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근대국어” 에 대한 검색결과 1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9)

사전(60)

  • 동몽선습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자료적 가치와 교과서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규장각 도서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있으며, 1986년 대제각(大提閣)에서 영인된 바 있다. 『고친 한글갈』(최현배, 정음사, 1961) 동...
  • 국어사개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정‧증보를 한 개정판을 1972년에 간행하였고, 1977년 이후로는 탑출판사에서 출간하였다. [내용] 대학의 국어사 강좌 교재로 집필된 이 개설(초판)은 모두 7장으로 짜여져 있다. 즉, 서설(序說)‧국어의 형성‧중세국어‧‧현대국어로서, 서설에서...
  • 천지팔양신주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판이다. 그밖에 1670년(현종 11) 설악산 신흥사(神興寺), 1795년(정조 19) 양주 불암사(佛巖寺), 1861년(철종 11) 청도 적천사(磧川寺), 1908년의 불암사판 보판본(補板本)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의 한자음 연구의...
    이칭별칭불설천지팔양신주경(佛說天地八陽神呪經)|팔양경
  • 효경소학초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재편찬방식과 의 한 자료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효경(孝經)』 『효경대의(孝經大義)』 『소학정문(小學正文)』 『소학집주(小學集註)』 『어제소학지남(御製小學指南)』
  • 화엄경보현행원품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雙溪寺) 판전(板殿)에서 간행되었는데, 오자를 고치고 시주(施主)의 이름을 추가한 후쇄본(後刷本)도 전한다. 한글로 된 한자독음과 번역은 ‘지내도록(석사 1a), 엇(석사 4a), 부즐어니(석사 3b)’ 등과 같이 구개음화와 순음화가 완전히 이루어진 의 모...

고서·고문서(10)

  • 飜譯朴通事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세국어; ; 번역박통사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4.03-11-2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2.803 ㅂ213ㅂ [고려대]중앙도서관 제1자료실 [고려대][DDC]497.70203 2010 [...
    대표표제어飜譯朴通事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後期漢語會話書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국어사; ; 조선후기; 중국어회화서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23-10-1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2.3 ㅈ428 [서울대]중앙도서관 참고자료실 [서울대]R495.131 B148j 2010 ...
    대표표제어朝鮮後期漢語會話書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성남 1997 전문사전; 한국어; 국어사; 한자어; ; 조선후기; 물명고; 광재물보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4-한613ㅈ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1.32 ㅎ155ㅈ ...
    대표표제어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 物名考ㆍ廣才物譜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필사본 고어대사전(7권)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한국어; ; 역사사전; 옛말; 필사본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0.903-10-2-1-7 [국회]디지털정보센터(의정관3층) [국회]R 411.3 ㄱ336 [서울대]중앙도서관 단행본자료실 [서울대]419.03 B148g...
    대표표제어필사본 고어대사전(7권)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 한국 근대신어사전 : 現代新語釋義ㆍ新語事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한림과학원 편 선인 서울 2010 전문사전; 한국어; ; 역사사전; 옛말; 신어 [국중]서고자료신청대(1층) [국중][KDC]714.7-10-2 [서울대]중앙도서관 참고자료실 [서울대]R413 C455h 2010 [국회]디지털정...
    대표표제어한국 근대신어사전 : 現代新語釋義ㆍ新語事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어학

기초학문(19)

  • 의 낱말밭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연규동, 게재일 : 2001
    00853 연규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01 의 낱말밭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93275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의 격체계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목한, 게재일 : 2001
    11896 김목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의 격체계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후기 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동주, 게재일 : 2002
    09233 최동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학회 2002 후기 의 시상체계에 관한 연구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의 단어형성에 대한 고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35205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의 단어형성에 대한 고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시기의 진언표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주호, 게재일 : 2006
    37331 안주호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언어문학회 2006 시기의 진언표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6

멀티미디어(60)

  •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_1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연구 성과가 지닌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이 견지한시대정신이 무엇인지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당대 국어 연구에 담긴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한국어와 한글 연구에담긴 한국인의 의식과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물을중심으로한학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_1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연구 성과가 지닌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이 견지한시대정신이 무엇인지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당대 국어 연구에 담긴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한국어와 한글 연구에담긴 한국인의 의식과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물을중심으로한학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_1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연구 성과가 지닌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이 견지한시대정신이 무엇인지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당대 국어 연구에 담긴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한국어와 한글 연구에담긴 한국인의 의식과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물을중심으로한학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_1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연구 성과가 지닌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이 견지한시대정신이 무엇인지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당대 국어 연구에 담긴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한국어와 한글 연구에담긴 한국인의 의식과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물을중심으로한학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 근대 국어학의 상징 ‘주시경’_1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연구 성과가 지닌 특징을 설명하고 이들이 견지한시대정신이 무엇인지포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당대 국어 연구에 담긴 성과에 대한 이론적 이해와 함께한국어와 한글 연구에담긴 한국인의 의식과 정신을 느껴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인물을중심으로한학의
    강좌제목한국의 근대 문법가들 | 강의자이영제

주제어사전(7)

  • / [언어/언어/문자]

    17세기 초부터 19세기 말까지의 국어. 는 중세국어에서 현대국어를 이어주는 교량적 시기의 국어이다. 시기는 후기 중세국어의 변화된 결과가 나타나서 새로운 체계를 보이기 시작하는 시기이며, 동시에 현대국어의 제반 특징이 출현하는 때이기도 하다.그래서

  • 중철 / 重綴 [언어/언어/문자]

    ᄊᆞᆷ이)로 바뀌는 중간 단계에서 나타난 표기 방식을 가리킨다. 연철 표기가 중세국어의 주된 표기법이라면 에는 분철 표기가 주된 방식이어서, 16세기 초기 문헌부터 보이는 중철 표기는 이들 표기의 과도기적 형식으로 설명된다.

  • 현대국어 / 現代國語 [언어/언어/문자]

    20세기 이후 오늘날까지의 국어. 와 현대국어 사이의 시대구분은 견해의 차이가 있다. 이 시기 초기에 언문일치운동이 일어났으며, 공사문서·신문·잡지 등의 인쇄물이 대량화하여 공통어가 형성되었다. 또, 이 시기는 현존인의 생존연대와도 일치한다. 현대국어는 공통어

  • 국어사개설 / 國語史槪說 [언어/언어/문자]

    이기문(李基文)이 지은 국어사에 관한 개설서. 대학의 국어사 강좌 교재로 집필된 이 개설(초판)은 모두 7장으로 짜여져 있다. 즉, 서설(序說)·국어의 형성·중세국어··현대국어로서, 서설에서는 국어사연구를 위한 일반론을 펼치고 알타이공통어로부터 현대국어에 이르

  • 동몽선습언해 / 童蒙先習諺解 [언어/언어/문자]

    다. 이『동몽선습언해』는 원문이 들어 있지 않고 언해문만으로 되어 있다. 이 책에 원문과 도판을 넣고 번역도 달리한『언해도상동문선습(諺解圖像童文先習)』이라는 책이 20세기초에 간행되기도 하였다. 『동몽선습언해』는 의 자료적 가치와 교과서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지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