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근봉”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91)
사전(69)
- 오카모토 한스케(岡本半助)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스케는 시를 받고 감격하여 7언절구 <근봉하조선국삼관사귀조운(謹奉賀朝鮮國三官使歸朝云)>이라는 시를 지어 답하였다. デジタル版 日本人名大辞典+Plus (http://kotobank.jp/dictionary/nihonjinmei/) ; 美術人名辞典の解説 (http...유형분류인물
- 봉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편지를 올림. 祇冀行軒 動靜珍重 謹奉疏仰候 暈顫不次 謹疏, 이세구(李世龜), 3-97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욕혜서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상대방이 보내준 편지를 이르는 말. 욕(辱)은 겸사. 金允立之來 謹奉辱惠書, 정구(鄭逑), 44-39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봉안배안상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上揷謹封紙揷標紙其上又揷標紙書敎命二字奉安排案床上次以紅鼎紬覆巾蓋覆, (가례1819/130ㄱ05~06)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피봉(皮封)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피봉 피봉 皮封 과거(科擧) 봉명(封名), 비봉(秘封) 근봉(謹封), 시권(試券), 신근봉(臣謹封) 정치인사/선발 개념용어 대한민국 조선 조선 박현순 [정의] 과거 답안지에서 응시자의 인적 사...상위어과거(科擧) | 동의어봉명(封名), 비봉(秘封) | 관련어근봉(謹封), 시권(試券), 신근봉(臣謹封)
고서·고문서(396)
- 謹奉忠孝堂祝天臺韻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488 2075_01 謹奉忠孝堂祝天臺韻 01 문화ㆍ생활 문헌 현대 주경안 종가, 일상생활, 시문류, 시문 한자 고문서 JKA042.JPG 謹奉忠孝堂祝天臺韻 시 張永綱 29 25 1 주경안 종가 한국국학진흥...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謹奉忠孝堂祝天臺韻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489 2075_02 謹奉忠孝堂祝天臺韻 02 문화ㆍ생활 문헌 현대 주경안 종가, 일상생활, 시문류, 시문 한자 고문서 JKA042.hwp 謹奉忠孝堂祝天臺韻 所思夙夜祝天臺 四時不廢焚香日 綱義堂堂此望開 萬歲無窮獻酒盃 遺墟碑蹟追誠實...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內閣應敎【題曰‘雲近蓬萊常五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010 詩集 卷一 ITKC_MP_0597A_0010_020_2100 內閣應敎【題曰‘雲近蓬萊常五色’】 정약용(丁若鏞) 詩類|詩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권차명詩集 卷一 | 문체詩類|詩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明禮宮 (1847)_경기도 高陽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3334 18208_0026 奎18208 明禮宮 (1847) 경기도 高陽郡 中面 注葉里 경기도 고양군 中面 注葉里 22 22결 방자근봉(方者斤峰) 방자근봉(方者斤峰)...자료번호18208_0026 [奎18208]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明禮宮 (1847)_경기도 高陽郡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03335 18208_0027 奎18208 明禮宮 (1847) 경기도 高陽郡 中面 注葉里 경기도 고양군 中面 注葉里 19 19결 방자근봉(方者斤峰) 방자근봉(方者斤峰)...자료번호18208_0027 [奎18208]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구술자료(1)
- 대근봉 물맞이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07-29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장목면 | 제보자김정석
신문·잡지(14)
- 桂根鳳(-)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桂根鳳(-) 해주 桂根鳳 - 茄佐面 菊峰里 - - 車제조업 - - - 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桂根鳳(-) | 지역해주 | 품목- | 영업종목車제조업 | 자료출처西鮮三道商工人名錄: 黃海道 外, 1932년
- 宋自斤奉(由口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宋自斤奉(由口商店) 서울 宋自斤奉 由口商店 靑葉町 1-58-3 연료품 - 신탄(薪炭) 소매 18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宋自斤奉(由口商店) | 지역서울 | 품목연료품 | 영업종목신탄(薪炭)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東墨鋼支社廳首金義澤氏은本以有望之人으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東墨鋼支社廳首金義澤氏은本以有望之人으로身爲商民頭領야爲國効勞가不少더러△者 影禎兩次排行時揖金出義야揮動諸商民야恪勤奉行고今番金谷遷 山陵時에도同金氏가亦日出百餘金야領率八支社衆商고步塘等節를勤實擧行니古徃今來에爲國効忠之人이莫過於此人이라如此忠義之人를不可不褒善故吾儕가玆에告白...게재일1900년 9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 東墨△支社廳首金義澤氏은本以有望之人으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東墨△支社廳首金義澤氏은本以有望之人으로身爲商民頭領야爲國効勞가不少더러曩者 影禎兩次排行時捐金出義야揮動諸商民야恪勤奉行고今番金谷遷 山陵時에도同金氏가亦日出百餘金야領率八支社衆商고步塘等節를勤實擧行니古徃今來에爲國効忠之人이莫過於此人이라如此忠義之人를不可不褒善故吾儕가玆에告白...게재일1900년 9월 18일 | 기사분류광고
- 반도시론_1919_03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근원 9 국제연맹의 취의와 사적관찰 효자동인 11 생활상우려가 불선한 조선의 현상 14 근...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19
기타자료(11)
- 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惟垂検到 青山極地 碧海連天 拝謁未由 伏増鴻涯 謹奉啓 (『類聚國史』 194, 殊俗 渤海下, 弘仁 12년(821)) 【해석】 (11월 을사일(13)에 발해국에서 사신을 보내어 방물을 바쳤다. 국왕이 계를 올려 아뢰었다.) “仁秀가 아룁니다. 초가을(음력7월)이지만 아직...대표표제어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 주제분류외교문서
- 발해객을 조당에서 대접하고 삼종의 악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幷信物訖 而聖朝厚恩垂矜 萬福等預於客例 加賜爵祿 不勝慶躍 謹奉拜闕庭 授大使壹萬福從三位 副使正四位下 大判官正五位上 少判官正五位下 錄事幷譯語竝從五位下 着綠品官已下各有差 賜國王美濃絁卅疋 絹卅疋 絲二百絇 調綿三百屯 大使壹萬福已下亦各有差 (『續日本紀』 32 光仁天皇 宝龜 3年 2...대표표제어발해객을 조당에서 대접하고 삼종의 악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大興 36/唐 代宗 大曆 7/日本 光仁天皇 寶龜 3)
- 발해객을 조당에서 대접하고 삼종의 악을 내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物訖 而聖朝厚恩垂矜 萬福等預於客例 加賜爵祿 不勝慶躍 謹奉拜闕庭 授大使壹萬福從三位 副使正四位下 大判官正五位上 少判官正五位下 錄事幷譯語竝從五位下 着綠品官已下各有差 賜國王美濃絁卅疋 絹卅疋 絲二百絇 調綿三百屯 大使壹萬福已下亦各有差 (『續日本紀』 32 光仁天皇 宝龜3年 2月 癸...대표표제어발해객을 조당에서 대접하고 삼종의 악을 내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72년(壬子/신라 혜공왕 8/발해 문왕 36 大興 36/唐 大曆 7/日本 寶龜 3)
- 발해가 사신을 일본에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地 碧海連天 拜謁未由 伏增鴻涯謹奉啓 (『類聚國史』 194 殊俗部△ 渤海 下)대표표제어발해가 사신을 일본에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821년(辛丑/신라 헌덕왕 13/발해 宣王 建興 4/唐 長慶 1/日本 弘仁 12)
- 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感荷 厚幸々々 伏以 両邦継好 今古是常 万里尋修 始終不替 謹遣文籍院述作郎李承英 賚啓入覲 兼令申謝 有少土物 謹録別状 伏垂昭亮幸甚 雲海路遥 未期拝展 謹奉啓 (『類聚國史』 194, 殊俗 渤海下, 弘仁 10年(819)) 【해석】 (11월 갑오일(20), 발해국에서 사신을 보내고...대표표제어발해 宣王이 일본 嵯峨天皇에게 보내는 王啓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5)
-
근봉 / 謹封 [문학]
조선시대 한글편지 투식어. 삼가 봉한다는 뜻으로, 편지 겉봉의 봉한 자리에 쓰는 용어.
-
상소 / 上疏 [정치·법제/정치]
전통시대 신하가 왕에게 글로서 자신의 뜻을 전하는 제도. 대개 건의·청원·진정 등의 내용이다. 상소문의 서식은 ≪전율통보≫에서 볼 수 있으며, 피봉에는 ‘上前開折(상전개절)’, 합금(合襟)하는 곳에는 ‘臣署名謹封(신서명근봉)’이라 쓰고, 연폭(連幅)한 뒷면에는 ‘臣
-
사주단자 / 四柱單子 [사회/가족]
생년·월·일·시를 적고, 백지에 싸서 봉투에 넣고 근봉(謹封)이라고 써서 띠를 붙이며, 봉투 앞면에는 사주라 쓰고 그 봉투는 봉하지 않는다. 그 뒤, 수숫대나 싸릿대를 끝부분이 붙은 채로 가운데를 쪼개 봉투를 그 속에 끼우고 양쪽 끝을 청실·홍실로 감는데, 위에서 아래
-
봉미관 / 封彌官 [정치·법제/법제·행정]
들을 지휘하여 답안지 오른편에 쓴 성명·나이·본관·거주지 위에 답안지 끝부분의 종이를 잘라 피봉을 붙이고 접착 부분에 ‘근봉’이라는 글씨를 써넣어 부정을 예방하였다. 여기에 번호를 매기고 역서한 뒤 채점이 끝나면 비로소 봉인을 떼고 답안지 원본과 사본을 대조하며 성명과
-
왕복 / 王服 [생활/의생활]
왕의 정복(正服). 왕복의 종류가 뚜렷이 나타나는 조선시대의 것을 보면, 조근·봉사지복(朝覲奉祀之服)이라 하여 종묘·사직 등에 참예(參詣), 제사하고 정조(正朝)·동지·조회(朝會)·수책(受冊)·납비(納妃) 등에 착용하던 면복(冕服)이 있다. 수배신조현지복(受陪臣朝見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