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귀후서” 에 대한 검색결과 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5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경국대전』의 반포와 더불어 로 바뀌었으며, 관원도 제조 1인과 별제(別提) 6인으로 증원되었다. 별제 6인을 뒤에 4인으로 줄였으며, 실제 업무에 비하여 관원수가 많고 공인(貢人)들의 농간으로 공물(公物)의 허비가 많다는 호조의 지적에 따라, 1777년(...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종육품(從六品) 아문(衙門), 선공감(繕工監) 관곽색(棺槨色), 관곽소(棺槨所), 시혜소(施惠所) 관곽(棺槨) 정치행정/관청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한희숙 1463년(세조 9...
    상위어종육품(從六品) 아문(衙門), 선공감(繕工監) | 하위어관곽색(棺槨色), 관곽소(棺槨所), 시혜소(施惠所) | 관련어관곽(棺槨)
  • 관곽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관곽의 제조‧판매와 장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내용] 원래는 ()의 전신으로서 1406년(태종 6)에 새로이 설치된 것이다. 이것이 1414년에 시혜소(施惠所)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가 얼마 뒤에 귀후소(歸厚...
  • 신당퇴미(神堂退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 신당퇴미(神堂退米)는 외방 신당의 음사(淫祀)에 사용되던 쌀로, 조선전기까지 과세(課稅)를 하여 퇴미세(退米稅)를 거두었다. 1493년(성종 24) 5월 21일 기사를 보면 신당의 퇴미를 세금으로 걷은 관서가 ()임을 알 수 있는데, 는 관곽(棺...
    관련어무격세포(巫覡稅布), 신미(神米)
  • 신미(神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관찰사 김극검(金克儉)이 올린 계(啓)의 내용은 나주(羅州) 금성산(錦城山)의 음사를 금단(禁斷)의 대상이라고 해놓고 해마다 신미 60섬을 ()에 바치게 하는데, 이는 서로 모순되기 때문에 혁파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대신들은 신미가 금법(禁法)을...
    관련어무격세포(巫覡稅布), 신포(神布), 퇴미(退米)

고서·고문서(20)

  • 1896년 하재연(河載衍) 혼서(婚書)-우간(于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진주 운문 진양하씨
  • 1928년 하종란(河淙瓓) 혼서(婚書)-우간(于簡)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혼서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혼서 | 현소장처진주 운문 진양하씨
  • 1593년 안창국(安昌國) 차첩(差帖)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1593년(선조26) 이조(吏曹)에서 안창국(安昌國: 1541~1595)에게 발급한 임명장이다. 도승지(都承旨)가 전해온 왕명에 따라 전(前) 찰방(察訪)안창국을 ()별제(別提)에 임명하였다. 는 장례에 필요한 물품과 관을 판매․...
    내용분류정치/행정-임면-차첩 | 형식분류고문서-교령류-차첩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商賈,潛輸禁松之板者,禁之,謹於法而廉於財,斯可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1310_020_0060_2015_029_XML 029 《續大典》曰:“板商必受本曹及帖文。公私棺材之來泊京江者,什一收稅,修粧板ㆍ松板之不合棺材者,本曹什一收稅。” 【全管國用...
    권차명牧民心書 卷十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衙門貌樣。 故改建次, 所入材木, 移文備局, 請得於江原道麟蹄縣所在木物。 而昨秋以來, 雨水不適, 水上淺灘, 不能流下矣。 今方材木與修粧板等物, 自本所, 烙印着標, 作筏運來之際, 到于纛島, 則所謂收稅處, 挽執不放。 故依前草記定奪辭緣, 半稅後放下之意言送, 則終不聽施, 遷延...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초학문(1)

  • 조선전기 장례문화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희숙, 게재일 : 2004
    04412 한희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조선시대사학회 2004 조선전기 장례문화와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4)

  • /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곽 판매와 예장에 필요한 물품을 공급해주는 일을 담당하던 관서. 종6품 아문이다. 1406년(태종 6)에 좌정승 하륜(河崙)의 건의로 용산 한강변에 설치된 관곽소가 그 시초이다. 이후 세종(世宗) 25년∼세조조(世祖朝) 사이에 귀후소(歸厚所)가 (

  • 관곽색 / 棺槨色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관곽의 제조·판매와 장례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던 관서. 의 전신으로서 1406년(태종 6)에 새로이 설치된 것이다. 이것이 1414년에 시혜소로 그 명칭이 바뀌었다가 얼마 뒤에 귀후소로 바뀌었으며, ≪경국대전≫ 완성 전에 로 개칭되었다.

  • 별제 / 別提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여러 관서의 정·종6품 관직. ≪경국대전≫에 의하면 호조·형조·소격서·교서관·도화서·전설사·전함사·전연사·사축서에 각각 2인, 상의원·군기시·내수사·빙고에 각각 1인, 예빈시·수성금화사·장원서·와서·사포서에 각각 3인, 조지서·활인서에 각각 4인,

  • 오태주 / 吳泰周 [종교·철학/유학]

    올랐고, 오위도총부도총관·조지서제조·제조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