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호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5)
- 구만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서원. [내용] 1596년(선조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금인(琴軔)‧남몽오(南夢鰲)‧박장생(朴長生)‧권호신(權虎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연계항목구만서원(龜彎書院)
- 단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곽재우(郭再祐)ㆍ이준ㆍ정경세(鄭經世)ㆍ한준겸(韓浚謙) 등 당시의 저명인사들과 주고받은 것이 많다. 잡저 가운데 「배순전(裵純傳)」은 어느 대장장이의 선행을 기록한 내용이다. 「천유록(闡幽錄)」은 김개국(金蓋國)ㆍ권호신(權虎臣) 등 그의 사우 5, 6인의 충절과...
- 용천연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순경(權舜經)과 동생 권순기(權舜紀) 및 아들 권흡(權○)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63년(철종 14) 권순경의 5대손 권주신(權周新)과 권호신(權虎新) 등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이돈우(李敦...
- 도은집(陶隱集)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었으며, 충절의 선비정신은 오늘날까지도 후학들의 귀감이 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도은집』은 이러한 이숭인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문학을 담은 귀중한 자료로 전해지고 있다. 권호신, 「영남문집해제-도은집(陶隱集)-」, 『민족문화논...
- 봉화군(경상북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60년에 다시 복원되었다. 1596년(선조 29) 봉화읍 화천리 에 구만서원(龜灣書院)이 설립되어 금인(琴靭)‧남몽오(南夢鰲)‧박선장(朴善長)‧권호신(權虎臣) 등을 배향하다가 1868년...
고서·고문서(7)
- 도은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16 松溪 琴‧三松 南舜鰲‧水西 朴‧陶隱 權虎臣 등 네 분을 함께 향사하자고 논의한 것에 대하여 적고 있다. 重建上樑文 16 朴施夏(1~1)가 본래의 위치에서 조금 남쪽으로 이건하고 지은 상량문이다. 지세가 좀 더 넓어진 것 등에 대...분야문학 | 유형문헌
- 기타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正兵戒云曾祖不知外祖裵介本大丘母班婢明眞率女愛丹年伍戊申率女愛月年拾貳辛丑貳 口今加現己酉戶口相准 戶驛吏崔明吉年參拾伍戊寅本迎日父驛吏毛叱男祖驛吏介福曾祖驛吏介文外祖驛吏孫番本慶州母驛女召史妻良女朴召史年 參拾參庚辰本蔚山父良人吾乙未祖良人石來曾祖正兵太信外祖正兵權好信本安東率子愛上年柒丙午率...연도_면이름1672년_대대대현면(大代大峴面) | 면이름대대대현면(大代大峴面) | 마을이름第柒猪內里
- 성암유고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의 행적과 그것으로 인한 풍속교화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龜灣書院養浩樓重修上樑文 12 慶北 奉化郡 奉化邑 花川里 436에 龜灣書院이 있다. 進士 松溪 琴軔(1510~1593), 進士 三松堂 南夢鰲, 都承旨 水西 朴善長(1555~?), 參奉陶隱 權虎臣(1558~1629...분야문학 | 유형문헌
- 고암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文으로 유고집 간행 경위를 적은 것이다. 김시침은 본관이 豊山, 자는 終卿, 호는 一慵齋이다. 金誠一의 외손으로 1635년(인조 13)생원에 합격하고, 西氷庫別提에 제수되었다. 병자호란 이후 벼슬을 그만두고 귀향하였다. 陶隱權先生遺稿後識 4 陶隱權虎臣(1588~16...분야문학 | 유형문헌
- 성서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白堂 金楊震의 증손인 悠然堂 金大賢의 아홉 자제 중 여섯째 아들이다. 16세 때 부친을 여의고 줄곧 백형(奉祖)의 훈도를 받으며 성장하였다. 權斗文 ‧ 權虎臣에게 글을 배우고, 17세 때에는 西厓 柳成龍에게 배웠으며, 1613년(광해군 5) 생원시에 합격한 후, 광...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1)
- 權鎬辰(德屋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鎬辰(德屋商店) 서울 權鎬辰 德屋商店 三坂通 201 식료품 - 쌀 및 잡곡 소매 36 땔감(薪炭)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대표표제어權鎬辰(德屋商店)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쌀 및 잡곡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주제어사전(3)
-
권호신 / 權虎臣 [종교·철학/유학]
1558년(명종 13)∼1629년(인조 7). 조선 중기 유학자‧효자. 조부는 권기수, 부친 권인의 3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권준신‧권언신이 있다. 1582년(선조 15) 식년시 생원 2등 25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길에 오르지 않고,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대
-
구만서원 / 龜灣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화천리에 있는 서원. 1596년(선조 29)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금인(琴軔)·남몽오(南夢鰲)·박장생(朴長生)·권호신(權虎臣)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하였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
-
도은집 / 陶隱集 [종교·철학/유학]
도은 권호신의 문집. 목활자본. 발: 장건덕 장두연. 단책. 1921. 권두에는 권상익이 쓴 서문과 권행으로부터 35세손에 이르기까지의 세계도가 수록되어 있다. 권1에는 차운한 시의 원운을 비롯하여 3편의 시와 4편의 만사, 권2는 부록으로 먼저 단곡 곽진‧장암 김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