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체시” 에 대한 검색결과 1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1)

사전(6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시체의 하나. 고체시(古體詩)에 대한 새로운 한시체(漢詩體)를 가리키며, 금체시(今體詩)라고도 한다. [내용] 고체시가 형식에 있어 비교적 자유로운 데 반해 는 일정한 격률(格律)과 엄격한 규범을 갖고 있다. 근시체는 압...
    이칭별칭금체시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체시(古體詩)에 대한 새로운 한시체(漢詩體)를 가리킴.
    정의고체시(古體詩)에 대한 새로운 한시체(漢詩體)를 가리킴.[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eunchesi | MR표기kŭnch’e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시체(詩體) 금체시(今體詩), 신체시(新體詩) 배율(排律), 율시(律詩), 절구(絶句) 문화인문학/어문학 개념용어 대한민국, 중국 조선 박종훈 [정의] 중국 당나라 때
    상위어시체(詩體) | 동의어금체시(今體詩), 신체시(新體詩) | 관련어배율(排律), 율시(律詩), 절구(絶句)
  • 영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위항시인 유재건(劉在健)이 편찬한 시집. [내용] 32권 11책. 필사본. 제목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운데 새‧꽃‧달‧고기 등 사물을 제재로 지은 영물시만을 제재별로 409문으로 분류한 선시집이다.
  • 최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모방하여 억지로 꾸미려는 경향이 있었다. 글씨에도 뛰어나 송설체(宋雪體)에 일가를 이루었다. [저서] 최립의 문집으로는 『간이집』이 있다. 시학서(詩學書)로는 『십가(十家)』와 『한사열전초(漢史列傳抄)』 등이 있다.
    이칭별칭 입지(立之)| 간이(簡易), 동고(東皐)

고서·고문서(16)

기초학문(2)

  • 唐代 對仗의 色彩語 연구 (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준연, 게재일 : 2012
    51678 김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연구회 2012 唐代 對仗의 色彩語 연구 (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唐代 對仗의 色彩語 연구 (2)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준연, 게재일 : 2013
    51679 김준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어문학회 2013 唐代 對仗의 色彩語 연구 (2)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주제어사전(22)

  • / [문학/한문학]

    한시체의 하나. 체시가 형식에 있어 비교적 자유로운 데 반해 는 일정한 격률(格律)과 엄격한 규범을 갖고 있다. 근시체는 압운(押韻)과, 글자의 평측(平仄 : 한자음의 높낮이에 따라 平·上·去·入으로 나누는데, 평성을 제외한 나머지가 측성임.)에 맞게 배열을 해

  • 영물 / 詠物 [문학/한문학]

    조선후기 위항시인 유재건이 사물을 제재로 지은 영물시만을 모아 편찬한 시집. 32권 11책. 필사본. 제목을 통해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운데 새·꽃·달·고기 등 사물을 제재로 지은 영물시만을 제재별로 409문으로 분류한 선시집이다. 는 당대에 와서 확

  • 절구 / 絶句 [문학/한문학]

    기도 한다.). 절구는 율시(律詩)와 같이 ()에 속한다. 이는 고체시(古體詩)와의 대칭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는 격률이 아주 엄격하여 평측(平仄)과 압운(押韻)에 있어서 고체시처럼 자유롭지 못하다. 절구는 시체가 무한한 함축력을 요구한다. 글자수가 적

  • 고시 / 古詩 [문학/고전시가]

    시체(詩體)의 하나. 와 구별하여 고시라 하였다. 부(賦)도 고시에 포함시키기도 한다.『시경』에 나타나는 고시 305편은 거의 사언으로 되어 있는데 한대 이후로 장편으로 변하였다. 그리하여 고시를 정체(正體), 한대 이후의 시를 변체(變體)라고 하였다.

  • 동인시초 / 東人詩鈔 [언론·출판]

    저자미상, 필사본. 표지까지 포함하여 총 69장이다. 본 서의 구성은 일정한 순서 없이 여러 작품과 작가가 뒤섞여 있다. 전체적으로 율시를 앞세우고 절구는 뒤에 조금 수록하였다. 그 비율이 대략 9:1 정도인 것을 보면, , 그 중 율시를 집중적으로 선발한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