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금곡포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
사전(12)
- 금곡포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漕運)하였다. 우수참에는 20척의 참선(站船)이 비치되어 있었다. 금곡포창에서는 배천(白川)ㆍ해주(海州)ㆍ연안(延安)ㆍ풍천(豊川)ㆍ신천(信川)ㆍ장연(長淵)ㆍ문화(文化)ㆍ강령(康翎)ㆍ옹진(甕津)ㆍ송화(松禾)ㆍ장련 (長連)ㆍ은율(殷栗) 등 열두 고을의 세곡을 수납,...
- 조읍포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황해도 금천군 조읍포(현재 황해남도 평천군 서북면)에 설치되었던 조선 전기의 조창(漕倉). [내용] 배천(白川)의 금곡포창(金谷浦倉)과 함께 우수참(右水站)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稅穀)을 조운하였다. 우수참에는 20척...
- 수운판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경기도관찰사 예하에서 한강 수운을 담당하던 관직. [내용] 중앙의 전함사(典艦司)에 배속되어 선박의 건조나 수리 등의 일에도 참여하였다. 충주 가흥창(可興倉)에 기지를 둔 좌수운과 배천 금곡포창(金谷浦倉)에 기지를 둔 우...
- 강창(江倉)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강창 강창 江倉 강감(江監), 광흥강창(廣興江倉), 풍저강창(豊儲江倉), 군자강감(軍資江監), 가흥창(可興倉), 흥원창(興原倉), 소양강창(昭陽江倉), 조읍포창(助邑浦倉), 금곡포창(金谷浦倉) 경제재정/창·늠·고 집단 기구 ...관련어강감(江監), 광흥강창(廣興江倉), 풍저강창(豊儲江倉), 군자강감(軍資江監), 가흥창(可興倉), 흥원창(興原倉), 소양강창(昭陽江倉), 조읍포창(助邑浦倉), 금곡포창(金谷浦倉)
- 수부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각 고을의 조세곡을 서울로 운반하기 위해 충주의 가흥창(可興倉), 원주의 흥원창(興原倉), 춘천의 소양강창(昭陽江倉), 배천(白川)의 금곡포창(金谷浦倉)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충주에다 좌수참(左水站)을 두어 좌도수운판관(左道水運判官)의 지휘 하에 306명의 수부...
주제어사전(3)
-
금곡포창 / 金谷浦倉 [경제·산업/경제]
황해도 연백군 금곡포에 설치되었던 조선시대의 조창. 강음의 조읍포창(助邑浦倉)과 더불어 우수참에 소속되어 인근 고을의 세곡을 조운(漕運)하였다. 금곡포창에서는 배천·해주·연안·풍천·신천·장연·문화·강령·옹진·송화·장련·은율 등 열두 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
조세창 / 漕稅倉 [경제·산업/산업]
조운할 전세를 보관하는 창고. 초기의 조창은 아래 세주에 명기되었다. 그 가운데 황해도의 금곡포창과 조읍포창 등은 경기우도 수운판관이 겸하는 벽란도승의 관장 아래 수참선으로 전운되었다. 금곡포창은 배천군의 동쪽 20리에 소재하며, 배천·해주·연안·풍천·강령·옹진·장
-
조읍포창 / 助邑浦倉 [경제·산업/경제]
황해도 금천군 조읍포에 설치되었던 조선 전기의 조창. 조읍포창에서는 강음·황주·서흥·평산·봉산·곡산·수안·안악·재령·신계·우봉·토산 등 12고을의 세곡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일정한 기일 안에 경창으로 운송하였다. 운송항로는 금곡포창과 마찬가지로 예성강과 한강의 수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