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0)
사전(13)
- 단화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직(權溭)의 시문집. [내용] 6권 5책. 필사본. 서ㆍ발이 없어 필사연대가 미상이고, 권수에 ‘풍수원영사실교열(風樹園永思室校閱)’이라 씌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4에 시(詩) 490수, 부시(附詩...
- 權直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349 權直衡 남자 孝子, 短喪法, 父母連逝, 服衰, 塩菜 龍宮 燕山, 直衡 D_07_01_46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4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4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시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또한 시직은 업무ㆍ기능면에서 당해 진직과 동일했지만, 녹봉(祿俸)은 시직에 재임하는 이상 진직 재임자의 녹봉에 훨씬 미치지 못하는 액수만을 받았으므로, 경제적으로는 녹봉의 절감효과를 가져왔다. 한편 고려조에는 이와 같은 시직 외에도 섭직(攝職)ㆍ차직(借職)ㆍ권직(權職)...
- 섭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지로, 상급의 직무를 수행케 하면서도 그에 상당하는 액수의 녹봉을 지급치 않고 감하여 지급하였으므로 그만큼 국가의 재정부담을 줄일 수 있었다. →시직 「고려시대의 관직(官職)-시(試)‧섭(攝)‧차(借)‧권직(權職)에 대한 검토」(박용...
- 향약절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 1책으로 필사본‧목활자본‧목판본 등 다양하다. 이 책의 몇 종을 살펴보면, 1588년(선조 21)경 안동군 일대에서 시행된 향약을 수록한 것(국사편찬위원회에 소장), 1904년 당시 관찰사와 전주군수로 있던 권직상(權直相)을 중심으로 도내의 전역에 시행된 규...
고서·고문서(52)
- 임자년 권직(權稷)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1904년 권직상(權直相)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1904년11월 14일에 권직상(權直相)이 면 향약장(面鄕約長)에게 보낸 서간이다. 세금을 거두는 일에 협조해달라고 부탁하고 있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1789년 수리색(修理色) 권직형(權直亨))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매매/교역-토지매매명문 | 형식분류고문서-명문문기류-토지매매명문 | 현소장처구례 오미 문화유씨 운조루
- 1903년 관찰사서리전주군수(觀察使署理全州郡守) 권직상(權直相) 훈령(訓令)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03년 11월 12일에 전라북도관찰사서리전주군수권직상이 태인군수손병호에게 보낸 훈령이다. 권직상은 내부 훈령 제 42호에 따라 13도 정리표를 각군에 반포하였으며, 동봉한 제 43호 훈령에 따라 이 정리표를 받은 보첩을 음력 9월 그믐까지 보고하라고 하였으므로,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훈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 1904년 관찰사서리전주군수(觀察使署理全州郡守) 권직상(權直相) 훈령(訓令)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2단계) | 전북대학교]1904년 1월 10일에 전라북도관찰사서리전주군수권직상이 태인군수손병호에게 보낸 훈령 3호이다. 권직상은 관찰사를 대신해서 전년도 7월부터 12월까지의 경비 결산서를 3책 작성하여 보고하라고 하였다.내용분류정치/행정-명령-훈령 | 형식분류고문서-첩관통보류-훈령 | 현소장처동학농민혁명기념관
신문·잡지(74)
- 츈쳔관찰 셔리 츈쳔군슈 권직샹씨가 ...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츈쳔관찰 셔리 츈쳔군슈 권직샹씨가 부로 보고 기를 젼 쥬 김우션이란 사이 삼림위원이라고 칭탁고 령동으로 돌아다니며 황장산 근쳐에 인민들을 죄명을 얼거 가지고 토 일이 허다니 불샹 셩이 견슈 업슬더러 쳐권속을 붓들고 류리 도로 가 허다게재일1900년 1월 6일 | 기사분류잡보
- 부에셔 츈쳔관찰 셔리 권직샹에게로...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부에셔 츈쳔관찰 셔리 권직샹에게로 훈령기를 들은즉 갈닌관찰 졍일영이 임시에 관하각군셩들을 혹이슈도고 혹샹도야 호원이 낭쟈되 상금방송치 안엇다니 불승개탄지라 슈도안과 샹문젹을 고열야 본부훈령을 보이고 다 효유방송케 라엿다더라게재일1900년 8월 3일 | 기사분류잡보
- 탁지부에셔 샹쥬고 남원군슈 권직샹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탁지부에셔 샹쥬고 남원군슈 권직샹씨로 검셰관을 차하야 젼라남북도에 샹납 건톄것을 독쇄게 엿더라게재일1901년 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仍囚査覈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법부에셔평리원으로 훈령기를 젼쥬군슈 권직상의가도고 노치아니일과 검 윤갑병의 시죠실당을 임의 상쥬하되얏슨즉 권직상은 귀 보고로 본원에가도고 경리원공전과 문현쥬 등의민장을 일쳬샤판결후 보고라얏다더라게재일1906년 6월 14일 | 기사분류잡보
- 權氏觀察運動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갈인 젼쥬군슈 권직상씨 군슈의 직임을 보젼랴다못야 쳬임이되얏거니와 동씨 근일에도 관찰를 도득로 별반운동즁 이라더라게재일1907년 2월 5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11)
- 권직;權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87104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면 권직;權稷 전북 익산군 八峯面 林相里 66 舊令 제1회(26명) 1923년 3월 22일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직주;權稷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10379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2면 1. 동창회명부;1) 영생학교 졸업생;(13) 제13회(1924년) 권직주;權稷周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직주;權稷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246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0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1) 철학과;c. 1931년 3월 졸업(11명);(ㄱ) 윤리학 전공 권직주;權稷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직주;權稷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04106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7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1) 철학과;c. 1931년 3월 졸업 권직주;權稷周 (본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직주;權稷周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24278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예과 1-17 경성제국대학예과일람 1926 97면 2. 생도 씨명 (1926년 8월 31일 조사);6) 문과 1학년 B조 (44명) 권직주;權稷周 (본적)함남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3)
-
권직 / 權溭 [종교·철학/유학]
1792년(정조 16)~미상. 조선 후기 문신. 증조는 권일형, 조부는 권흡이다. 부친은 권복, 모친은 여준영의 딸이다. 1827년(순조 27) 3월에 열린 삼일제에서 수석을 차지하여 전시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고, 같은 해 정시에서 병과 24위로 문과 급제
-
단화재집 / 團和齋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권직의 시·전문·논·강설 등을 수록한 시문집. 6권 5책. 필사본. 서·발이 없어 필사연대가 미상이고, 권수에 ‘풍수원영사실교열(風樹園永思室校閱)’이라 씌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4에 시(詩) 490수, 부시(附詩) 37수, 권5에 시 2
-
남원금남재 / 南原錦南齋 [예술·체육/건축]
방주를 사용하였다. 몸채 중앙간 상부에는 권직상이 쓴 ‘錦南齋’라는 현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