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태시”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35(인조 13)∼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형숙(亨叔), 호는 산택재(山澤齋). 아버지는 창업(昌業)이며, 어머니는 남양홍씨(南陽洪氏)로 충의위(忠義衛) 늑(勒)의 딸이다. 장...
    이칭별칭 형숙(亨叔)| 산택재(山澤齋)
  • 산택재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911년 후손 재명(在明)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도화(金道和)의 서문과 권말에 신익호(申翼浩)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 등에 있...
  • 구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주벽(主壁) 문제로 김수일(金壽一) 등의 상소문에 대해 우리나라와 중국선현들의 학설까지 인용하여 반박한 소이다. 부록의 기‧시는 저자가 관직에 종사하던 때를 ()‧유하시(柳夏時) 등이 읊은 것이다.
  • 권석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1835년(헌종 1) 향시에 합격하였으나, 예부의 지색(枳塞)을 당하자 ‘선비가 할 일은 벼슬에 있지 않다. ’ 하고 오로지 학문에만 전념하기로 결심하였다. ()의 남경대(攬景臺)와 홍여하(洪汝河)의 몽학대(夢鶴臺)를 중수하는 데 참여하였...
    이칭별칭 주서(周瑞)| 외암(畏菴)
  • 안동권씨을사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成化譜)가 최초의 판각간포한 것이며 두 번째 편찬이 1605년 을사년에 권기에 의해 편찬된 이 초보이며 1654년 권우(權堣)에 의해 을사보에 기재된 부계친손을 추려 단권으로 간행한 갑오보가 세 번째였다. 1701년 권유(權愈)가 서문을 쓰고 () 등...

고서·고문서(6)

  • 을묘년 () 통문(通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사회-조직/운영-통문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통문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682년 () 소지(所志)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법제-소송/판결/공증-소지류 | 형식분류고문서-소차계장류-소지류 | 현소장처안동 금계 의성김씨 학봉 종가
  • 1690년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포헌선생문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敬德(1489∼1546), 松巖 權好文(1532∼1587), 開谷 李爾松(1598∼1665), 孤山 李惟樟(1625∼1701), 葛庵 李玄逸(1627∼1704), 山澤 (1635∼1719), 荷塘 權斗寅(1643∼1719), 蒼雪 權斗經(1654∼1725), 그리...
    분야문학 | 유형문헌
  • 팔오헌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제문. 挽詞 (41) 저자의 죽음을 애도하는 만사. 지은이는 권두인, 조덕린, 이연완, 권두경 裵正徽, 李浹, 張璶, 權聖矩, 金聖佐, 李杲, 權斗紀, 李栽, 金世欽, 李琓, 朴希閔, 丁惟愼, 李學標, 李後榮, 金昌錫, 李簠, 柳後光, , 柳敬時, 金台重, 金...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35(인조 13)∼1719(숙종 45).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아버지는 권창업, 어머니는 남양홍씨로 충의위 늑(勒)의 딸이다. 장흥효의 문인이었던 아버지 밑에서 공부하였다. 장악원주부, 회덕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산택재문집』4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