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학사목” 에 대한 검색결과 1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1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감사‧수령은 해당 지역의 유생을 대상으로 과시(科試)를 감독하게 할 것 등을 논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상의 은 조선 초기의 교육정책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예로 명경(明經)보다는 제술에 더욱 비중을 두었던 것이나, 학업 성적의 결과를 인...
  • 조흘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유학을 국시(國是)로 삼으면서 교육에 있어서도 『소학』을 선수과목(先修科目)으로 삼았다. 개국 초에 권근(權近)은 「()」을 올리면서, 서울과 지방의 교수관(敎授官)은 생도에게 『소학』을 익힌 다음에 다른 경서를 배우도록 허락할 것이며, 생원시를 거쳐 성...
  • 정록청(正錄廳)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과의 초시에 해당하는 단계에서 한성부 거주 응시자들의 전형을 담당하게 되어 있다. 또 생원시의 초시를 통과한 공생(貢生)에게 사서(四書)와 업경(業經)을 시험 보는 업무도 맡았다. 권근(權近)도 「()」에서 생원시 응시자들이 『소학』을 읽었는지를 정록소로...
    상위어성균관(成均館) | 동의어정록소(正錄所) | 관련어장이소(長貳所)
  • 학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의 성균관‧사학‧종학‧향교 등의 학교에서 학생들의 활동과 수업내용, 처벌 규정을 정한 학칙. [내용] ‘학식(學式)’ 또는 ‘학규(學規)’라고도 했으며, 학령의 기본골격을 제시한 과 깊은 관련이 있다. 현재 성균관...
  • 권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독권관(讀卷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10인을 뽑았다. 한편, 왕명을 받아 경서의 구결(口訣)을 저정(著定 : 저술하여 정리함)하고, 하륜(河崙) 등과 ≪동국사략≫을 편찬하였다. 또한, 유학제조(儒學提調)를 겸임해 유생 교육에 힘쓰고, ()을...
    이칭별칭 가원(可遠)| 양촌(陽村)| 문충(文忠)

주제어사전(1)

  • / [교육/교육]

    1407년(태종 7) 권근(權近)이 작성한 8조목의 교육 규정. ≪양촌집 陽村集≫의 논문과서(論文科書)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 초 유학의 진흥과 학제 및 과거제의 정착을 도모한 학술진흥책이다. 은 조선 초기의 교육정책에 가장 강력한 영향을 끼쳤다. 예로 명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