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귀걸이” 에 대한 검색결과 26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50)

사전(10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터 남녀의 구별 없이 애용하여 왔던 것이다. 삼국시대의 고분에서 금관‧대금구 등과 함께 상당히 많이 출토되고 있다. 이러한 출토물을 통하여 볼 때 우리 나라의 는 그 제작 기술이 우수하며, 형태]제작기법에서 시대적...
  • 장성영천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지방석과 널길 폐쇄석 사이에 끼여 있는 점으로 보아 재차 시신을 안치했을 가능성이 높다. 유물은 대부분 도굴로 교란되었지만 석실 북쪽의 서벽 가까이에서 금제(金製耳飾) 1쌍이 출토되었으며, 돌방 폐쇄석 사이에서 출토된 접시(杯) 1점과 그릇받침(器臺)편들...
    이칭별칭말뫼|말무덤|장성영천리석실분
  • 담양제월리고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5㎜로 금령총(金鈴塚)에서도 출토된 바 있다. 이러한 중국 육조경(六朝鏡)을 모방한 이른바 본뜬거울〔倣製鏡〕은 우리 나라에서보다 일본에서 다량 출토되기 때문에 배에 실려온 것〔舶來品〕이 아닌가 의심하는 의견도 있다. 장신구로서는 금동제반지‧가는고리...
  • 화대정문리유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함경북도 명천군 하고면 정문동(현재의 북한 함경북도 화대군 정문리)에 있는 발해시대의 고분유적. [내용] 특히, 정문리 창덕 3호분에서는 발해시대의 순금제 가 출토되어 주목된다. 창덕 3호분의 구조는 막돌로 관 하나를
  • 금제심엽형이식(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백제시대의 . [내용] 1쌍. 길이 각 8.3㎝. 국보 제156호. 국립공주박물관 소장. 1971년 무령왕릉 조사 때 왕의 목관(木棺) 안 머리 부근에서 발견...

고서·고문서(130)

  • 노보체르카스크 공장 쿠르간 17번 [한국상고사의 공간적 범위확정을 위한 쿠르간 아카이브 구축 | 서울대학교]
    39.43.23 (브랏첸코 S.N.) 1961 BC2천년 BC2천년 지하식 장방형 1개체 성인 도자, 송곳, , 드리개 28점 거골 서부 RU024
    대표표제어노보체르카스크 공장 쿠르간 17번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노보체르카스크 공장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2천년
  • 유물 근대 한국 사진그림엽서 미상 미상 미상 신라 시대 왕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사진엽서 8매 세트 가운데 금관총에서 출토된 순금제 의 사진엽서. 금관총은 1921년 경주시 노서동의 한 민가 뒤들에서 증축공사를 하던 중 금관을 비롯한 4...
    자료명금관총출토 이식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서울대학교 김종일 역사 유물 선사 파지리크 쿠르간 2 불명 파지리크 쿠르간 ?(?/?) 50.43 88.03 BC300년~250년 BC4~3세기 1점 허리띠
    대표표제어파지리크 쿠르간 2 | 발굴조사연대불명 | 고분군파지리크 쿠르간 | 무덤조성연대BC300년~250년
  • 6.89"E 新疆博物館考古隊 1978 전국말~서한초 BC3~2세기 원형 원형 3.0~5.0*0.5 토석혼축 호석 지하식 장방형 토광묘 인골 있음 합장 도관, 바리, 가마솥 화살촉, , 머리핀 도자 ...
    대표표제어特克斯一牧場무덤군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特克斯一牧場무덤군 | 무덤조성연대전국말~서한초
  • 0 42.61.00 (네치타일로 A.L.) 1963-1964 청동기시대 BC20~11세기 지하식 원형 2차 카타콤 2.3*2.5*1.5 2차 2.2*0.9*3.8 1개체 토기 1점 1점, 송곳, 도자 ...
    대표표제어수보로보 쿠르간 2호분 | 발굴조사연대1900년대 | 고분군수보로보쿠르간 | 무덤조성연대청동기시대

구술자료(10)

  • 캄보디아 20161217_033_017_캄보디_01_체아다비_L_ 유래 전설 유래 2016. 12. 17(토) 오후 강원도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조사자 포함 4인 박현숙, 김민수 체아다비 제보자
    국가캄보디아 | 제보자체아다비 [캄보디아, 여, 1983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는 소녀에게 귀한 것을 자신에게 주면 벼를 살릴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자 소녀는 죽은 어머니의 유품인 를 뭇할아버지께 드렸다. 뭇할아버지는 소녀에게 그 를 논에 던지라고 알려주었다. 소녀가 를 던지자, 논에 갑자기 물배추가 나타났다. 모양의 물
    국가베트남 | 제보자융티탄프엉 [베트남, 여, 1988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화 20161217_033_017_캄보디_01_체아다비_L_ 유래 20161217_033_018_캄보디_01_체아다비_F_흰 코끼리 왕의 딸 20161217_033_019_캄보디_01_체아다비_P_떡이 그릇보다 클 수 없다 20161217_033_020_캄보디_0
    원국적캄보디아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너무 가난해서 그렇게 먹는 거도, 밥 먹는 것도, 밥도 매일매일 못 먹고 있대요. 그래서 어느 날 장사꾼 두 명이 욕심쟁이 먼저 그 동네에, 그 마을로 장사하러 왔다가 뭐 파냐면 지금 액세서리처럼 목걸이, 이런 거 파는데 할머니 이 손녀가, “그거 사고 싶다.”
    국가미얀마 | 제보자쏘딴따아웅 [미얀마, 여, 1982년생, 결혼이주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남쪽 부족의 혼인 풍습과 정절 의식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리얼이 먼저고 현대에 와서 퍼포먼스로 바뀌고.] 사니아: 근데 요즘은 그냥 잡혀가는 척하는 데도 있어요. 도시에 그렇게 해요. 왜냐하면 그거 돈 절약하기 위해서 그렇게 해요. 왜냐하면 아쑤바이에바: 결혼식. 사니아: 네. 네. 네. 결혼하기 전에 여자한테 도.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사니아 [카자흐스탄, 여, 1992년생, 유학생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8)

주제어사전(12)

  • / 耳飾 [생활/의생활]

    귓볼에 붙이는 장신구. 사람의 몸을 치레하기 위한 장신구 중에서 가장 일찍부터 사용된 것으로, 고대 동방의 여러 나라에서는 일종의 부적으로 소중히 여겨져왔다. 중국에서는 전국시대 말에서 한대에 걸쳐 이당(珥璫)이라고 불리는 가 성행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도 일찍부

  • / 金製耳飾 [예술·체육/공예]

    신라시대의 금제 . 보물 제557호. 금는 삼국시대 고분에서 다수 출토되는 금속제 장신구의 일종이다. 출토지는 분명하게 알려져 있지 않으며,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다. 경주 보문동 부부총에서 발견된 와 유사한 외형과 장식을 갖추고 있어,

  • 무령왕 금 / 武寧王金製耳飾 [예술·체육/공예]

    백제 무령왕릉에서 발견된 왕의 금. 국보 제156호. 1971년 송산리 5호 무덤과 6호 무덤 사이의 배수로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 무령왕릉은 무령왕과 왕비의 합장묘이다. 묘지석과 함께 모두 108종 2,900여점 이 넘는 유물이 출토되었는데 이 중

  • 경주 노서동 금 / 慶州路西洞金製耳飾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경주시 노서동 215호 무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 보물 제455호. 길이 9㎝.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환(太環)에는 장식문양이 전혀 없고 그 밑에 타원형 중간고리가 있어서 중간부와 수하식(垂下飾)을 달았다.중간부는 중심의 줄거리 주위에 작은 고리로

  • 경주 부부총 금 / 慶州夫婦塚金製耳飾 [예술·체육/공예]

    경상북도 경주시 보문동 부부총(夫婦塚)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 1쌍. 길이 각 8.7㎝. 국보 제90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태환과 타원형 중간고리에 누금세공 수법으로 장식한 점이 특이하다. 태환에는 거북등무늬를 연속시켜 분기점의 환(環)을 중심으로 단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