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현상” 에 대한 검색결과 1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1)

  • 대소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조선 말기에 아들 주환(胄煥)에 의해 편집, 간행된 듯하다. 권말에 유치호(柳致皜)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권1...

고서·고문서(5)

  • 江都所貿, 則換作惠廳大同米矣。 江都米, 卽是軍餉, 故運納之際, 如或致敗, 則例爲各邑拯劣米, 今春湖南米五百石致敗, 此當爲拯劣米, 而宰臣欲爲速捧, 如是, 仰達矣。 若魯曰, 當初相換, 果如何? 而今旣如此, 則當督捧矣。 上曰, 依爲之。 出擧條 景夏曰, 書後有下敎事, 只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본다. 附錄 輓詞 34 鄭來成, 趙學洙, 朴九寧, 邊始暹, 朴禹寧, 등 6인이 쓴 輓詞이다. 祭文 37 李汝敏, 權垞, 金永集 등 3인이 쓴 祭文이다. 行狀 40 저자의 증손인 權人夏의 청탁을 받아 西山 金興洛(1827~1899)이 쓴 행장이다. 자세한 내용은...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내용이다. 祭權肅如文 6 벗 (1782∼1840)을 애도하여 지은 제문이다. 은 자가 肅如, 호는 大疏齋, 본관은 醴泉이며, 進漢의 아들이요 鄭宗魯의 문인이다. 자질이 아름답고 文章이 뛰어났으나 궁하게 살다가 後嗣를 남기지도 못한 채 떠난 벗을 매우 안타까...
    분야문학 | 유형문헌
  • 두는 것도 아닌(非著意 非不著意)’ 상태를 유지하라는 것이다. 答權聖則(以度) 31 편지 내용은 喪禮의 服制에 대한 것이다. 아마도 權以度가 보내온 편지에 이에 대한 물음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答權肅如(顯相) 31 肅如(1782~1840)에게 답한 글이...
    분야문학 | 유형문헌
  • 拿辦資遣游勇游民各案(유민과 유용의 체포와 송환에 대한 권종) [중국 「外交檔案」 근현대 한중관계 자료의 수집·해제·탈초·정본화 및 DB화 | 전남대학교]
    後至參觀尤爲明證構誣店主實屬駭異幸而文權不◇則已若或 致命將◇虎臣於何辟事係◇有果難擅斷且文◇◇無由質訊 楊范黃三人姑爲分囚以俟處分其銀兩稱量後並與錢兩藥物衣服等件 姑爲封◇修成冊馳報等因準此按照 中朝商民貿易章程第三款有 云其於所在地方有犯法等事即由該地方官拏交就近商務委員按第 二條懲辦等語...
    문서명拿辦資遣游勇游民各案(유민과 유용의 체포와 송환에 대한 권종) | 자료생산總理各國事務衙門 | 관련인물袁世凱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782년(정조 6)∼1840년(헌종 6). 조선 후기 성리학자. 부친 통덕랑 권진한과 모친 남양홍씨 사이에서 2남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동생 권호상이 있다. 정종로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3세 때 문자를 깨우쳤고, 8세 때 기러기가 그려진 병풍

  • 권주환 / 權胄煥 [종교·철학/유학]

    1825년(순조 25)∼1893년(고종 30). 조선 후기 학자. 조부는 권진한이고, 부친은 대소재 이다. 정재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하면서《대학》·《서명》 등을 익히며 성리학 이론을 터득하였다. 교유한 인물로는 도의로써 편지를 주고받은 김흥락 등이 있다.부친

  • 대소재문집 / 大疎齋文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의 시·서(書)·기·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4권 2책. 목활자본. 조선 말기에 아들 주환(胄煥)에 의해 편집, 간행된 듯하다. 권말에 유치호(柳致皜)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09수,

  • 지방화 / 地方化 [지리/인문지리]

    각종 권한과 기능을 중앙에서 지방 또는 지역으로 이양하거나 분산시켜 지역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높여 나가는 분.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대 초반부터 오랜 단절을 거쳐 지방자치제를 다시 시행하면서 지방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2000년대 초반까지는 주로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