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4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39)
사전(54)
- 이우당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권환(權寏)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증손 이호(以鎬)와 종손 상리(相履) 등이 처음 편집하고, 1816년(순조 16)에 6대 손 도(燾)가 다시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굉(金㙆)의 서문이 있고,
- 제남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권환(權瑍)의 시문집. [서지적 사항] 27권 9책. 필사본. 9대손 이선(彛善)이 소장하고 있다. [내용] 제1∼6책은 임촌록(林村錄)‧북정록(北征錄)‧북정후록(北征後錄)‧제음록(濟陰錄)‧서유록(西遊錄)...
- 권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80(선조 13)∼1651(효종 2).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택보(宅甫), 호는 이우당(二愚堂). 아버지는 증사헌부집의 대기(大器)이며, 어머니는 흥해배씨(興海裵氏)로 희도(希度)의 딸이다. 정구(鄭逑...이칭별칭 택보(宅甫)| 이우당(二愚堂)
- 권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장(仲章), 호는 제남(濟南). 할아버지는 근중(근중)이고,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대윤(大胤)이며, 어머니는 순천김씨(順天金氏)로 현감 두...이칭별칭 중장(仲章)| 제남(濟南)
- 권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1954. 시인. [생애] 본명은 경완(景完). 경상남도 창원 출신. 일본 야마가타고등학교(山形高等學校)를 거쳐, 1927년 일본 경도제국대학 독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재학 중 사상 관계로 일본경찰에 검거되었고, 그 뒤 제삼전...이칭별칭권경완
고서·고문서(340)
- 5 第五統統首權還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1765년 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第三十四城隍堂里 5 第五統統首權還之 第五統一戶 禁米保權還之年肆拾貳壬寅本東萊父禮還祖之男曾祖去乙山外祖李時男本月城妻良女朴召史年參拾陸庚戌本密 陽父時南不喩世云祖以贊曾祖正生外祖李天主本月城率...연도_면이름1765년_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면이름제일부내면( 第一府內面) | 마을이름第三十四城隍堂里
- 이우당(二愚堂) 권환(權寏)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826년 권환(權睆)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826년 5월 9일, 권환이『번암집』일과 관련하여 류상조에게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방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잘 지내고 있다고 하고 있다. 이어서 상대방 집안에서 인쇄한 『번암집』을 자신의 관가에서 계속 보고 싶다는 부탁을 받았고 책 한질 값도 받았으니 관가에 지...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32 第三十二統統首權桓之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1789년 하부내면(下府內面) 第二十一內城隍堂里 32 第三十二統統首權桓之 第一戶 老人權桓之年陸拾捌壬寅本安東父禮還祖之男曾祖巨乙山外祖李時男本慶州妻朴召史年陸拾庚戌本密陽父 世云祖二戊曾祖正生外祖李天柱本慶州率子禁米保金巖外年貳拾陸甲...연도_면이름1789년_하부내면(下府內面) | 면이름하부내면(下府內面) | 마을이름第二十一內城隍堂里
- 1907년 권환규(權煥奎) 방매(放賣)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07년 2월 20일에 권환규가 고창군 성동면 학천리에 있는 논 2마지기 5되지기를 110냥에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 10년 안에 되산다는 단서를 달았다.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고창 읍내 안동권씨가
구술자료(8)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초대리2구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예산군 고덕면 예산군 삽교읍 30:43 00:00 A면 1) 논매는소리-방아타령[독창: 최동역] (00:00): 1979-11-28, 인권환녹음, 당진군 고대면 진관1구. 2) 모심는소리-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동역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초대리2구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예산군 고덕면 예산군 삽교읍 30:43 00:00 A면 1) 논매는소리-방아타령[독창: 최동역] (00:00): 1979-11-28, 인권환녹음, 당진군 고대면 진관1구. 2) 모심는소리-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찬교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초대리2구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예산군 고덕면 예산군 삽교읍 30:43 00:00 A면 1) 논매는소리-방아타령[독창: 최동역] (00:00): 1979-11-28, 인권환녹음, 당진군 고대면 진관1구. 2) 모심는소리-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조병섭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초대리2구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예산군 고덕면 예산군 삽교읍 30:43 00:00 A면 1) 논매는소리-방아타령[독창: 최동역] (00:00): 1979-11-28, 인권환녹음, 당진군 고대면 진관1구. 2) 모심는소리-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윤태
- 충남 민요 음악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초대리2구 부여군 규암면 신성리 예산군 고덕면 예산군 삽교읍 30:43 00:00 A면 1) 논매는소리-방아타령[독창: 최동역] (00:00): 1979-11-28, 인권환녹음, 당진군 고대면 진관1구. 2) 모심는소리-방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광덕
신문·잡지(30)
- 건설_1945_01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권환 6 해방이후의 건국일지 6 해방이후의각계건설전망-교육 8 벽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5
- 예술_1946_02_0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표지 및 목차 문인좌담회 속기-조선문학의 지향 한설야, 이기영, 권환, 한효, 박세영. 임화, 김남천, 이원조, 김영건, 한재덕 4 문화정...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6
- 靳指無益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후예야 가권을 환급한즉 양지체가 되야 각령의 독촉이 자심하니 져 가권환급하기 근지으로 외국인의가 슈하난 권한을 졔어수가 업슨즉 샹지하야 연타하난것이 한교졔만 손샹하난지라 부득불 방편을 궁구하난것이 가하니 속히쳐판하야 망을 면케하라 하엿더라게재일1904년 12월 1일 | 기사분류잡보
- 家契換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근일 셩가 일인이 허다이 슈하엿데 한셩부에셔 그가권을 환급지 아니하고 부에 질품하야 여러달 샹지하더니 일본령가 한성부로 죠회하기 가권환급을 슈삭이나 무고이 연타하야 일본인 권리에 손가 불소한고로 루차교셥하되 부지령의 유무만 빙자하야 귀졍될날이 업난지...게재일1904년 11월 9일 | 기사분류잡보
- 신건설_1945_01_0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건설일지 편집부 37 소련의 농민생활기 편집부 43 고향 권환 45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45
기타자료(7)
- 권환균;權煥均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8341 남한 경북 대구공립상업학교 2-17 대구공립상업학교 졸업대장 1928(제1회)~1945(제19회) n.r. 67면 - 권환균;權煥均 경북 17 1943년 12월 20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공립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환갑;權還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475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교우회지 제9호 1929―01―10 116면 권환갑;權還甲 옥천군 基本林山林 監守 제1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환갑;權還甲;안도환갑;安島還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0874 남한 충북 청주농업학교 2-51 청주공립농업학교동창회원명부 1943―02―28 26면 권환갑;權還甲;안도환갑;安島還甲 ■산읍내 제12회 1925년 3월학교소재지역충북 | 학교명청주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1. 동도학원운영권환원에관한청원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1. 동도학원운영권환원에관한청원 1. 동도학원운영권환원에관한청원 교육 문헌 현대 교육법령 심의자료 교육행정 사학범주1교육법령 | 형식국회회의록 | 한글저자6대국회문교공보위원회 | 사료철명국회회의록
- 4. Telegram to CG 7th INF DIV, USAMGIK : 전문, 1946.04.26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기적으로 주고받는 비밀 문서. 4월 25일 전화대화에서 다룬 내용을 확인함. 서울에 있는 중국 영사관에 중국인이나 권환이 있는 사람들 외에는 아무도 출입을 하지 못할 것이라고 전함. 주한미군정청(USAMGIK)은 거주하는 중국인에게 신분 확인증을 배부할 것임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G XXIV CORPS | 수신자CG 7th INF DIV, USAMGIK
주제어사전(2)
-
권환 / 權瑍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716(숙종 42).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근중, 아버지는 증이조참판 권대윤, 어머니는 순천김씨로 현감 두명의 딸이다.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낸 권대운의 조카이다. 이민구에게 수학하였으며, 허목을 사사하였다. 성균관대사성, 개성부유수 등
-
신건설 / 新建設 [예술·체육/연극]
프롤레타리아 연극 건설을 목표로 하여 조직된 극단으로 1932년 4월 창단하여 1934년 7월까지 활동한 극단. 이제까지의 소위 좌익적 극단들이 가졌던 불성실을 배제하고 활발하게 연극활동을 전개하겠다는 의지 아래 결성된 극단이다. 송영, 권환, 신고송, 강호, 이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