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규장총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3)
- 규장총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졌다. 각신 등의 노력으로 1781년 2월에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자, 정조는 원임규장각제학(原任奎章閣提學)인 서명응(徐命膺)에게 ≪규장총목≫의 편찬을 명하였다. 그러나 당시 서명응은 이미 치사하고, 일선에서 물러나 저술 활동에만 몰두하고...
- 규장각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규장총목고(奎章總目考)」(송일기,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2) 「규장각소고(奎章閣小考)」(이이화, 『규장각(奎章閣)』3, 1979) 규장각지 ...
- 서호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업의 핵심 기관이었던 규장각의 직제학이 되었다. 이후 규장각의 여러 편찬사업에 주도적 역할을 다하였다. ≪어정송사전 御定宋史筌≫을 교열하고, 1781년에는 ≪규장총목 奎章總目≫ 4권 3책을 책임 편찬했으며, ≪국조보감 國朝寶鑑≫에서 봉모당(奉謨堂)에 봉안할 어제...이칭별칭 양직(養直)| 정헌(靖憲)
- 경사자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을 꽂았는데, 부문별로 분류하고 아첨(牙籤)에 표시하여 열람을 편리하게 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이 사부분류법으로 책을 분류하여 서가에 배열해 놓은 것으로 여겨진다. 사부분류법으로 정리한 현존의 목록 중 앞선 것은 1781년(정조 5)에 엮은 ≪규장총목 奎章總目≫...
- 도서분류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손으로 뽑아봄이 마치 흑백을 가리듯이 쉽다고 하였다. 이때의 책이 사부분류법으로 정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부분류법으로 정리된 현전의 목록 중 앞선 것은 1781년(정조 5)에 엮은 ≪규장총목 奎章總目≫이며, 그 뒤 오늘에 이르기까지 고서의 정리에는 주로 이...
고서·고문서(2)
- 규장총목(奎章總目)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출판/인쇄-서목 | 형식분류고서-서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강화부(江華府)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6843 B016843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正祖實錄 五年(1781) 六月 정조실록_10506029_002 ○《奎章總目》成。 上雅尙經籍, 自在春邸, 購求遺編, 拓尊賢閣之傍而儲之, 取孔子《繫易》之辭, 名其堂曰貞賾。 及夫御極, 規模寢廣, 丙申初載, 首先購求《圖書集成》...출처전거正祖實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271191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2 『奎章總目』과 18세기 후반 조선의 外來知識 集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12
주제어사전(2)
-
규장총목 / 奎章總目 [역사/조선시대사]
1781년(정조 5) 서호수가 정조의 명을 받아 편성한 규장각 장서목록. 4권 3책. 1779년 이후 규장각에 소장된 모든 서적에 대한 기초 작업이 이루어졌다. 각신 등의 노력으로 1781년 2월에 작업이 일단 마무리되자, 정조는 원임규장각제학인 서명응에게 ≪규장총목
-
서호수 / 徐浩修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1736∼1799). 할아버지는 종옥, 아버지는 명응이다. 어머니는 이정섭의 딸이다. 큰 아버지 명익에게 입양되었다. 1765년 식년 문과에 장원하여, 홍문관부교리·도승지·대사성·대서헌 등을 지냈다.《동국문헌비고》·《규장총목》·《국조보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