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금강삼매경론” 에 대한 검색결과 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1)

사전(30)

  • 대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신라 후기의 승려. [내용] 괴이한 옷차림을 하고 항상 저잣거리에서 구리밥그릇을 두드리며 “대안, 대안” 하고 다닌 데서 그의 이름이 불리어졌다.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전하는 이야기가 있다. 왕이, 마구 뒤섞인 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책의 판목(板木)은 해인사에 있으며, 1958년에 동국대학교에서 1책으로 영인하였다. 韓國의 佛敎思想(李箕永 編, 三省出版社, 1981) ≪금강삼매경≫에 대한 원효의 주석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금강삼매경》에 대한 원효(元曉, 617-686)의 주석서.
    정의《금강삼매경》에 대한 원효(元曉, 617-686)의 주석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mgang sammaegyeong ron | MR표기Kŭmgang sammaegyŏng r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大乘六情懺悔)』에서 죄업의 본성은 무성(無性)이라 정의하고, 죄업이 본래 무성임을 체득하면 바로 참회를 이룬다고 하였다. 특히 그는 『()』에서 “모든 죄장(罪障)이 망상으로부터 생기므로, 모든 상(相)을 파하고 진실관(眞實觀)에 들면 모...
    이칭별칭관찰실상참회(觀察實相懺悔)
  • 반야심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복원(復元)되었으며, 1972년 『동방학지(東方學誌)』 제12집에 게재되었다. 복원은 원효의 현존하는 저술을 통하여 시도하였는데, 특히 『대혜도경종요(大慧度經宗要)』‧『()』‧『미륵상생경종요(彌勒上生經宗要)』 등에서 인용하였다. 이 책은 ①...

신문·잡지(21)

  • ()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1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2冊 27...
    대표표제어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1 | 대표서명金剛三昧經論 | 한글서명금강삼매경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2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朝鮮後期 3冊 K45, p.60.; T34, p...
    대표표제어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2 | 대표서명金剛三昧經論 | 한글서명금강삼매경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3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3卷 1冊 28.5x19.5 K45, p.60.; T34,...
    대표표제어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3 | 대표서명金剛三昧經論 | 한글서명금강삼매경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4 형태서지 金剛三昧經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刊寫年未詳] ...
    대표표제어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4 | 대표서명金剛三昧經論 | 한글서명금강삼매경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5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發行地不明] [發行處不明] 1244年(高宗...
    대표표제어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5 | 대표서명金剛三昧經論 | 한글서명금강삼매경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불교]

    불교 경전. <금강삼매경>에 대하 신라의 원효가 저술한 소이다. 이것이 중국에 전해지자 번역가들이 '논'으로 개칭하여 <>이라 일컬어지게 되었을 정도로 원효의 명성을 떨치게 한 역저이다. 원효는 <금강삼매경>의 주제를 '일미(一味)' '무소득의 일미'라고

  • 대한불교원효종 / 大韓佛敎元曉宗 [종교·철학/불교]

    경담(慶潭)이 만든 불교 종단의 일종. 1963년 경담(慶潭)이 경상북도 경주에서 창립하였다. 신라의 원효를 종조로 삼는다. 1977년 12월 29일 대한불교원효종포교원애서 대한불교원효종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본사는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있다. 원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