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재집” 에 대한 검색결과 4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

사전(32)

  • 박윤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와 해박한 지식이 있었다. 그의 문인으로는 홍직필을 비롯, 이재의(李載毅)ㆍ정도일(丁道一)ㆍ어석중(魚錫中) 등 다수가 있다. 죽은 뒤에 대사헌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과 『근재예설(近齋禮說)』이 있다. 『()』
    이칭별칭 영숙(永叔)| 근재(近齋)| 문헌(文獻)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박익동(朴翼東)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석인본. 1937년 아들 노중(魯重)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의섭(宋毅燮)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노중과 노운(魯雲)ㆍ하규(夏圭) 등의 발문이 있다. 단국대학교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은 ≪근재선생집≫을 후손 안유상(安有商)이 세고를 제외하고 부록을 증보하면서 안축의 아우 보(輔)의 시문 및 관계 기록인 ≪문경공일고 文敬公逸稿≫를 덧붙여 1910년 함주(咸州)에서 새로 간행한 중간본이다. [내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차의와 스승 김원행의 언행을 모아서 기록한 「어록(語錄)」이 있다. 조선 후기의 학자 박윤원의 문집. 현손 정양이 편집, 간행하였으나 그 연대는 알 수 없다. 32권 16책. 규장각도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인 서유락(徐有洛)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28년 증손 상운(相運)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상운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44수, 권2‧3에 서(...

고서·고문서(7)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日本洞上聯燈錄_日本洞上聯燈錄1 永平道元禪師法嗣 羽州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
    師旣稟囑歸 羽人自是翁然歸敬 州牧大泉藤原氏 聞之悉入腴田 倂力營建諸宇 由是四方玄學者 接跡而至 孤峯明聞師煽化來參 偶看祖祿至力盡神疲無所覔只聞風樹晩蟬聲 豁然契悟 徑趨欲呈所悟 師見其來 把地爐火筋 匿背後曰 汝道 火麽處 明曰 從來在和尙手裏 師休去 一坐三十餘年 足未嘗越門限 遂終于...
    국가일본 | 서명日本洞上聯燈錄 | 왕대고종(高宗)  34
  • 주역대전 : 해제_33. 박윤원(朴胤源)의 경의(經義)‧역경차략(易經箚略)‧역계차의(易繫箚疑)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의 구성과 내용 (총 32권) 중 『역경차략(易經箚畧)』은 25권, 『역계차의(易繫箚疑)』는 26권에 수록되어 있다. 본집에 2권 분량의 차략이 실려 있는데도 불구하고 홍직필이 지은 묘비명에서 밝혔듯이 저자의 경설(經說)과 차략(箚略)을 온전히 정리하지 못한 채...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동유기(東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이라는 제목의 여덟 수가 보인다. 이것은 근재(謹齋) 안축(安軸)의 시를 차운한 것으로, 󰡔()󰡕 권1에 「삼척서루팔영(三陟西樓八詠)」이 있다. 을 마음껏 구경했다. 서루에서 나와 교가역(交柯驛)에 이르렀는데, 역은 현의 치소와 30리 떨어져 있다. 15...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곡(李穀)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기타자료(1)

  • 경전선 함안~진주간 복선전철 민간투자 시설사업 문화재지표조사 결과보고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불 5)무진정 6)함안 성산산성 7)함안향교 8)함안 도향리‧말산리고분군 9)함안 남문외고분군 10)책판 11)우졸재 박한주비 12)군복 지석묘군 13)도천재 단서죽백 14)어계생가 15)우곡정 2.고고‧역사분야 1)임곡리 대밭골고분군 2)이즙순절비 3)도림 정려...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창원대학교박물관/청석엔지니어링/대우엔지니어링 | 발굴지역경상남도

주제어사전(9)

  • / [문학/한문학]

    시문을 보충하고 부록을 더하여 『근재선생집 謹齋先生集』으로 다시 편집하고, 안축의 아들 종원(宗源)과 증손 안순(安純), 현손 숭선의 세고(世稿)를 덧붙여 1740년(영조 16)제주에서 목판으로 간행하였다. 『』은 『근재선생집』을 후손 안유상(安有商)이 세고를 제

  • 박윤원 / 朴胤源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성리학자(1734∼1799). 김원행과 김지행의 문인이다. 1792년 학행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서연관 등에 임명되었으나, 벼슬하지 않고 학문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서로《》과 《근재예설》이 있다.

  • 죽계별곡 / 竹溪別曲 [문학/고전시가]

    고려 충숙왕 때 안축(安軸)이 지은 경기체가. 전체 5장. 『()』 권2와 『죽계지(竹溪誌)』에 수록되어 있다. 작품의 배경인 죽계는 지금의 경상북도 풍기에 있는 시내 이름이며, 풍기의 옛 지명인 순흥(順興)은 안축의 관향(貫鄕)인 동시에 고향이다. 형식은

  • 안축 / 安軸 [종교·철학/유학]

    에도 급제했다. 저서로는『』이 전한다.

  • 해동악부 / 海東樂府 [문학/한문학]

    조선 후기에 이학규(李學逵)가 지은 악부시. 연작의 영사악부(詠史樂府)로 작자의 문집인 필사본 『낙하생고(洛下生藁)』의 『추수(秋樹)』(1821년의 시집)에 수록되어 전한다. 모두 56편으로 되어 있다. 각 편의 제목은 차지한(借地恨)·대세엽(大世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