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규장전운” 에 대한 검색결과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던 한자음을 속음으로 표시하였으나, ≪≫에서는 규범음만을 나타내었다. 이런 면을 보충하기 위하여 이른바 속음도 아울러 표시하는 ≪전운옥편 全韻玉篇≫이 편찬되었는데, 이 옥편은 ≪≫을 저본으로 한 획인자전(劃引字典)이었다. ≪≫도 우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 1741-1793)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
    정의조선 후기에 이덕무(李德懋, 1741-1793)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광부표기Gyujang jeonun | MR표기Kyujang chŏnu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의례관견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병종(禹秉鍾)이 쓴 의례에 대한 관견록. [내용] 그의 문집인 『성와집(惺窩集)』에 수록된 단편기록으로 『』의 권두에 실려 있다. 내용은 운서에 나타나는 성조(聲調)인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
  • 이학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나이에 문학(文學)으로 명성을 얻어 정조의 인정을 받았다고 전한다. 벼슬이 없는 선비로서 『()』의 편찬사업에 참여했다. 다시 왕명에 의하여 원자궁(元子宮)에 내릴 책을 교감하고 수정‧보완하여 바쳤다. 또 이만수(李晩秀)가 지은 「화성경리시말(華城經理始末...
    이칭별칭 성수(醒?| 낙하생(洛下生), 낙하(洛下)
  • 전운옥편(全韻玉篇)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正祖) 대에 『어정(御定)』의 부록으로 편찬된 옥편. [개설] 『전운옥편(全韻玉篇)』은 엮은이나 간행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름으로 미루어 보아 1796년(정조 20) 서명응(徐命膺)·이덕무(李德懋) 등에 의하여 편찬된 『어정...

고서·고문서(23)

기초학문(1)

  • 正祖의 改定:‘이산’과‘이성’-『』의 편찬과 관련하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0
    67639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正祖의 改定:‘이산’과‘이성’-『』의 편찬과 관련하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주제어사전(8)

  • /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이덕무(李德懋) 등이 편찬한 한자 운서(韻書). 2권 1책. 목판본. 동음(東音 : 朝鮮의 漢字音)과 화음(華音 : 中國의 本土字音)을 함께 표시한 운서로, 이덕무가 1792년(정조 16)까지 주로 편찬하고, 윤행임(尹行恁)·서영보(徐榮輔)·남공철(南公轍)·

  • 어정 / 御定 [언어/언어·문자]

    소학류(小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1책,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0.0×15.7cm, 반곽은 16.0×12.6cm이다. 판심제는 () 上下 1책이다. 정조(正祖)가 규장각(奎章閣)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韻書)

  • 어정 / 御定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정조(正祖) 명찬, 목판본, 2권 1책. 표제와 판심제는 ()이다. 정조가 규장각의 제신(諸臣)에게 명하여 편찬한 운서이다. 표지 우측 상단에 '내사(內賜)'가 필사되어 있다.

  • 의례관견록 / 義例管見錄 [언어/언어/문자]

    조선 후기 우병종(禹秉鍾)이 쓴 의례에 대한 관견록. 그의 문집인 『성와집(惺窩集)』에 수록된 단편기록으로 『』의 권두에 실려 있다. 내용은 운서에 나타나는 성조(聲調)인 평성(平聲)·상성(上聲)·거성(去聲)·입성(入聲)에 따른 상이점에 대한 견해와 그 중 입

  • 전운옥편 / 全韻玉篇 [언론·출판/출판]

    경부(經部) - 소학류(小學類). 편자미상, 목판본, 2권 2책. 정조(正祖)의 명으로 편찬한《어정(御定)》을 바탕으로 만든 부획사전(部劃辭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