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창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3)
- 권창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97(선조 30)∼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동언(東彦). 아버지는 호군(護軍) 덕영(德榮)이며,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로 첨정(僉正) 계홍(繼洪)의 딸이다. 어려서 재주가...
- 구호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창진(權昌震)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맡아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된 뒤 복원하지 못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묘우인 경현사(景賢祠), 강당인 명교당(明敎堂), 전사청(典祀廳)‧신문(神門)‧창사(倉舍...
- 아맹일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학자 권창진(權昌震)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5년 사손(嗣孫) 성좌(成佐)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도헌(柳道獻)의 서문, 권말에 김세락(金世洛)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고서·고문서(8)
- 아맹선생일고(啞盲先生逸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內需司(1794)_황해도 장연현 [19세기 사회경제 변동과 국가시스템의 충돌-규장각 소장 궁방전 관련 자료 데이터베이스 및 심층해제 | 서울대학교]2_090715 18513_0208 奎18513 內需司(1794) 황해도 장연현 朽般坊 황해도 장연현 朽般坊 65 65결 권창진(權昌辰) 권창진(權昌辰)자료번호18513_0208 [奎18513]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芙蓉契題錄 03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昌啓 景述 癸巳 癸酉 仝 權 垕 厚之 壬寅 癸酉 仝 李光前 士述 甲申 乙亥 仝 權昌震 東彦 丁酉 乙亥 啞盲 生員 金時忱 宗卿 庚子 乙亥 仝 羅以俊 棒尤 壬寅 丙戌春春乙亥 梅陰 仝 金 鋼 可久 己酉 乙亥 迂叟 仝 朴安欽 君敬 己卯 仝 宋光心...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장덕필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희재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청하였다. 請進士贈參議啞盲權公加贈上言(代士林作) 16 安東人 進士 贈參議 權昌震(1597∼1683) 에게 加贈해달라고 청한 상언이다. 權昌震은 자가 東彦, 호가 啞盲이다. 부친은 護軍 德榮 이며, 모친은 英陽南氏 僉正 繼洪의 딸이다. 金應祖의 문하에서 수학하여 16...분야문학 | 유형문헌
- 동정집 [영남학파의 사유세계와 역사인식 -영남학파 문집 상세 해제 및 주요저작 번역- (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銘(幷序) 12 安東人 啞盲 權昌震(1597~1683, 字 東彦)의 묘갈명이다. 通政大夫 權德榮과 英陽南氏 사이에서 榮州 奉香里에서 태어났고, 1635년(인조 13)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병자호란이 발발하자 비분강개한 마음으로 의병을 일으켰지만 삼전도의 굴욕 소...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2)
-
권창진 / 權昌震 [종교·철학/유학]
1597(선조 30)∼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학자. 아버지는 호군 권덕영, 어머니는 영양남씨로 첨정 남계홍의 딸이다. 김응조의 문하에서 수학, 1635년(인조 13)에는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다음해 병자호란이 일어나 남한산성이 포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동지들
-
구호서원 / 鷗湖書院 [교육/교육]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4동에 있던 서원. 1780년(정조 4)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권정(權定)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12년에 권두문(權斗文)·김대현(金大賢)·김영조(金榮祖)·권창진(權昌震) 등을 추가 배향하여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