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규방가사” 에 대한 검색결과 1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0)

사전(100)

  • 감회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 [구성 및 형식] 어느 여인이 회갑년을 맞이하여 지난날의 회포를 술회한 작품이다.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314구이다. 음수율은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5‧4조와 2‧4조도 드물게 등장한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을 잇는 타원형 지역이다. 그리고 이들 지역의 유교문화적 성격과 의 주류적 성격을 연관지을 때에, 발생지는 도산이나 하회지방으로 추측된다. 는 영조 중엽에 발생하였다고 보는데, 그 근거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을 들 수 있다. ① 가사문학은 사대부층...
    이칭별칭내방가사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 후기 양반 집안의 부녀자들 사이에 유행한 여류문학으로, 특히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부녀자들이 지은 가사를 이르는 말.
    정의조선 후기 양반 집안의 부녀자들 사이에 유행한 여류문학으로, 특히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부녀자들이 지은 가사를 이르는 말.[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gyubang gasa | MR표기kyubang kas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망월사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 [구성 및 형식] 사친연모류(思親戀慕類)의 가사로 경상북도 봉화군 일대에서 채록하였다. 모두 634구이며, 율격은 3‧4조와 4‧4조로 되어 있다. 이 가사는 공부하기 위해 북만주에서 부모 형제를 떠나...
  • 권효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작자‧연대 미상의 . [구성 및 형식]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모두 108구이다. [내용] 부녀자들에게 효도를 권장하는 내용의 작품으로, 만물 중에 사람이 으뜸인 것은 삼강오륜이 있기 때문이며, 그 가운데

구술자료(1)

  • 경북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경북 현장녹음 예술·체육 작품 현대 F-232 1466 경북 현장녹음자료 1) 경상북도 영양군 현장녹음자료이다. 2)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가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애양

기초학문(8)

  • 남성 화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2
    30745 한국연구재단 한국시가학회 2002 남성 화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
    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순회, 게재일 : 2005
    08679 권순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조롱 형태의 놀이로서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에 나타난 ‘혼인문제’와 여성의 인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정수, 게재일 : 2017
    16008 장정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어문학회 2017 에 나타난 ‘혼인문제’와 여성의 인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7
  • 신출 가사 〈즌별가〉, 〈효열가〉와 의 전통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애경, 게재일 : 2003
    34666 박애경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3 신출 가사 〈즌별가〉, 〈효열가〉와 의 전통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근대이행기 와 공적 제도로서의 학교* - 〈생조감구가〉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유정선, 게재일 : 2015
    46137 유정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근대이행기 와 공적 제도로서의 학교* - 〈생조감구가〉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

주제어사전(81)

  • / [문학/고전시가]

    주로 양반 부녀자층에 의해 향유된 가사. 조선 영조 중엽경부터‘가 ’ 또는 ‘두루마리’라는 이름 아래 창작, 전파, 애독되다가 6·25전쟁 이후 거의 소멸되었다. 주로 영남지방 양반집 부녀자들 사이에서 유행되었다.

  • 계녀가사 / 誡女歌辭 [문학/고전시가]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또는 내방가사의 한 갈래로 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계녀가사는 작품 전개에 있어서 독특한 유형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 망부가 / 亡夫歌 [문학/고전시가]

    작자·연대 미상의 . 경상북도 경산군 경산읍 삼성리에서 채집되었다. 4음보를 1행 단위로 할 때 모두 179행이 되며 이밖에도 2음보 1행이 12군데, 3음보 1행이 2군데 나타난다. 이 작품은 결혼 후 부부의 금실이 좋았으나 얼마 후 남편이 출가하여 생사를

  • 관동해가 / 觀東海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후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 내용은 출가한 여인이 동해의 웅장한 경관을 구경하면서 느낀 활달한 기개와 상쾌한 심정을 토로한 것이다. 그러면서도 밤에 월광(月光)을 바라보면서 고향을 그리는 심정을 토로하는 것으로 끝맺은 점은 여성적인 의 범주에 이

  • 화류가 / 花柳歌 [문학/고전시가]

    영남지방(거창 및 안동 지방)에 유포되어 전하는 작자 미상의 . 근세에 향촌마다 부녀자들이 들놀이·산놀이를 즐기면서 지었던 ‘화전가류(花煎歌類)’에 속하는데, 화전가류는 마을마다 많은 이본이 전한다. 경상남도 거창군에서 채집된 「화류가」는 4음보 1행 기준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