 관련어금군청(禁軍廳), 겸사복(兼司僕), 내금위(內禁衛), 우림위(羽林衛), 용호영(龍虎營),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
고서·고문서(892)
- 유마금군 발기(有馬禁軍件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발기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발기
- 2 第二統統首金君弼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10년_동면(東面) 1810년 동면(東面) 第六鹽浦里 2 第二統統首金君弼 第一戶 牧子軍金君弼年陸拾捌癸亥本金海父介秋祖於金二祖不知妻金召史年陸拾 壹庚午本金海父龍國祖仲泰曾祖以仁外祖金尙寶本金海子牧子軍邦五年 貳拾柒甲辰女年拾伍丙辰等丁卯戶口相准 第二戶 牧子軍...연도_면이름1810년_동면(東面) | 면이름동면(東面) | 마을이름第六鹽浦里
- 醉默窩金君墓碣銘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七○別集 潘南朴趾源美齋著 鍾北小選○墓碣銘 醉默窩金君墓碣銘 醉默窩金君墓碣銘 醉默…碣銘 : ‘창초’에는 ‘纖悉’이라는 제하평이 있음. 某嘗客[遊 遊 : 저본에는 빠져 있으나 ‘산5’, ‘계서’, ‘동양’, ‘영남’, ‘자연’, ‘한씨’...대표표제어醉默窩金君墓碣銘 | 목차鍾北小選○墓碣銘
- 고생원금군묘갈명(故生員琴君墓碣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전기-묘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묘문 | 현소장처안동 하회 풍산유씨 충효당
- 금사_金史44 志25 兵志 禁軍之制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1042 중국 정사 금사 지 013 인종(仁宗) 10 1132 金史44 志25 兵志 禁軍之制 (太宗天會) 十年 改南京路都統司為東南路都統司 治東京以鎮高麗 後又置統軍司于大名府 及海陵天德二年八月 改諸京兵馬都部署司為本路都總管府 九月 罷大名...국가중국 | 서명금사 | 왕대인종(仁宗) 10
신문·잡지(37)
- 金君三(-)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君三(-) 해주 金君三 - 茄佐面 翠野里 - - 곡물판매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君三(-)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곡물판매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金君範(-)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君範(-) 개성 金君範 - 南本町 83 - - 금전대부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君範(-)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금전대부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金君鋈(金山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君鋈(金山商會) 신의주 金君鋈 金山商會 彌勒洞 147 - - 도매업 - 8 곡물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君鋈(金山商會)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도매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金君鋈(金山商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君鋈(金山商會) 신의주 金君鋈 金山商會 彌勒洞 147 - - 도매업 - 8 곡물 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金君鋈(金山商會) | 지역신의주 | 품목- | 영업종목도매업 | 자료출처新義州商工人名錄, 1938년
- 警廳移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각군 폐지 영문이 다 공허지라 경시텽을 광화문 젼 삼군부로 이다 말은 이왕긔 얏거니와 환산춍감은 방금군부대신과 교셥즁이라더라게재일1907년 9월 6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8)
- 김군식;金君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766 북한 평남 숭실학교 3-05 회원명부(1938년 9월調) 牟義理 숭실교우회 1938―10―15 48면 1. 숭전·숭실 졸업생;1) 가行部 김군식;金君植 안악군 용문면 토덕리 358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숭실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군례;金君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3877 북한 평남 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3-10 正義 창간호 1934―03―08 141면 1. 동창회원록;7) 제7회 졸업생 1929년도 합계 52명 김군례;金君禮 충남 공주군 공주면 상반정...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정의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군태;金君泰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464 남한 충남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졸업증서교부부(1925년도 이후) n.r. 115면 12. 제25회 졸업생 김군태;金君泰 1939년 3월 3일학교소재지역충남 | 학교명충청남도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군실;金君實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373 남한 제주 제주농업학교 2-46 회원명부(1930년 3월 현재) 1930―03 2-11면 김군실;金君實 정의면 삼달리 제9회 1919년 3월25일학교소재지역제주 | 학교명제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김군섭;金君燮;금송광웅;金松光雄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6603 남한 경성 경복중학교 소화19년 4월 현재 동창회 회원명부 1944 115면 김군섭;金君燮;금송광웅;金松光雄 抱川郡 내면 구읍리 217 제16회 1941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복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조선후기 무관직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정해은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9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8)
-
금군 / 禁軍 [정치·법제/국방]
고려·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국왕의 친위군. 조선시대 금군으로는 1407년(태종 7) 10월 종래의 내상직을 내시위(內侍衛)로 고쳤다가 다시 내금위(內禁衛)로 고쳤는데, 오위와는 별도로 무예가 특이한 자 190인으로 편성하였다. 왕과 가장 가까이에서 입직·시립·호종을
-
금군별장 / 禁軍別將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 금군청 소속의 종2품 관직. 조선시대 왕의 친병으로 금군삼청 또는 내삼청이라 하였다. 1666년(현종 7)에는 금군청을 설치하고 내삼청을 통합. 1755년(영조 31) 금군청을 용호영으로 개칭한 뒤에도 별장만은 금군별장이라 하였다. 각 군문의 중군(종2품
-
금군삼청 / 禁軍三廳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 금군인 내금위·겸사복·우림위를 합쳐서 부르던 칭호. 1623년 인조반정을 주도한 공신세력에 의해 호위청이 설치되어 본래의 금군인 내삼청은 그 기능이 약화되었다. 금군삼청이 1755년(영조 31)에는 용호영(龍虎營)으로 개칭되었으나, 그 조직이나 기능에는 별
-
금군장 / 禁軍將 [정치·법제/국방]
조선시대의 내금위·겸사복·우림위 등 금군삼위를 지휘하던 정3품의 장수. ≪경국대전≫에는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 3인으로 규정되었으나, 성종 때 우림위가 설치된 뒤 다시 조정되어 그 뒤로는 계속 내금위장 3인, 겸사복장·우림위장 각 2인을 두었다. 당시 금군장은 정
-
내금위 / 內禁衛 [정치·법제/국방]
조선 1407년(태종 7)에 임금의 호위와 궁중을 지키기 위해 설치된 군대 조직. 유명 무실한 궁중 숙위를 담당했던 내상직(內上直)을 정리, 개편하여 조직한 왕의 친위군 혹은 금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