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궤장” 에 대한 검색결과 59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84)

사전(21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가운데는 둥글고 오목하였다. 지팡이의 머리는 비둘기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국가에서 의 하사는 연로한 대신을 극히 우대하는 예법으로서 받는 사람들이 큰 영예로 여겼다. 신라시대에는 70세로 치사(致仕)하는 대신들에게 을 내리는 제도가 있었는데, 김유신(金庾...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예전에, 임금이 국가에 공이 많은 늙은 신하에게 주는 안석(案席)과 지팡이를 이르던 말.
    정의예전에, 임금이 국가에 공이 많은 늙은 신하에게 주는 안석(案席)과 지팡이를 이르던 말.[고려대 한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gwejang | MR표기kwej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TD_E2_D_0575 관직 七十致仕者 新羅 史 D_17_01_77 대동운부군옥 17권 1장 77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1장 7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연(宴) 때에 임금이 나라에 공이 많은 70세 이상의 늙은 대신에게 하사하던 궤(几)와 지팡이를 아울러 이르는 말. 重以畏氣.張斷將迎孤陋日甚 益覺奉於燕閑之際 蒙.誨於警.之餘, 송홍래(宋鴻來), 40-168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기로소(耆老所), 구각장(鳩刻杖), 오피궤(烏皮几), 치사(致仕) 정치인사/녹훈 물품 도구 신라, 고려, 조선 신라, 고려, 조선 임민혁 보행과 착좌 보조기구 가죽, 목재 ...
    관련어기로소(耆老所), 구각장(鳩刻杖), 오피궤(烏皮几), 치사(致仕)

고서·고문서(362)

  • 백헌사도(白軒賜圖)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면암장석 도명자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勉庵丈席 道命者 冠山墨洞 宋生拜候書 謹封 背違 門右奄經十霜慕庸之誠憧憧于中 者雖有晨夕之勤勞只緣山重水 複道里夐然而瞻望加額而已則前 日承誨結餘無一分發明所謂伯玉 晩工老而彌篤者有非餘人所敢依俙 而擬論也鳳也例托年貌之衰頹自甘於 劃地出脚以爲今日蟄伏窮廬之朽物 從前烏頭之力益...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인사경비:수행인원에게 여비 지불 사안
    작성국가중국 | 원소장처臺灣 中央硏究院 近代史硏究所 檔案館 | 발신일1901.09.
  • 唐魏徵謝於病中上言之日,賜以素屛風素褥等,以遂其所尙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630 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ITKC_MP_0597A_1630_030_1230 唐魏徵謝於病中上言之日,賜以素屛風素褥等,以遂其所尙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
    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冽水文簧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淸士,脫然瀟灑,敝車羸馬,其淸飆襲人。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340 牧民心書 卷十四 ITKC_MP_0597A_1340_040_0010 淸士,脫然瀟灑,敝車羸馬,其淸飆襲人。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
    권차명牧民心書 卷十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1)

  • 도시처녀를 시골새댁으로 만든 전쟁 이야기 [한국전쟁 체험담 조사 연구-현지 답사를 통한 한국전쟁 관련 구술담화의 집대성과 DB구축- | 건국대학교]
    덮고 자니까 집에서 떨어지는 소리가 꽝당 뚱당 막 우르르 소리가 난다고 막 쇠쪼가리 떨어져서 맞았다면 죽는 거야. 내가 얘기 했잖아 동상 똥 누러 갔다가 죽을 뻔 했다라잖아 쇠쪼가리 떨어져서 밤에도 이렇게 보 면 지붕 위에도 쇠쪼가리 막 떨어지면 그 , 그 지붕
    조사지역강원 횡성 | 조사일2013년 8월 8일

기초학문(1)

  • 易의 出土와 易學史的 意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최종성, 게재일 : 2006
    09551 최종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동양철학연구회 2006 易의 出土와 易學史的 意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
    유형논문 | 게재일2006

신문·잡지(6)

  • 衹受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의졍대신 윤용션씨 하사신 궤쟝을 지금지 지슈치 못얏다가 작일에야 지슈 궤쟝연을 셜고 각부부원쳥 대관이 일졔회동 엿고 에셔 기악을 하셧다더라
    게재일1903년 5월 28일 | 기사분류잡보
  •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5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5 釋華嚴旨圓通鈔 석화엄지귀장원통초 형태서지 均如 說 高麗 韓國 木板本 [發行地不明] 大藏都監 [刊寫年未詳] ...
    대표표제어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5 | 대표서명釋華嚴旨歸章圓通鈔 | 한글서명석화엄지귀장원통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39. 大谷大学図書館 別659 無 합본: 釋華嚴旨圓通鈔/균여, 華嚴經三寶章圓通記/균여. 大谷大學圖書館和漢書分類目錄第三 第一分冊(京都: 大谷大學圖書館, 1967), p.427.
    대표표제어십구장원통기(十句章圓通記) 3 | 대표서명十句章圓通記 | 한글서명십구장원통기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 釋華嚴敎分記圖圓鈔 3. 釋華嚴敎分記圓通鈔 10卷2冊, 三寶章圓通記 2卷十1冊, 十句章圓通鈔 2卷 1冊, 旨圓通鈔 2卷 1冊으로 目錄을 各各作成해야 하나 天理大에서 4種16卷을 4冊으로 합철, 裝成하였으므로 1種으로 목록 작성하였음. 4. 合綴: 華嚴經三寶章圓通記...
    대표표제어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4 | 대표서명釋華嚴敎分記圓通鈔 | 한글서명석화엄교분기원통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6 釋華嚴旨圓通鈔 석화엄지귀장원통초 형태서지 均如 著 高麗 韓國 筆寫本 [發行地不明] 大藏都監 [朝鮮末期] 寫...
    대표표제어석화엄교분기원통초(釋華嚴敎分記圓通鈔) 6 | 대표서명釋華嚴旨歸章圓通鈔 | 한글서명석화엄지귀장원통초 | 서지형태형태서지

기타자료(1)

  • 백제 蓋鹵王이 北魏 孝文帝에게 보낸 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짐승이 주인을 따르는 정을 말한다. 을 가지고 있고, 낙랑의 여러 군은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니, 여우는 죽을 때에 머리를 본래 살던 언덕으로 향한다는 것이다. 그 뜻이 變轉되어 고향에 하는 것을 歸正首丘라고 한다. 황제의 위엄이 한 번 움직여 토벌을 행한다면 전투...
    대표표제어백제 蓋鹵王이 北魏 孝文帝에게 보낸 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8)

  • / [정치·법제/법제·행정]

    통일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여러 왕조에서 70세 이상의 연로한 대신들에게 하사한 안석과 지팡이. 조선시대의 안석은 양쪽 끝이 조금 높고 가운데는 둥글고 오목하였다. 지팡이의 머리는 비둘기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국가에서 의 하사는 연로한 대신을 극히 우대하는 예

  • 계해사연첩 / 癸亥賜宴貼 [역사/조선시대사]

    1623년 이원익의 () 하사 축하연에서 지은 축시를 모은 시집. 인조(仁祖) 초에 영의정을 지낸 이원익이 국왕으로부터 ()을 하사 받은 것을 축하하는 연회(宴會)에서 만든 시첩(詩貼)을 후대에 책자의 형태로 필사한 사본이다. 2009년 10월 16일에

  • 노공필 / 盧公弼 [종교·철학/유학]

    영중추부사로 벼슬을 그만둔 뒤 이 하사되었다.

  • 성석린 / 成石璘 [종교·철학/유학]

    이 하사되었다.

  • 유의칭가자 / 遺衣稱架子 [정치·법제]

    국장 발인 의식에 사용되는 가마. 국왕이나 왕비의 부장품을 실은 가마는 소궤채여, 자기궤채여, 악기궤표신궤채여, 변두궤연갑함채여, 유의칭가자, 복완함궤채여, 증옥증백구의명정함채여, 애책채여 등이다. 이 중 유의칭가자는 국왕이나 왕비가 평상시 입던 옷을 실은 가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