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귀족원”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0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94)
사전(88)
- 귀족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어 왕실의 외척과 종친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게 하였다. 1895년 4월에 궁내부관제를 개정할 때 의빈원과 돈녕원을 통합하여 귀족사(貴族司)라 하고 장례원(掌禮院) 소속으로 하였다가, 같은 해 11월 장례원에서 분리하면서 귀족원으로 개칭하였다.이칭별칭귀족사(貴族司)|돈녕원
- 근대신어 : 상원, 귀족원(貴族院)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27245 상원, 귀족원 사항 貴族院 英國이十三世紀로브터皇室,貴族院,庶民院三者가幷存야政治機關을삼아스나 영국이 13세기로부터 황실, 상원, 하원 3자가 병존하여 정치기관을 삼았으나 李埰雨 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출전十九世紀歐洲文明進化論[右文館]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단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귀족원(貴族院)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630 귀족원 가항 貴族院 上院曰貴族院 상원을 귀족원이라 한다. 英國誌畧 漢城旬報 6 博文局 1883 11 21 20 貴族院: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출전漢城旬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귀족원(貴族院)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631 귀족원 가항 貴族院 日本과英國은二院制의主義採야日本國會貴族院과衆議院으로成立고 일본과 영국은 이원제의 주의를 채택하여 일본국회는 귀족원과 중의원으로 성립하고 兪星濬 法學通論 普昌學校 190...출전法學通論[普昌學校]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귀족원(貴族院)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05632 귀족원 가항 貴族院 君主政体가貴族院과大議士院에셔制限되것과如히 군주정체가 귀족원과 대의사원에서 제한되는 것과 같이 羅瑨/金祥演 國家學 미상 1906 96 貴族院: 小林花眠, 新し...출전國家學[미상] | 계통분류 [정치경제] 정치주체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41)
-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4872016101487_003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官報號外-第52回 帝國議會 貴族院議事速記錄 第1號 관보호외- 제 52회 제국의회 귀족원의사속기록 제1호 국립공문서관 昭47郵政00648100 0083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4882016101488_010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官報號外-第52回 帝國議會 貴族院議事速記錄 第14號 관보호외- 제 52회 제국의회 귀족원의사속기록 제14호 국립공문서관 昭47郵政00648100 0084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4892016101489_017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官報號外-第52回 帝國議會 貴族院議事速記錄 第16號 관보호외- 제 52회 제국의회 귀족원의사속기록 제16호 국립공문서관 昭47郵政00648100 0085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4902016101490_008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官報號外-第52回 帝國議會 貴族院議事速記錄 第17號 관보호외- 제 52회 제국의회 귀족원의사속기록 제17호 국립공문서관 昭47郵政00648100 0086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 조사 집성 | 한국학중앙연구원]20161014912016101491_002 貴族院議事速記録(第52回) 官報號外-第52回 帝國議會 貴族院議事速記錄 第25號 관보호외- 제 52회 제국의회 귀족원의사속기록 제25호 국립공문서관 昭47郵政00648100 0087 1 문서 ...소장처국립공문서관 | 조사일2016. 11. 12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신문·잡지(64)
- 이토 통감과 귀족원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이토 통감과 귀족원 언론 출판 문헌 근대 한양보(漢陽報) 한양보(漢陽報)_1호 伊藤統監과貴族院 1907. 09. 11. 시사 26 42 편집부 대한제국 귀족원 일본 이토 통감의 귀국 환영회를 개최할 수 없다는 귀족...잡지명한양보(漢陽報) | 호수한양보(漢陽報)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이젼돈령부를 귀족원으로 엿더니 지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이젼돈령부를 귀족원으로 엿더니 지금 다시고쳐셔 이젼모양으로 돈령원 이라고 령돈령 원에 쳥양대신 심슌씨오 판돈령 원에 슈교대신 죠병세씨오 지돈령원에 의졍대신 윤용션씨라더라게재일1900년 1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즁츄원의관 김규희로 귀족원경을 명고...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즁츄원의관 김규희로 귀족원경을 명고 비셔승 졍인표 유달원 갈닌에 윤시영 강호로 임 고 비셔승 리죵완으로 장례를 겸임다게재일1900년 3월 5일 | 기사분류관보
- 홍릉참봉 김병셕에 귀족원 쥬 죠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홍릉참봉 김병셕에 귀족원 쥬 죠즁건으로 임고 궁부 번역과 쥬 △긔호로 귀족원쥬를 임고 궁부번역관보 김낙현으로 번역과 쥬를 임다게재일1900년 10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德川別邸の園遊會 (도쿠가와 별장의 원유회)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사진+짧은 기사 도쿠가와 귀족원 의장 태평양양화회 회원초대 원유회 관련 기사작품명_원문德川別邸の園遊會 | 게재일19230320 | 게재판조 | 게재면04 | 게재단1-2
기타자료(1)
- 성주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이후에는 통일신라 김인문의 귀족원찰로 그 성격이 변하였다. 이후 오합사는 화재에 의해 폐기되었고, 847년 그 자리에 성주사라는 선원사원이 창건되었다. 성주사지에서 출토된 유물은 백제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성주사가 창건된 9세기 중엽 이후의 유물이...발행연도1998 | 발굴기관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남도
주제어사전(9)
-
귀족원 / 貴族院 [역사/근대사]
때 의빈원과 돈녕원을 통합하여 귀족사라 하고 장례원 소속으로 하였다가, 같은 해 11월 장례원에서 분리하면서 귀족원으로 개칭하였다. 1900년 돈녕원으로 개칭하였다.
-
김석진 / 金奭鎭 [종교·철학/유학]
1843년(헌종9)∼1910년. 조선 후기의 문신·항일우국지사. 김상헌(金尙憲)의 후손이다.1860년 정시 문과에 급제하여, 궁내부특진관·비서원경·장례원경·귀족원경 등의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매국역도들을 주살하라는 상소를 올렸으며, 1910년
-
메가다 다네타로 / 目賀田種太郞 [정치·법제/외교]
1853-1926. 근대 일본의 재정관료. 한국정부 재정고문. 1891년 요코하마 세관장을 맡았고, 1894년부터 10년간 대장성 주세국장으로서 조약개정과 관련해 근대적 세제를 정비하였다. 1904년 귀족원 칙선의원에 임명되었다. 1907년 9월 남작 작위가 수여되었
-
지돈녕부사 / 知敦寧府事 [정치·법제/법제·행정]
부가 종정부(宗正府)에 통합되고 다음해에 귀족원으로 개칭되면서 폐지되었다.
-
고노에 아쓰마로 / 近衛篤麿 [정치·법제/외교]
1863-1904. 메이지 시대 정치가. 동아동문회 창설. 조선부식론을 주장. 일본 총리였던 고노에 후미마로의 아버지. 1885년 독일에서 수학하였고, 1890년 9월에 귀국하여 귀족원 의원이 되었다. 1898년 11월 청국의 보전과 개선을 강령으로 하여 동아동문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