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택모”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
사전(1)
- 만수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권택모(權宅模)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석인본. 손자 상대(相大)가 편집한 것을 1937년 현손 정섭(廷燮)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김석(金㙽)ㆍ정섭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고서·고문서(1)
- 연곡유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던 山訟 문제에 대해 권씨 집안에서 잘 대처하여 군자의 면모를 잃지 않기를 당부하였다. 與權季周(訪,1805) 18 鶴林 權訪(1740~1808)에게 보낸 편지로, 獻官의 임무를 맡았지만 건강이 나빠 출입하기 어렵고 至親의 喪故까지 있기에 손자 權宅模(1774~1829...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3)
-
권택모 / 權宅模 [종교·철학/유학]
1774년(영조 50)∼1829년(순조 29). 조선 후기 성리학자. 조부는 권성익이다. 부친 권세언과 모친 통덕랑 유익춘의 딸 풍산유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조학수의 딸 풍양조씨이다. 손재 남한조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주기설의 병통을 지적하였다. 예
-
권인하 / 權人夏 [종교·철학/유학]
1805(순조 5) ∼1889(고종 26). 아버지 권택모, 어머니는 의성김씨이다. 어릴 때부터 영민하였으며 <소학>‧<효경> 등의 서적을 공부하였다. 33살 때인 1837년(헌종 3)에 정재 유치명 선생을 찾아가 <대학>‧<서명> 등을 공부하였다. 선배 학자들의
-
만수재집 / 晩修齋集 [종교·철학/유학]
만수재 권택모의 문집. 4권 2책. 석판본. 이 책은 저자의 증손 권상대와 현손 권정섭이 주도하여 1936년에 석판본으로 간행하였다. 저자의 조부인 권성익의 <연곡집>도 함께 간행하였다. 행장에 따르면, 저자는 유문이 몇 권뿐이지만, <심의집설>, <예설휘편>, <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