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정전” 에 대한 검색결과 33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21)

사전(216)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223호. 경복궁의 중심이 되는 정전이며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건축물.
    정의국보 제223호. 경복궁의 중심이 되는 정전이며 조선왕실을 상징하는 건축물.[두산백과] | 문광부표기Geunjeongjeon | MR표기Kŭnjŏngjŏ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殿 경복궁(景福宮) 국가의례(國家儀禮), 궁궐(宮闕), 근정문(勤政門), 법궁(法宮), 왕실(王室), 정전(正殿), 조하(朝賀)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건축·능 원 묘 대한민국 조선 태조, 고종
    상위어경복궁(景福宮) | 관련어국가의례(國家儀禮), 궁궐(宮闕), 근정문(勤政門), 법궁(法宮), 왕실(王室), 정전(正殿), 조하(朝賀)
  • 경복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섬돌)도 새로 만드는 등 변화가 있었다. 현재의 은, 경복궁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2000년부터 진행되어온 보수공사의 결과이다. 의 보수는 건물을 지탱해주는 고주(高柱, 높은 기둥) 4개의 맞춤부분이 벌어지고 용마루와 처마가 처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견되...
    이칭별칭근정전 | 연계항목경복궁근정전(景福宮勤政殿)
  • 탁영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38년(중종 33) 9월 문무 현직관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던 임시 과거. [내용] (殿)에서 문과가, 모화관(慕華館)에서 무과가 동시에 실시되었다. 문과합격자는 갑과에 예문봉교(藝文奉敎) 나세찬(羅世纘), 을과에는 이...
  • 책보안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
    安幄次於殿階上及大殿廬次門外殯殿大門外爲白乎旀宗廟及殯殿竝設冊寶案於西階下爲白乎矣各處排設鋪陳褥席等物乙良令各該司進, (국장1890/117ㄴ02~04)
    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고서·고문서(98)

신문·잡지(6)

  • 민세안재홍전집 : 所謂「精神的倂合」問題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488 1929 10 16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所謂「精神的倂合」問題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사설 사회 직접자료 1권 朝鮮博覽會, 殿, 精神的倂合, 阪谷芳郞 A19291016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殿前歡聲湧く ( 앞 탄성 들끟어)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
    기사명_원문勤政殿前歡聲湧く | 기사명_한글근정전 앞 탄성 들끟어 | 부제_원문褒賞授與式と婦人子供デ- | 부제_한글수상 수여식과 부인 아이들 | 게재일19151018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1-4
  • (上) 開場當時の光化門前(中右) 總督第二號館巡視(中左) 同自動車上の總督(下) 同殿前の總督((위) 개장 당시의 광화문 앞(가운데 오른쪽) 총독 제2호관 순시(가운데 왼쪽) 자동차 위의 총독(아래) 앞의 총독)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이미지 4컷 겹쳐있음
    작품명_원문(上) 開場當時の光化門前(中右) 總督第二號館巡視(中左) 同自動車上の總督(下) 同勤政殿前の總督 | 게재일19150912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3-6
  • 慶宴時玩賞品進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탁지부 졍고문부에셔 금번 대황뎨폐하 즉압시 경연의완상품을 작일에 진뎡얏 쥬합루직도 (宙合樓織圖) 옥류쳔 (玉流泉) 직도각 일좌 황뎨폐게하 진뎡고근졍뎡뎐 (殿) 직도와 화롱(花籠) 각일좌 대황뎨폐하게 진졍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8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회는 15일 하오 8시에 북평 중남 해에서 개막되었다. 이회의의 의장인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정치국위원이며 중국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인 주은래가 회의의 개막을 선언한후 먼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모택동주석이 언설을 하였다. 모택동주석은 자기의 연설에서 「새정...
    대표표제어함남로동신문_1949_0622_04 | 책임주필강길모

기타자료(1)

  • 도 검토 / Ⅵ. 맺음말 조사를 실시한 흥복전지는 현 교태전 아미산의 북편과 함화당, 집경당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경복궁의 중심 영역인 침전 북편에 위치하고 있으나, 광화문~~강녕전~교태전으로 이어지는 경복궁의 중심축에서는 서편으로 약간 빗겨나...
    발행연도2008 | 발굴기관국립문화재연구소 | 발굴지역서울특별시

주제어사전(14)

  • / 殿 [예술·체육/건축]

    조선시대 왕궁의 하나인 경복궁의 정전. 은 왕이 조신들의 하례를 받는 장소로 역대 군주들이 즉위하는 곳이기도 하였다. 이 전은 경복궁 중앙에 자리잡고 있으며, 남쪽에는 근정문·홍례문·광화문이 위치해 있고 동쪽에는 일화문, 서쪽에는 월화문이 있다.

  • 경복궁 근정문 및 행각 / 景福宮勤政門─行閣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 의 남문으로 좌우로 행각이 둘러싸고 있는 궁궐건물.궁문. 보물. 보물 제812호. 경복궁 근정문은 좌우에 행각이 둘러싸고 있는 의 남문으로, 1395년(태조 4) 경복궁과 함께 건립되었으나 임진왜란 이후 불에 타 버

  • 공신회맹제 / 功臣會盟祭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 공신을 녹훈한 뒤 구리쟁반에 담은 피를 마시며 맹세하는 의식. 조선에서 이 제도가 최초로 실시된 것은 1398년(정종 즉위년)이다. 제1차왕자의 난에 공을 세운 익안군 방의(芳毅) 등 29인을 정사공신으로 책록, 회맹제를 지낸 뒤 경복궁 에서 연회를

  • 입격유생별단 / 入格儒生別單 [정치·법제]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한 응제 시취에 합격한 유생의 명단안. 문서의 앞부분이 누락되었고, 출신과 인명, 나이, 본관, 거주지, 부친 성명 순서로 기록되었다. 이 명단은 1890년(고종 27) 3월 15일 경복궁 에서 관학 유생을 대상으로 한 응제 시취에 합격한

  • 경복궁 / 景福宮 [예술·체육/건축]

    있다가 조선 말기 고종 때 중건되어 잠시 궁궐로 이용되었다. 이 당시 궁의 규모는 390여 칸으로 크지 않았다. 정전(正殿)인 (殿) 5칸에 상하층 월대(月臺)와 행랑·근정문·천랑(穿廊)·각루(角樓)·강녕전(康寧殿) 7칸, 연생전(延生殿) 3칸, 경성전(慶成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