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암서원” 에 대한 검색결과 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북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는 서원. 1665년(현종 6)에 홍언충과 이덕형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 홍언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을 뿐만 아니라 글씨에도 뛰어났으며, 특히 예서(隷書)를 잘 썼다. 그는 문장으로 정순부(鄭淳夫)‧이택지(李擇之)‧박중열(朴仲說) 등과 함께 당대의 사걸(四傑)이라 불렸다. 상주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자만사(自挽辭)』가 있다. ...
    이칭별칭 직경(直頃)| 우암(寓菴)
  • 홍여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르렀다. 특히, 주자학에 밝아 당시 사림의 종사(宗師)로 일컬어졌다. 1689년 부제학에 추증되고, 상주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목재집』이 있고, 편서로는 『주역구결(周易口訣)』‧『의례고증(儀禮考證)』‧『사서발범구결(四書發凡口訣)...
    이칭별칭 백원(百源)| 목재(木齋), 산택재(山澤齋)
  • 여봉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書)들은 상주의 ()에 여러 선비들이 모여 강론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제향의 절차와 범위에 관한 일이나 번잡한 예식절차를 피해야 할 것 등에 관해서도 자주 언급하고 있어 초기 서원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 영남각읍교원서책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23종, 합 33종이다. 성주목이 회연서원(檜淵書院) 12종, 무흘서재(武屹書齋) 99종, 합 111종이다. 전체 598종인데, 그 중 경주부가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고 성주목이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선조‧광해군 때의 학...
    이칭별칭경주부교원서책목록

고서·고문서(11)

  • 18세기 말 강재(剛齋) 이승연(李承延) 기회록(耆會錄)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정치/행정-조직/운영-선생안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선생안 | 현소장처상주 연안이씨 식산 종택
  • 주역대전 : 해제_9. 홍여하(洪汝河)의 책제(策題):문역(問易)‧독서차기(讀書箚記)-주역(周易) [<한국주역대전>편찬,표점,주해,번역,해제의 DB구축 | 성균관대학교]
    상주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목재집(木齋集)』이 있고, 편서로는 『주역구결(周易口訣)』‧ 『의례고증(儀禮考證)』‧ 『사서발범구결(四書發凡口訣)』‧ 『휘찬여사(彙纂麗史)』‧ 『동사제강(東史提綱)』‧ 『해동성원(海東姓苑)』‧ 『경서해의(經書解義)』등...
    서명주역대전 | 자료문의성균관대학교 주역대전편찬팀(연구책임자 : 최영진 교수)
  • 校黨 그리고 大小塾을 두고 봄에는 경전을 암송하고, 여름에는 禮를 익히고 겨울에는 시를 지은 방식대로 하여 四戶三門을 만들고 古禮에 따라 上榮下霤의 규정을 준수하였다는 내용이다. 門樓重刱上樑文 40 門樓를 중창한 상량문이다. 문루를 전에 보다 조금 크...
    분야문학 | 유형문헌
  • 單子를 올려 사양하였으나 도리상 미안한 점이 있어서 잠시 병세가 어떻게 될지 기다린다고 하였다. 문집을 간행한 후 敦事錄이 없을 수 없으니, 그대가 일을 주관한 사람들과 의논하여 자세하게 기 록하기 바란다고 하였다. 與近嵒會中25 회합에 보낸 편지이다. 선...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원장 洪相勛에게 답장한 편지이다. 서원의 설립목적은 養士가 가장 우선적이고 享祀는 그 다음인데 지금 서원은 건립된 지 60년이 되었으나 학생들의 글 읽는 소리가 들리지 않고 있으니 서원의 원래 취지를 되살려야 한다는 내용이다. 答洪大卿 33 洪相勛에게 답...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4)

  • / [교육/교육]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서중리에 있는 서원. 665년(현종 6)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홍언충(洪彦忠)과 이덕형(李德馨)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고 위패를 모셨다. 1693년에 김홍민(金弘敏)과 홍여하(洪汝河)를 추가 배향하였으며, 1786년에 이구(李榘)·

  • 홍여하 / 洪汝河 [종교·철학/유학]

    부제학에 추증되고, 상주의 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목재집』이 있다.

  • 권상일 / 權相一 [종교·철학/유학]

    전의 사칠설을 이어받아 이와 기를 완전히 둘로 분리하고, 저서로는《청대집》·《초학지남》·《관서근사록집해》 등이 있다. 죽림정사·에 제향되었다.

  • 활재집 / 活齋集 [종교·철학/유학]

    지인 후배 제자들이 지오 올린 제문과 만사, 에 제향할 당시의 봉안문과 상향축문이 실려 있다. 권두경의 서문과 이유, 채헌징의 발문이 있으나 간행의 경위나 주체와 관련해서는 언급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