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해” 에 대한 검색결과 23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9)

사전(7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필적 1639(인조 17)-1704(숙종 30). 조선 중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개옥(皆玉)| 남곡(南谷)
  • 순(順)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970 인물 순(順) 順 ? ? 조선 후기의 하급관리. 동래부(東萊府) 아전(衙前)이었다. 1683년 동래부의 아전 최정항(崔挺恒) ∙ 여자신(余自信) 등과 함께 관왜(館倭) 근병위(近兵衛)란 자와...
    유형분류인물
  • 동사구문사전 : 권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0785 권하다 권하다I 권-하다1 勸-- 권하여(), 권하니, 권하고 일반동사 vi (다른 사람에게 어떤 일을 하라고) 부드럽게 생각을 제시하며 요청하다. Gently offer an opinion and request s...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기권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0858 기권하다 기권하다I 기권-하다1 棄權-- 기권하여(기), 기권하니, 기권하고 기권을 하다 일반동사 vi (선거나 회의 따위에서) 자신의 결정권을 포기하다. Renounce one's decisive power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 동사구문사전 : 집권하다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 서울대학교]
    4101 집권하다 집권하다I 집권-하다1 執權-- 집권하여(집), 집권하니, 집권하고 집권을 하다 일반동사 vi (어떤 사람이나 집단이) 국가 권력이나 정권을 잡다. (of a person or a group of pe...
    자료문의서울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창섭 교수)

고서·고문서(128)

  • 8 第八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9년_유포면(柳浦面) 1729년 유포면(柳浦面) 第四長登里 8 第八統統首丁 第一戶 良牧子軍丁年伍拾玖壬子本安東父正兵宗善祖秉節校尉龍驤衛副司果士見曾 祖定虜衛世忠外祖良人宋文立本蔚山妻良女李召史年伍拾壹己未本慶州父忠贊衛榮擇 祖定虜衛李宗曾祖定虜衛仁發外...
    연도_면이름1729년_유포면(柳浦面) | 면이름유포면(柳浦面) | 마을이름第四長登里
  • 2 第二統統首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83년_대현면(大峴面) 1783년 대현면(大峴面) 第二十八開雲洞里 2 第二統統首仲 第一戶 仲年伍拾壹癸丑本安東父汗昌二祖不知外祖琴守本奉化妻曹召史年伍拾貳壬子本昌 寧父世起祖夫之二祖不知率子巡營需米軍元伊年貳拾玖乙亥婦文召史年貳拾玖乙亥率女 召史年貳拾...
    연도_면이름1783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二十八開雲洞里
  • 남곡(南谷)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남곡(南谷)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천전 의성김씨
  • 1926년 근저당제증서(根抵當除證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인증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인증서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구술자료(3)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之道理] 하노라고 먼저 몇 잔 먹고 토끼에게 술을 논 것이, 토끼 이 잡것이 물색 모르고, 세상 술과 같은지 알고, 맛보느라고 이삽십잔, 먹어 보느라고 오륙십잔, 한 칠팔십잔을 먹어 논 것이 술이 까빡 취했던가 보더라. 용왕 자(字)를 제가 제 손수 하나 지어 가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명환
  • 박봉술 수궁가 음반녹음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之道理] 하노라고 먼저 몇 잔 먹고 토끼에게 술을 논 것이, 토끼 이 잡것이 물색 모르고, 세상 술과 같은지 알고, 맛보느라고 이삽십잔, 먹어 보느라고 오륙십잔, 한 칠팔십잔을 먹어 논 것이 술이 까빡 취했던가 보더라. 용왕 자(字)를 제가 제 손수 하나 지어 가
    자료구분상세음반녹음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박봉술
  • ] 아이 그저, 본래 치안대라고 그랬지. 자진해서 했고, 여기서 서 하고, 지방에서 했는 데. 나중에 장주경찰서 유격사찰대란 명칭가지고 경찰서를 공 경사란, 이름은 모르겠어. 공 경사가 총책임자였어. [제보자2: 지금은 일행이 서울 한 분 살아 계시요. 여 왜 병수
    조사지역전북 장수 | 조사일2013년 08월 19일

기초학문(3)

  • 미군정청 사법부(the Department of Justice)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실증적 연구-사법부 유석선집(Selected Legal Opinions of the Department of Justice) 제1부의 정리와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소영, 게재일 : 2004
    32537 조소영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법사학회 2004 미군정청 사법부(the Department of Justice)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실증적 연구-사법부 유석선집(Selected Legal Opinions o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참여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해윤, 게재일 : 2015
    56808 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관광경영학회 2015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참여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결정 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권해수, 게재일 : 2016
    17402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6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학사경고 결정 요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16

신문·잡지(18)

  • 質辦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한량소판검가 일진회론박을 견지못야 법부에 쳥원고 일변폐무며 일변으로 회장을 라치야 대질퍈결라고 말은 임의긔엿거니와 법부대신 리하영씨가 그건에야 량 판소에 훈칙얏 일진회민이 면관라권고고 직라힐란은 쳬에게당더러 범범이일...
    게재일1906년 6월 27일 | 기사분류잡보
  • 형평사의 해소운동은 어떠케 되엿는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로서 “인방”, “단결”, “일반 사회단체와의 공동제휴”, “본 계급의 당면한 실제적 이익”, “본 계급의 훈련과 교양”을 기한다는 다섯 조목의 강령 하에, 전 조선에 233개의 지사와 25만여 명의 회원을 갖추고 활발한 활동을 벌여 왔다고 정리함. 그런데 근래 단...
    대표표제어형평사의 해소운동은 어떠케 되엿는가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권승덕 | 출처별건곤 제40호 | 키워드인권해방, 단결, 공동제휴, 해소반대동맹, 무산계급운동
  • 리현실화와 손해보험계의 전망 이재희 13 수필 Dear Mr. Mao (모씨에게 보내는 편지) 김교선 17 항공보험에 관한 고찰 ~독일의 항...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5
  • 법개정안 14 광고7 약사면허 대여에 대한 당국의 유석에 이견 17 거...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 몸을 사랑하는 것과 같다고 말하면서 국권을 세우기 위해서는 민권이 바로서야 한다고 주장함. 이를 위해서는 어린아이에게 애국하는 마음이 생기도록 학교에서 교육을 실시하여야 하며 서로서로 애국할 수 있도록 야 한다고 함. 그러나 당시 관리들은 나랏일에는 관심이 없고 자...
    대표표제어애국자의 사상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대한매일신보사 | 출처대한매일신보 | 키워드애국자, 애국심, 주인의식, 민권과 국권

기타자료(7)

  • 동;東;安本海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0780 남한 경북 김천고등보통학교 2-12 校友會誌 제5집 1941―03―03 45면 동;東;安本海東 선산군 고아면 다식동 제2회 193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김천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植;대야해식;大野海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6171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106면 식;植;대야해식;大野海植 경남 창녕군 남지면 마산리 본과 제19회 1942...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영 나이지리아 고등판무관과 면담, 앞으로 있을 실질 문제 토의에 있어서는 공산 측 결의안들에 공동 제안국으로 가담치말 것과 같이 양 측 결의안에 전면 기줄 것을 요청한다는 등의 내용의 문건. 주영대사, 나이지리아, 고등판무관, 면담, 기록, 한국문제,...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장관 | 수신자주국현대사
  • 누이타 수상 방문 보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주 튀니지 대사 측에서 장관 측에 누이타 수상을 방문하여 한국문제의 투표에서 실질문제에 대해서만이라도 기준 데 대하여 사의를 표현함. 그동안 추진해온 휘스헤이트 비료공장 합자 문제의 귀결이 여의치 못하게 됨. 이에 수상은 미안하다고 말하며 스에즈 운하가 개통되면 한...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주 튜니시아 대사 | 수신자장관
  • Comment on Amb Yang's Report on U.N. Membership Questio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ang) 대사의 유엔 가입 문제에 관한 보고서에 대한 외무부의 의견서. 한국의 유엔 가입에 대해 논의할 시간을 가짐이 바람직하다는 것과 워싱턴 대사관이 찾아보길 지는 점들에 대한 외무부의 관점 제시 UN, United Nations, U.N. Memb...
    국내소장처국립외교원 | 발신자Ministry of Foreign Affairs | 수신자the Ambassador Yang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639(인조 17)∼1704(숙종 30). 조선 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증 이조판서 권위, 아버지는 호조판서 권대재, 어머니는 정랑 이진의 딸이다. 1665년(현종 6)에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부정자로 처음 벼슬길에 오른 뒤, 대사성, 강화유수, 형조참

  • 증반금 / 贈伴琴 [문학/고전시가]

    鎖洞集古)』에 실려 있다. 작자의 연보에 의하면, 반금(伴琴)은 작자가 ()라는 사람에게 붙여준 별명으로, 는 거문고를 잘 탈 뿐만 아니라 음률을 잘 알아서 작자가 가까이 두고 틈틈이 연주하게 하였다.

  • 이만 / 李槾 [종교·철학/유학]

    1669(현종 10)∼1734(영조 10).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융일, 어머니는 김초 딸이다. 작은아버지 현일에게 학문을 익히면서 ·손덕승 등 당시의 대유들과 더불어 고경을 강론하였다. 일찍이 아버지와 형의 권유로 과장에 출입하여 향시에는 거듭 합격하였으

  • 정석림 / 鄭碩臨 [종교·철학/유학]

    1669년(현종 10)∼1739년(영조 15). 조선 후기 유학자. . 부친 정시우의 5남 중 막내로 태어났다. 형 정석현·정석함·정석겸·정석승이 있고, 서제 정석철이 있다. 를 찾아가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정만양·조선장·정규양 등과 도의로써 교유하였다. 문집은

  • 박민효 / 朴敏孝 [종교·철학/유학]

    1672년(현종 13)∼1747년(영조 23). 조선 후기 학자. 부친 박용서와 모친 홍이사 딸 남양홍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권신경 등의 동학들과 더불어 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벼슬은 숭덕전참봉에 그쳤으나 후진교육과 학문에 힘써 이재·권상일 등 당대의 학자들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