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관조복”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2)
사전(35)
- 금관조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박해용(朴海容)이 입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의복. [내용]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5호. 금관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국가의 경사‧정조‧동지‧성절 등의 의식에 착용하였던 대례복이다. 소장자에 의하면 이 유물은 조선 말기 승지였...연계항목금관조복(金冠朝服)
- 금관조복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나라의 대사(大祀)‧경축일‧원단(元旦)‧동지 및 조칙(詔勅)을 반포할 때나 진표(進表)할 때 입었던 관복.정의나라의 대사(大祀)‧경축일‧원단(元旦)‧동지 및 조칙(詔勅)을 반포할 때나 진표(進表)할 때 입었던 관복.[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mgwan jobok | MR표기kŭmgwan chobo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심동신금관조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문신 심동신(沈東臣: 1824~?)이 입었던 당상관용 조복(朝服) 의(衣)‧상(裳)과 부속품 등 8점. [개설] 조복은 금칠한 양관(梁冠)으로 인해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 부르는 관복의 하나로서 붉은색 의(衣)와 상(裳)이...
- 조복(朝服)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석(潟)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붉은빛의 비단으로 만들며 소매가 넓고 깃이 곧은 것이 특징이다. 왕과 태자가 착용한 조복과 달리 백관이 착용한 조복을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 일컫기도 한다. 조복을 입을 때 금관도 함께 썼기 때문이다. 일본관원이 조선사신을 맞이하...유형분류의복
- 적초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내용] 적초의(赤綃衣)는 백관의 예복인 조복(朝服) 일습에 포함된 옷이다. 조복은 경축일, 정월 초하루, 동지, 조칙을 반포할 때 입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
고서·고문서(7)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食一匙臺供矣。 今下人輩, 必曰, 彼金冠朝服人則飽欲死, 吾輩飢欲死云耳。 鳳漢曰, 臣等之食而餘者, 則自然及於下輩矣。 勞酒訖, 上曰, 親耕耆民, 依例加資, 今日內, 口傳下批。 出傳敎 東萊人方應文入侍, 上曰, 軍門調用。 上曰, 還宮時刻, 待初嚴擧行。 出傳敎 上曰, 自農壇至興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食一匙臺供矣。 今下人輩, 必曰, 彼金冠朝服人則飽欲死, 吾輩飢欲死云耳。 鳳漢曰, 臣等之食而餘者, 則自然及於下輩矣。 勞酒訖, 上曰, 親耕耆民, 依例加資, 今日內, 口傳下批。 出傳敎 東萊人方應文入侍, 上曰, 軍門調用。 上曰, 還宮時刻, 待初嚴擧行。 出傳敎 上曰, 自農壇至興仁...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신광연이 신광수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瘡, 數十日廢食長痛矣, 再昨以太廟祭官, 先詣一竝急急入侍, 而玉體露立板位, 催促如星火, 稍遲者直捧投 畀傳旨、 百官已散送人馬, 不及得馬, 自大冢宰以下, 金冠朝服黑袍烏靴, 躅蹶徒步, 顚倒九街, 弟亦十 里前頭, 扶曳病脚, 倉黃入闕, 陪香下來, 其夜植立祭班, 至於日中, 蓋今番則...분야문학 | 유형문헌
- 화전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어이하여셰사구경 어이며 츌입등졀 바이업다낭자몸이 되얏스면 사셔삼경 공부하여용문안탑 제명고 금관조복 조흔이복 조흔이복: 좋은 의복(衣服). ‘조흔’은 연철 표기 형태이고, ‘이복’의 제1음절은 하향 이중모음 ‘ㅢ’가 단모음 ‘ㅣ’로 표기된 형태이다.이조참판 병조판서...가사유형풍류가류, 탄식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전
- 입춘화수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어 여자유행우리딸네 규중심처 아니현가 신체발분사대절을 부모님께 받아나서 십오십육이팔년에 화용을 태출등하다 김지이지가려내어 납패전안 이아니며 사진 2 서동부서마주설제 주렴으로 얼른보니 금관조복정히하여 천상선관 하강한듯 천후각대흉배...가사유형풍류가류 | 소장처조춘호 | 시대해방이후
주제어사전(3)
-
금관조복 / 金冠朝服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에 박해용(朴海容)이 입었던 것으로 전해지는 의복. 경상남도 민속자료 제5호. 금관조복은 조선시대 문무백관이 국가의 경사·정조·동지·성절 등의 의식에 착용하였던 대례복이다. 소장자에 의하면 이 유물은 조선 말기 승지였던 박해용이 착용하던 유품이라고 하며 금관
-
심동신금관조복 / 沈東臣金冠朝服 [생활/의생활]
조선 말기 문신 심동신(沈東臣: 1824∼?)이 입었던 당상관용 조복(朝服) 의(衣)·상(裳)과 부속품 등 8점. 심동신 금관조복은 화·말을 제외한 8점으로 양관 1점, 의 1점, 중단 1점, 상 1점, 수 1점, 패옥(佩玉) 1쌍, 서대(犀帶) 1점, 홀 1개이다.
-
적초의 / 赤綃衣 [생활/의생활]
창덕궁에 소장되었던 것으로 알려진 조선조 말기 백관의 조복에 속한 의복. 적초의(赤綃衣)는 백관의 예복인 조복(朝服) 일습에 포함된 옷이다. 조복은 경축일, 정월 초하루, 동지, 조칙을 반포할 때 입으며 금관조복(金冠朝服)이라고도 한다. 이 유물은 고종사제복(高宗紗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