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균역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0)
사전(190)
- 균역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 균역법(均役法) 시행에 따른 여러 가지 일을 관장했던 관서. [내용] 1751년(영조 27) 균역법을 시행하면서 감필(減疋)에 따른 부족한 재정을 각 관청에 보충해주기 위해 어염세(魚鹽稅)ㆍ은여결(隱餘結)ㆍ군관포(...
- 균역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토록 하는 내용의 균역법으로 시행을 보게 된다. 그 제정경위와 내용, 성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양역의 폐단에 대한 대책논의는 효종‧현종대 이래 거듭되어서 숙종 때에는 군사비 지출을 줄이기 위한 군사 수의 감축, 군문(軍門)의 축소와 같은 소변통론(小變通論)과...
- 균역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후기 영조 때 양역제(良役制)의 개선을 위해 실시하였던 재정제도.정의조선 후기 영조 때 양역제(良役制)의 개선을 위해 실시하였던 재정제도.[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unyeokbeop | MR표기kyunyŏk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균역법(均役法)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균역법 균역법 均役法 균역청(均役廳) 군역(軍役), 군포(軍布), 균세사(均稅使), 양역(良役) 정치행정/정책 법제 정책 대한민국 조선후기 영조~고종 김덕진 1750년(영조 26) 균역청(均役廳...하위어균역청(均役廳) | 관련어군역(軍役), 군포(軍布), 균세사(均稅使), 양역(良役)
- 삼정이정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못하고 영조 때 균역법(均役法) 실시에까지 가게 되었다. 그러나 철종 때에 들어와 오랫동안 누적된 삼정문란과 탐관오리의 착취로 삼남일대는 민란이 잇달아 일어나 이를 수습하기 위하여 안핵사(按覈使)‧선무사(宣撫使)‧암행어사 등을 파견하여 그 수습책을 강구한 결과...
고서·고문서(9)
- 지세에 관련한 조사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이 자료는 조선총독부 중추원에서 조선시대의 지세제도와 운영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 조사보고서이다. 문헌조사 등을 토대로 내용을 기술한 것으로, 지세에 관한 최종 기술보고서의 초고로 추정된다. 조선의 개국으로부터 균역법(均役法)을 시행한 18세기 중엽까지의 시기를 대상으...분류민사 | 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출판사없음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亨元曰, 果難盡捧矣。 上曰, 古則爲政, 專以損上爲事, 今則反是。 南中儲峙米, 全無一石, 京中則雖若多入, 而此無異於割肉充腹, 雖若無損下之事, 而其實則自歸於損下。 且惠廳所儲之不能新舊相繼, 殆是百年內所無, 蓋不能量入爲出, 則轉致雖多, 亦爲無益矣。 ?昔先大王之行均役法也, 當初...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내포(內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6790 B036790 내포 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正祖 19年 6月 16日_036 , 蓋不能量入爲出, 則轉致雖多, 亦爲無益矣。 ?昔先大王之行均役法也, 當初聖意, 則欲待行之數年, 國用充足之後, 以爲數年一次式蕩減身布之計也當比?歲, 予則欲盡爲蕩減, 雖以事體之重大, 有...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합천군읍지(陜川郡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해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균역법 시행 이후 재정의 변화상을 본 읍지를 통해 확인가능하다.내용분류정치/행정 - 조직/운영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제주읍지(濟州邑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기 후반 제주민이 지고 있던 각종 부담에 대해 자세히 기록하였다. 이를 통해서 제주의 대동과 균세는 육지에 시행된 대동법과 균역법과 달라서, 제주민은 말, 귤, 곽, 전복, 표고, 희귀목 등 각종 해산물, 임산물, 축산물 등을 여전히 현물형태로 중앙에 상납하였음을 알...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1)
-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송양섭, 게재일 : 201027403 송양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사학회 2010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11)
-
균역법 / 均役法 [경제·산업/경제]
조선 후기 영조 때 양역제의 개선을 위해 실시하였던 재정제도. 균역법의 내용에는 감필균역(減疋均役)과 그에 따른 재정결손을 보완하기 위한 대책의 두 가지가 포함된다. 우선 감필균역은 단순한 감필에만 그치지 않고 종전의 약간씩 차이가 있던 양역 부담량을 1필로 통일하
-
균역청 / 均役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후기 균역법 시행에 따른 여러 가지 일을 관장했던 관서. 1751년(영조 27) 균역법을 시행하면서 감필(減疋)에 따른 부족한 재정을 각 관청에 보충해주기 위해 어염세(魚鹽稅)·은여결(隱餘結)·군관포(軍官布)·결전(結錢) 등에서 재원을 마련하고, 이를 징수,
-
균역사실 / 均役事實 [역사/조선시대사]
조선후기 문신·학자 홍계희가 균역에 관한 사항들을 수록하여 1751년에 편찬한 역사서. 1책 12장. 사본(寫本). 대리청정을 하고 있는 왕세자[思悼世子]에게 균역법 제정의 경과와 결말을 알리기 위하여 당시 균역청 당상인 병조판서 홍계희(洪啓禧)가 1751년 12월에
-
영조 / 英祖 [역사/조선시대사]
조선 제21대 왕(1694∼1776). 재위 1724∼1776년. 1725년 압슬형을 폐지하고, 아울러 사형을 받지 않고 죽은 자에 대한 추형을 금지시켰다. 1750년 균역법을 시행하여 양역의 불균형을 바로잡았다. 1770년 최초의 백과사전《동국문헌비고》를 진찬하게
-
홍계희 / 洪啓禧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71). 이재 문인, 1748년 통신상사로 일본에 다녀 온 뒤, 비변사당상·충청도관찰사 등을 거쳐, 병조판서로 균역법 제정을 주관했다. 이후 이조·형조·병조·호조·예조의 판서 및 예문관대제학 등을 지냈다. 글씨에도 능하했고, 저서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