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구집회” 에 대한 검색결과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

사전(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강구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았다. 는 이러한 분위기의 연속선상에서 열렸으나, 동학 지도부의 승인은 얻지 못하였던 듯하다. [내용] 이 집회에 관한 기록은 약소하나, 전봉준(全琫準)‧서인주 등 현실 대항적 성향이 강하던 교도가 주도적 역할을...
  • 삼례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게 표출되어 척왜양(斥倭洋)의 목표가 설정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었다. 넷째, 이러한 교도들의 분위기는 지도부가 인정하지 않은 ()가 열리도록 하였고, 서울에서의 복합상소(伏閤上疏)를 결행하도록 한 원동력이 되었다.
  • 보은집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처럼 대정부 호소에만 매달리는 지도부의 노선에 회의적으로 반응하는 세력들이 불거져 나오면서 분열의 위험조차 존재하였다. 그리하여 지도부는 신원운동에 부정적 입장을 취해 오던 최시형(崔時亨)을 설득, 보은 장내에서 다시 집회를 열기로 결정하고, 동시에...
  • 교조신원운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편 전라도 금구(金溝)에서는 전라도의 동학교도, 즉 남접의 교도들이 따로 집회를 가지고 있었다. 는 남접의 서장옥‧손화중(孫華中)‧전봉준(全琫準) 등의 주도로 이뤄졌다. 그런데 그들은 교도를 모으고 무기와 식량을 모아 북상해 보은에 모인 동학교도들과 합...

주제어사전(1)

  • / [역사/근대사]

    1893년 초 동학교도가 최제우의 신원(伸寃)과 척왜양(斥倭洋)을 목적으로 전라북도 금구에서 개최한 집회. 에 대한 기록은 적지만, 전봉준 등 현실 대항적 성향이 강하였던 교도가 주도적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이 집회는 동학의 이전 집회보다 상대적으로 정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