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규장각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08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020)
사전(2,867)
- 청구요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34년(순조 34)에 김정호(金正浩)가 작성한 ≪청구도 靑邱圖≫의 이본(異本). [내용] 2책. 채색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 청구도
- 모암효행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표징으로 주었던 포양(褒揚 : 칭찬하여 장려함.)에 관한 글과, 지위가 높고 행동이 점잖은 사람을 일컫는 진신(搢紳) 사이에 칭술된 시문들을 뽑아서 엮은 것이다. 규장각도서 등에 있다. 모암효행록 ...
- 의과선생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5년 간행된 편자 미상의 의과급제생의 방명록. [내용] 1권 2책. 필사본. 원본은 개인소장으로 되어 있고, 사본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의과급제자가 가장(家藏)하여 다음 급제자의 이름을 적은 것으로서 급제한 해와 본관 등을
- 경조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규정ㆍ업무규정ㆍ행동규정ㆍ평가규정 등이 수록되어 있다. 본래 290개 항목으로 되어 있었으나, 이승경이 편찬하면서 90개 항목을 더 수록하여 총 380개 항목이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경조부지
- 청궁귀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동궁에게 올린 것이다. 각 항목에 실린 사실의 인용전거는 밝히지 않았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청궁구감 1883년 이운익이 동궁의 보양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을 뽑아 묶은 책. 2책 필사본. 규장각도서. ...
고서·고문서(3)
- 규장각도서관계서류철 [일제의 조선관습자료 해제와 DB화 작업 | 연세대학교(원주캠퍼스)]1912년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취조국(取調局)에서 규장각 도서의 인수‧정리‧보관과 관련된 여러 서류를 모아 편찬한 책이다. 조선총독부 취조국은 구관 및 제도조사 뿐만 아니라 대한제국 정부로부터 인계받은 각종 책자를 정리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분류전적 | 소장처규장각
- 규장각도서과에서 펴낸 것으로, 규장각 이외 춘방(春坊)‧집옥재(集玉齋)‧북한산행궁(北漢山行宮) 등 궁내외의 장서 등이 모두 포함되어 총 3,353종을 수록한 서목.자료구분문헌 | 저자奎章閣圖書果 | 발행년도1909
- 영남감영사례(嶺南監營事例)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있다. 현재 남아있는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의 경상도 각 읍의 읍지를 도 단위로 묶은 도지로는 1872년경에 편찬된 『영남읍지』 17책과 1895년경에 편찬된 『영남읍지』 34책이 규장각도서에 있다. 또한, 경상도 각 읍의 개별적인 각 군 읍지는 규장각도서‧국립중앙도서...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 - 지리서 | 현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문·잡지(150)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0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1冊 (75張) 29.0x18.2 H4, p.740. 서울대학교 도서관 한국학 015.51 G999jh3X 奎章閣圖書 韓國本綜合目錄 : 索引 (서울大學校 奎章閣, 1994), p.1327.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10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6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6.2x18.6 印 : [文化世家, 柳承烈印] H4, p.740. 서울대학교 규장각 古1730-102 無 奎章閣圖書韓國本綜合目錄(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94), p.1327대표표제어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62 | 대표서명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 한글서명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古1710-1 無 奎章閣圖書韓國本綜合目錄(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94), p.1336대표표제어사리영응기(舍利靈應記) 3 | 대표서명舍利靈應記 | 한글서명사리영응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산사약초(山史略抄)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장각 奎5952 無 奎章閣圖書韓國本綜合目錄(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94), p.1336. 朝鮮古圖書目錄(朝鮮總督府, 불명), p.173대표표제어산사약초(山史略抄) 1 | 대표서명山史略抄 | 한글서명산사약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삼사요어(三師要語)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709-2 無 內容 : 誡初心學人文, [釋]知訥述, 發心修行章, [釋]元曉述, 自警序, [釋]野雲述. 奎章閣圖書韓國本綜合目錄(서울大學校圖書館 編, 1994), p.1336대표표제어삼사요어(三師要語) | 대표서명三師要語 | 한글서명삼사요어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67)
-
규장각도 / 奎章閣圖 [역사/조선시대사]
창덕궁에 있던 규장각을 그린 그림. 정조가 1776년 즉위한 후 선왕들의 어필과 어제를 봉안하기 위해 창덕궁 내에 규장각(奎章閣)을 창설하도록 하고 그 전경을 그린 그림이다.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의 작품이다.
-
소아론 / 小兒論 [언어/언어/문자]
≪팔세아≫와 함께 그 뒤 1777년(정조 1)에 검찰관 김진하(金振夏)와 서사관(書寫官) 장재성(張再成)에 의하여 사역원(司譯院)에서 다시 고쳐진 후 간행되었다. 이 책은 현재 규장각도서에 2책, 대영도서관(The British Library)과 고마자와대학도서관(駒澤
-
몽어유해 / 蒙語類解 [언어/언어/문자]
사역원(司譯院)에서 간행한 몽골어 대역 어휘집. 현존하는 『몽어유해』는 규장각도서와 일본 도쿄외국어대학 부속도서관에 한 질씩 남아 있다. 규장각도서 소장본은 목판본으로 1790년(정조 14) 방효언(方孝彦)이 다시 개정하여 간행한 것이다. 이 때 『몽어노걸대(蒙語老乞
-
중화군읍지 / 中和郡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남도 중화군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99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지도가 첨부된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편년미상의 『중화읍지』와 한세형(韓世衡)·유경장(柳經章)이 편찬한 『상원지(祥原誌)』가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895
-
증산현읍지 / 甑山縣邑誌 [지리/인문지리]
평안도 증산현(현 강서군 증산면)의 연혁· 인문지리· 행정 등을 수록하여 1857년에 편찬한 지방지.읍지. 1책. 필사본. 규장각도서에 있다. 이 밖에도 1899년 편찬된 『증산군읍지(甑山郡邑誌)』가 규장각도서에 있다. 내용구성은 현명(縣名)·현령(縣令)·본성(本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