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규곤요람” 에 대한 검색결과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중요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 신암문고에 있다. 의 조리학적 고찰(이효지, 문화재 제15호, 문화재관리국, 19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96년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조리서. [서지적 사항] 1책. 한글 필사본. 표지에는 ‘’이라고 쓰여 있고, 본문 첫면에는 '음식하여 먹는 방법’이라고 쓰여 있다. [내용] 난(欄) 바깥에 천일주법(千日酒法)‧목맥...
  • 백일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백일에 걸쳐 빚는 술. [내용] 이 술의 유래나 발상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대본)과 『주정(酒政)』에 그 제법이 기록되어 있다. 『』의 백일주 만드는 법은 정월 첫 해일(亥日)에 찹쌀 3되를
  • 노산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멥쌀로 덧술하여 빚는 술. [내용] 주로 봄에 마시는 술로 『동국세시기』에 3월의 명주로 소개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에서는 멥쌀 1말을 깨끗이 씻어 찌고, 찹쌀 1말을 깨끗이 씻어 가루내어 끓는 물 3말로 죽을 쑤어놓고, 누...
  • 백화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내용]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ㆍ『민천집설()民天集說』ㆍ『증보산림경제』ㆍ『()』ㆍ『규합총서(閨閤...

주제어사전(5)

  • / [생활/식생활]

    1800년대 초엽이나 중엽에 쓰여진 저자 미상의 조리서.1책. 한글 필사본. 고문서를 뒤집은 반고지(反古紙)에 기록하였으며, 앞뒤 몇 장이 탈락되어 모두 18장으로 되어 있다. 고문서 속에 ‘건륭 60년(1795) 8월’이라는 연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1800년대 초

  • 백화주 / 百花酒 [생활/식생활]

    여러 종류의 꽃을 넣어 빚는 술. 술에 향기와 약효를 아울러 주므로 가향주(加香酒)인 동시에 약용 약주라 할 수 있다. 그 제법은 『음식보(飮食譜)』·『민천집설()民天集說』·『증보산림경제』·『()』·『규합총서(閨閤叢書)』·『김승지댁주방문(金承旨宅酒方文)

  • 감향주 / 甘香酒 [생활/식생활]

    술밑을 만들어 빚은 약주. 단양주이며 맛이 꿀같고 향기롭다. 『음식디미방』·『요록(要錄)』·『(閨壺要覽)』·『규합총서(閨閤叢書)』·『양주방』·『김승지댁주방문』 등에 그 제조법이 기록되어 있다.

  • 냉면 / 冷麵 [생활/식생활]

    차게 식힌 국물에 국수를 말아서 만든 음식. 냉면은 ≪동국세시기≫·≪진찬의궤 進饌儀軌≫·≪ ≫·≪시의전서 是議全書≫·≪부인필지 夫人必知≫ 등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어보아 조선시대부터 즐겨 먹던 음식으로 추측되며, 지금도 많은 사람들이 즐겨 먹는

  • 국화주 / 菊花酒 [생활/식생활]

    『고사십이집(攷事十二集)』·『임원십육지(林園十六志)』·『』(고려대학교編)·『음식법』 등에 제조법이 설명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