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태일” 에 대한 검색결과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9)

사전(12)

  • 장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3권 1책. 목판본. 1860년(철종 11) 김도명(金道明)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휘령(李彙寧)의 서문이, 권말에 김도명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집(淸陰集)』 장곡선생문집 / (조선 중기, 1569-1631)의 문집인 ≪장곡집≫. 규장각도서.
    이칭별칭 수지(守之)| 장곡(藏谷)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선조~인조 이현숙 이범직 2008 수지(守之) 장곡(藏谷) 양반 남자 ...
  • 오선생예설분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ㆍ학자 정구(鄭逑)가 엮은 예설서. [내용] 전집 8권 3책, 후집 12권 4책, 합 20권 7책. 목판본. 1629년(인조 7) 담양부사 이윤우(李潤雨)의 주선과 관찰사 ()의 도움으로 간행되었다. 권두에 편...
  • 김언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글자로 보였다 한다. 도산(陶山) 근처에 살면서 서사(書舍)를 지어 ‘유일’이란 편액을 걸어놓고 후진을 교육하였다. 문하에서 남치리(南致利)ㆍ정사성(鄭士誠)ㆍ권위(權暐)ㆍ박의장(朴毅長)ㆍ신지제(申之悌)ㆍ() 등 훌륭한 인물들이 배출되어 당시 안동의 학...
    이칭별칭 중온(仲溫)| 유일재(惟一齋)

고서·고문서(23)

  • 육당주인(六堂主人) 시(詩)-봉별권장곡부청심루(奉別權藏谷赴淸心樓)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시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시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64186 B064186 도중 島中 도서 일반 仁祖實錄 七年(1629) 三月 인조실록_10703015_002 ○全羅監司馳啓曰: “扶安之蝟島, 沃溝之古羣山, 皆爲海路門戶。 若設關防於此島, 與湖西諸鎭, 掎角相制, 則所關非細。 但蝟島則無藏船之處, 而古羣山則四面山圍,
    출처전거仁祖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654 B075654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1年 8月 20日_010 ○六品尹奭榮·洪夔觀·金漢朝·李翰相·申泰膺·金鍾瀚·朴初陽·趙卨夏·朴載陽··鄭景潤, 九品尹政求·沈相徽·李普鉉·崔漢柱·高永相·崔泰信·白鳳圭·洪日燮·崔載鏞·金相元·安基寅·朴海兢·孫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2 第二統統首金貴贊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兵守同曾祖不知 外祖正兵金是哲本羅州率女金伊金年伍乙未今加現丁酉戶口准 第四戶 府鄕校書員安汝止年伍拾伍丙午本順興父納粟通政大夫得一祖嘉善大夫同 知中樞府事泰秀曾祖定虜衛大福外祖學生崔應先本江陵妻私婢玉好年參拾玖 壬戌本慶州主星州居父弓人金斗碩祖通政大夫汝正曾祖通政大夫成建外祖通政 大夫金克...
    연도_면이름1720년_대현면(大峴面) | 면이름대현면(大峴面) | 마을이름第七無屯里
  • 11 第十一統統首鄭漢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本安東妻金氏年伍拾捌戊子籍慶州父忠義衛德裕祖忠義衛振聲曾祖忠義衛致鎔外祖 通德郞典涓司直長崔尙厚本永川率子幼學旻覺年參拾柒己酉率婢柳花一所生婢分伊二所生婢分 代三所生婢分春等逃去金海邑內婢貴分年陸拾貳甲申奴束伍軍永金年伍拾貳甲午等壬午戶口相准 第四新戶 幼學李時復年參拾參癸丑本蔚山父學生...
    연도_면이름1765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十六垈如里

신문·잡지(1)

  • 叙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命弘文館學士 從△品徐正淳 命特進官 奎章閣學士金聲根 判敦寧院事洪淳馨命奎章閣學士兼任侍講院日講官 命判敦寧院事特進官朴定陽 穆陵叅奉李彦相陸軍法院主事趙觀夏黃海道觀察府主事權佐銓依願免本官 任穆陵叅奉柳錫根 任陸軍法院主事 軍部主事 任軍部主事 九品石鎭衡 任黃海道觀察府主事 前主事孔泰...
    게재일1904년 12월 1일 | 기사분류관보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9413 남한 경북 대구사범학교 2-16 伏賢會員名簿 (1966년11월말 현재) 1966―11 50면 ; 제3회 1943년 3월 19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사범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대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56307 남한 경북 대구중학교 2-19 倭政時卒業生臺帳, 1925년起 n.r. 10면 권대일; 제4회 1928년 3월 6일
    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대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2023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19면 권대일; 제5회 1921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 [종교·철학/유학]

    1569(선조 2)∼1631(인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증 좌승지 권석충, 아버지는 내시교관 권춘계, 어머니는 경주손씨이다. 큰아버지인 집의 춘란에게 입양되었다. 구봉령의 문인이다. 1599년에는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홍문관교리, 풍기군수, 경

  • 허병률 / 許秉律 [역사/근대사]

    1885-1943년. 독립운동가. 경상북도 경산 출신. 1917년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이 조직한 광복회(光復會)에 가입, 독립운동을 시작하였다. 1919년 9월경 양한위(梁漢緯)·()로부터 상해판 《독립신문》 및 경고문 등을 전달받아 부호와 관공

  • 양한위 / 梁漢緯 [역사/근대사]

    을 위하여 산업을 일으키며 교육을 진흥시켜 나갔다. 1919년 음력 9월경 경상북도 영천역 앞에서 국권회복을 위하여 ()과 협의하고 《독립신문》 경고문 등을 허병률(許秉律)·조선규(趙善奎) 앞으로 발송, 독립의식과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또한 대구시내로 잠입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