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초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
사전(8)
- 권초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시대 출산에 관한 궁중 고유의 의식. [내용] 이러한 궁중의식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분명하지 않으나, 매우 오래된 출산풍속에서 유래된 것이며, 그것이 궁중의식으로 제도화한 것은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비빈(妃嬪)에게 아기를 낳...
- 권초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궁중에서 비빈의 해산이 끝나고 나서 행하던 의식정의궁중에서 비빈의 해산이 끝나고 나서 행하던 의식 | 문광부표기Gwonchorye | MR표기Kwŏnch’ory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권초관(捲草官)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갖춘 권초제로 변화되었다. 권초제에서도 개복신초례와 마찬가지로 헌관을 임명하였는데, 그를 권초관이라 불렀다. 조선시대 왕실 권초례에 나타난 의례변화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권초제라는 의례용어의 등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1598년(선조 31)에 선조의 원손이 탄생했...상위어왕실출산(王室出産) | 관련어개복신초헌관(開福神醮獻官), 권초제(捲草祭), 명미(命米), 명사(命絲), 명주(命紬), 명정은(命正銀)
- 박윤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다복한 사람이 맡았던 권초관(捲草官)으로 선발되어 왕비가 공주를 낳았을 때 권초례(捲草禮)를 주재하였다. 글씨에도 조예가 있어 1807년 단경왕후(端敬王后) 온릉(溫陵)의 비석을 세울 때 해서를 썼다. 살아있을 때 금풍군(錦豐君)에 봉해졌으며, 1827년에 충헌...이칭별칭 덕여(德汝)| 충헌(忠獻)
- 개복신초례(開福神醮禮)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高麗史』 『慵齋叢話』 『東文選』 『養兒錄』 김지영, 「조선시대 왕실 ‘권초례(捲草禮)의 변화」, 『민속학연구』제30호, 2012. 김철웅, 「조선초의 도교와 초례(醮禮)」, 『한국사상사학』 제19집, 2002. ...상위어왕실출산(王室出産) | 동의어개복신초(開福神醮) | 관련어개복신초헌관(開福神醮獻官), 권초제(捲草祭), 소격전(昭格殿)
주제어사전(1)
-
권초례 / 捲草禮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출산에 관한 궁중 고유의 의식. 궁중의식으로 제도화한 것은 조선 초기로 추정된다. 비빈에게 아기를 낳을 징후가 보이면, 태의원제조는 모든 집사관을 거느리고 산전방에 들어가 길한 방향에 출산할 자리를 마련하고, 산전방의 사방에 순탄 출산을 비는 부적을 붙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