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장군사” 에 대한 검색결과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에 설치한 국왕 경호담당 근위병. [내용] 왕이 공식석상에 참석하거나 성밖 행차에 나설 때 사람들이 무단출입하거나 시끄럽게 하는 일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처음에는 급료병 10인을 임시로 임명하였으나, 1755년(영조 31...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근위(近衛) 거가(車駕), 노부(鹵簿), 대장(大仗), 반장(半仗), 전좌(殿座), 위내(衛內), 생기(省記), 오위(五衛), 급료병(給料兵) 왕실왕실의례|정치/군사·국방/편제 집...
    상위어근위(近衛) | 관련어거가(車駕), 노부(鹵簿), 대장(大仗), 반장(半仗), 전좌(殿座), 위내(衛內), 생기(省記), 오위(五衛), 급료병(給料兵)
  • 광범문(光範門)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성록』의 1780년(정조 4) 5월 22일의 기록에 안창군 이경이 분기탱천하여 왕에게 상소를 올린 일화가 있다. 이경이 상참에 참여하였다가 나오는 길에 광범문 밖에서 벌어지는 광경을 보고 있자니 어처구니가 없었다. 입직하던 가 잡인의 출입을 통제한다는...
    상위어창덕궁(昌德宮) | 관련어금란관(禁亂官), 숭범문(崇範門), 인정문(仁政門), 인정전(仁政殿)
  • 무예청(武藝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1명의 통장(統長)이 지휘하였다. 1779년(정조 3) 2개의 번은 50명과 75명으로 구성되었다. 무예청의 세부조직에 관한 내용은 알려져 있지 않은데, 정조대 『원행을묘의궤』에 보이는 무예청 소속 인물들을 정리하면, 정조의 주위에 작문(作門)을 이룬 통장 1인, ...
    관련어거둥[擧動], 경호(警護), 궁궐(宮闕), 금군(禁軍), 금병(禁兵), 무감(武監), 무예별감(武藝別監), 시위군(侍衛軍), 호위무사(扈衛武士), 훈련도감(訓鍊都監), 협연군(挾輦軍), 행행(幸行)
  • 흥천사(興天寺)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설치하는 한편 절 주변으로 ()를 두어 절을 지키고 외인의 출입을 금지하였다[『세종실록』 20년 3월 16일]. (3) 문종대 이후 문종과 단종대에도 세종대와 마찬가지로 흥천사에서는 기우재[『단종실록』 2년 7월 27일], 보공재(報供齋)[『문...
    상위어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 관련어정릉(貞陵), 신덕왕후(神德王后), 원찰(願刹), 사리전(舍利殿), 사리각(舍利閣), 대장경(大藏經), 불골(佛骨), 사리(舍利), 환조(桓祖), 계성전(啓聖殿), 승록사(僧錄司), 상총(尙聰), 선종도회소(禪宗都會所), 기우재(祈雨齋), 보공재(報供齋), 내수사(內需司), 자성왕비(慈聖王妃)

고서·고문서(9)

  • 24214 B024214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高宗 19年 6月 6日_026 又以刑曹言啓曰, 以司謁口傳下敎曰, 毆打捕校之春坊使令二名及, 竝移送秋曹, 絶島定配事, 命下矣。 謹依傳敎, 春坊使令李寅植, 全羅道靈光郡荏子島, 鄭弘奎, 全羅道康津縣薪智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沃, 內禁衛金英赫, 兼司僕王之樹·金基述, 辛聲國, 武衛所善騎隊金完大·崔石柱·羅明哲, 牢子具完辰, 巡令手金弘基, 塘報手金快弘, 標下軍郭興孫, 開城府左列軍官金履爀·李慶鎭·孫台錫, 江華府別驍士閔載毅, 親衛士姜銀吉·李漢吉·金義純, 義砲士吳順根, 火砲士金泰逸, 京畿監營火...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추안급국안 : 죄인 변치원(卞致遠) 신문기록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納招而其言則果聞之矣捉來厥漢而問之若有違錯則矣身當有罪人矣昨年臘 月二十六日晝聞於草㕓洞渠家厥漢若發明則矣身不但刑推雖死亦無寃 矣矣身由宣仁門入來問其曲折而衆人中不爲發說引出矣身於戶 外問之故言之兵曹堂上盤問時亦以此言之矣李大材先爲發言而矣身在 座故使之出去矣大材言乙亥寃死人甚多而吾輩多人...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22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 春塘試科(과거 보난 데)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名邏將(팔십명라장)이며 ()가 對答(대답)하고 御前牢子(이젼뢰자)가 버려섯다 侍衛(시위)를 整齊(졍제)한 後(후) 司謁(사알)이 高聲(고셩)하야 “試官前進(시관젼진)하라” 부르거날 代讀官(내득관)이 밧아들고 懸題板(현뎨판)에 걸어노니 글題(뎨)에 하얏스되...
    구분잡가 | 편저자듸-‧제-‧핸드포-드
  • 한양태평가太平歌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쳥무명 널분 의, 문를 빗깃 고, 각궁노 모양보소 벙거지 너른 갓, 두루막이 반물 듸려 소 길게 야 입고, 병조 문문이 직혀 잇고, 금잡인 총찰니 가죽 등 손의 쥐고, 이리 며 져리 니 긔상이 호특다, 졍원의 뉵승지 후셜지신되야 잇셔,...
    구분잡가

신문·잡지(1)

  • 의관의졔도 일뎡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관죠복에 쳔담복에 대례복 소례복에 젼복에 둘우이에 졔복의 여러가지오 남의집구죵별와 궐각에 무겹에송귀복에 별감의홍의 초립에 에 쾌 별별 복이허다고 기타평민으로 말야도 우에닙거슨 거반방더도 신 신은거시갓지안코 신은갓더도 옷시갓지안코 혹은...
    게재일1906년 5월 30일 | 기사분류논설

주제어사전(1)

  • / [정치·법제/국방]

    조선 후기에 설치한 국왕 경호담당 근위병. 왕이 공식석상에 참석하거나 성밖 행차에 나설 때 사람들이 무단출입하거나 시끄럽게 하는 일을 단속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처음에는 급료병 10인을 임시로 임명하였으나, 1755년(영조 31) 정규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