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필” 에 대한 검색결과 2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62)

사전(1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宋子大全 晴窓軟談 石洲小論(蘇在英, 崇田大學校人文科學硏究所論文集 6, 1976) 필적 1569(선조 2)-1612(광해군 4). 조선 중기의 문인. 글씨는 ≪근묵≫에 있다....
    이칭별칭 여장(汝章)| 석주(石洲)
  • TD_I3_J_0466 시 過鄭澈墓詩, 空山, 蕭蕭, 相國, 風流, 寂寥, 怊悵, 歌曲, 平日, 將進酒詞 J_13_01_01 지봉유설 13권 1장 1절
    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13권 1장 1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구봉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머니는 전주이씨로 기(耆)의 딸이다. 장단의 낙하(洛河)에서 태어나 서울에서 자랐고, ()에게서 시를 배웠다. [내용] 1618년(광해군 10) 생원시에 2등으로 합격하고, 1624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을 거쳐 홍문관수찬...
    이칭별칭 경휘(景輝)| 낙주(洛洲)| 경헌(景憲)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학자문학가 인물 한국 조선 선조~광해군 이현숙 이범직 2008 여장(汝章) 석주(石洲) 양반 남자 1569년(선조...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84(정조 8). 조선 후기의 무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평(子平), 호는 오담(梧潭). 아버지는 수무(壽武)이다. 김원행(金元行)ㆍ송명흠(宋明欽)의 문인이다. 나라를 위해서는 문무를 겸비해야 한다고 생각하여 글을...
    이칭별칭 자평(子平)| 오담(梧潭)

고서·고문서(138)

  • 30389 B030389 인물 江都志 _ _ 寓居 仙源里烟谷. 子恂, 慄之兄也, 官至同知. 晩居仙源檢語串, 扁其堂曰寄傲.] 權慄[轍之子, 字彦愼. 文科, 壬辰以光州牧使, 起兵大破倭賊於熊峙, 事聞除監司. 領兵北上, 又破賊於高陽之幸州, 陞爲都元帥, 爲中興名將,...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390 B030390 인물 江都志 _ _ 佛寺 ... 積石寺[在高麗山南麓, 屬內可坪.] 白蓮寺[在高麗山北麓, 屬洪海面. 僧傳, 高麗山舊有靑紅碧白紫五蓮寺, 今只有此寺云. 詩, 不識招提路, 天寒雪滿山, 忽看煙起處, 知在亂松間.] 傳燈寺[在鼎足山, 屬吉祥...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0391 B030391 인물 江都志 _ _ 古跡 ... , 世傳壬辰年唐將, 以鐵釘釘之以壓勝, 今有乾石井于上]. 鎭江縣[在府南二十五里, 本高句麗首智縣, 新羅改守鎭, 爲海口郡之領縣, 麗朝改鎭江, 仍屬之. 〇詩. 憶曾流落此江頭, 客裡還成爛熳遊, 詩罷野亭花繞...
    출처전거江都志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奎가 쓴 輓詞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017 0011_01 奎가 쓴 輓詞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김계행 종가, 의례, 상례, 시문류, 만사 한자 고문서 BK011.JPG 奎가 쓴 輓詞 詩文類, 詩, 輓詞 奎 미상 미상 21.5 39...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奎가 쓴 輓詞 02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0018 0011_02 奎가 쓴 輓詞 02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김계행 종가, 의례, 상례, 시문류, 만사 한자 고문서 BK011.hwp 崇報齋堂始拜 公 數宵陪話挹高風 淸閑氣味言辭際 謹拙規模動止中 歲暮幽蘭空谷老 春回寶樹菊庭叢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1)

  • 권불가(歌)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좌중의 중심되는 창자이자 노래판을 벌인 집의 주인이기도 한 박봉금 댁을 해거름에 방문했을 때는 대여섯 분 할머니들이 넓은 웃방에서 담요를 깔고 둘러 앉아 윷놀이를 하고 있었는데, 조사자들이 방에 들어가 자리를 잡고서도 윷놀이 판이 끝날 때까지 기다려야 할 정도로 열...
    조사일시1981-07-18 | 조사장소충청남도 보령군 대천 | 제보자박봉금

기초학문(2)

  • 智異山敎文化의 世界遺産的價値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3
    70620 한국연구재단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3 智異山敎文化의 世界遺産的價値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16,7세기 한문학의 미학적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임제와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3
    32055 한국연구재단 한국한문학회 2003 16,7세기 한문학의 미학적 변모 양상에 대한 연구-임제와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2)

  • 십월이십팔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광쥬 관찰 민영쳘 상소 지에 관챨의 직임을 닥그라 옵시고 즁츄원 의관 윤헌 리만교 방한덕 리근호 직상소 비지에 소쳥의시 옵시다 부쥬 윤희구 장지연 신면휴 민긍훈 동병연 권대연은 다 쳥원야 갈니고 공쥬부 쥬 류형긔 갈니고 그에 리졍직으로...
    게재일1898년 10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 가톨릭소년_1968_09_11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이홍우 54 애국시인 선생 - 그 어른은 가셨지만 (11) 이상노 58 가을 정하경 60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8

기타자료(1)

  • 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66520 일본 일본 明治大學 明治大學朝鮮留學生同窓會 회원명부 1939―06―30 41면 주;周 황해도 해주군 月線面 畓洞里 317
    학교소재지역일본 | 학교명明治大學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4)

  • /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의 시인. 승지 권기(權祺)의 손자이며, 권벽(權擘)의 다섯째아들이다.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성격이 자유분방하고 구속받기 싫어하여 벼슬하지 않은 채 야인으로 일생을 마쳤다. 술로 낙을 삼아, 부인이 금주를 권하니 시 「관금독작(觀禁獨酌)」을 지었다. 젊었을

  • 주생전 / 周生傳 [문학/한문학]

    1593년(선조 26)()이 지은 것으로 전하는 한문소설. 1권 1책. 필사본. 「주생전」은 한 젊은 선비와 두 여인 사이에서 이루어진 비극적인 사랑을 전기형식(傳記形式)을 빌어 그려낸 것이다. 고전소설에서 흔히 보이는 비현실적 요소는 없다. 배경·사건·인물

  • 송정조 / 宋廷祚 [종교·철학/유학]

    1568(선조 1)∼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학자. 세량 증손, 할아버지는 구수, 아버지는 응광, 어머니는 윤씨이다. 과는 특별히 친밀한 사이였다. 그러나 이이첨과는 상종을 거부하여, 광해군 당시 북인정권하에서는 서울에 있기를 싫어하여 교하에 복거함으로써

  • 과정송강묘유감 / 過鄭松江墓有感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이 지은 한시. 시의 내용은 “쓸쓸한 빈 산에 우수수 비내리니/재상의 풍류가 여기에 적막하구나/슬프다, 한잔 술 다시 올리지 못하나니/지난날의 가곡이 이 아침과 부합(附合)함이라.”이다. 이 작품에서 ‘가곡’이란 정철의 사설시조(가사라고도 함.

  • 국조시산 / 國朝詩刪 [문학/한문학]

    조선 중기에 허균(許筠)이 엮은 시선집. 9권 4책. 목판본. 정도전(鄭道傳)에서부터 ()에 이르는 35가(家)의 각체시 877수를 수록하고, 편말에 「허문세고 許門世藁」를 싣고 있다. 이 시선집은 오랫동안 발간되지 못하다가 숙종 때에 이르러 박태순(朴泰淳)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