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중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9)
사전(23)
- 권중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54(철종 5)∼1934. 조선 말기의 관리.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초명은 재형(在衡), 호는 경농(經農). 충청북도 영동 출신. [생애와 활동사항] 일찍부터 일본어를 배워서 일본 정계의 사정에 밝았다. 그 후 ...이칭별칭 경농(經農)
- 권중현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일러전쟁 직후 내각의 농상공부 대신으로, 일러전쟁에서 일본이 승리 후 조선에 온 이등박문이 손택호텔에 머물면서 내각 제원을 초청하여 한일협약을 강요하려 할 때에, ‘마관조약에서는 조선의 자주독립을 주장하던 이등 대사가 오늘 자주권을 거두라는 것은 모순이 아닌가 ?’라고...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이홍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암살하기로 하였다. 자신은 군부대신 권중현(權重顯)을 암살하기로 하고, 강원상(康元相)과 함께 사동(寺洞)에서 기다렸다가 권중현이 탄 인력거를 습격하였으나 호위 일본 군인의 반격으로 실패하였다. 그 뒤 만주로 망명하여 1910년 동학당(東學黨)을 조직하였고, 1...
- 서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민회(大韓新民會)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고 이완용을 비롯한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암살을 계획하였다. 같은 해 광주에서 대한협회 광주지회를 조직하였으며, 동시에 의병운동을 후원하기도 하였다. 1907년 2월 권중현(權重顯) 암살미수사건에 연루되어 진도(珍島)에 5년...이칭별칭 농천(農泉), 묵재(默齋)
- 김사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후 1905년 다시 경무청 경찰국장에 임명되고, 1906년 경무사, 중추원 찬의, 1907년 임시서리 경무사사무, 경무사 등을 지냈다. 1907년 5월 군부대신 권중현(權重顯)이 백주에 저격당하고, 심사국장(審査局長) 박용화(朴鏞和)가 집에서 피습된 사건이 발생...
고서·고문서(19)
- 90.10.17. 강화도 건평리, 간첩 이선실 및 고첩 황인오 입북(사후인지) ’92.10.5 고첩 황인오(’56.4.23.)형제를 검거하여 확인결과, 남한 조선 노동당 북한 공작 총책 간첩 이선실(당서열 22위) 및 황인오를 대동 입북시키기 위해 ’90.10.17, 24:00(음8.29,수) 강화도 양도면 건평리(BG711724) 해안으로 간첩 4명(안내원,선박조)이 침투하였다함. 이들은 부근 쌍묘에서 접선하고 반잠수정에 탑승(간첩 김동식 등 2명, 황인오, 이선실 등 총 8명 탑승)하여 입북한 사실 확인 공작조장 권중현과 조원 김동식은 복귀후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음 (반잠수정 이동중 뻘지대 50~70M는 도보로 이동) [분단 70년 DMZ 남북 충돌(군사)사례 DB구축: 1945~2015 | 동국대학교]김동식 등 2명, 황인오, 이선실 등 총 8명 탑승)하여 입북한 사실 확인 공작조장 권중현과 조원 김동식은 복귀후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음 (반잠수정 이동중 뻘지대 50~70M는 도보로 이동) 대한민국(남북한) 육군본부 단행본 『대침투작전사①(1981년~2...대표표제어90.10.17. 강화도 건평리, 간첩 이선실 및 고첩 황인오 입북(사후인지) ’92.10.5 고첩 황인오(’56.4.23.)형제를 검거하여 확인결과, 남한 조선 노동당 북한 공작 총책 간첩 이선실(당서열 22위) 및 황인오를 대동 입북시키기 위해 ’90.10.17, 24:00(음8.29,수) 강화도 양도면 건평리(BG711724) 해안으로 간첩 4명(안내원,선박조)이 침투하였다함. 이들은 부근 쌍묘에서 접선하고 반잠수정에 탑승(간첩 김동식 등 2명, 황인오, 이선실 등 총 8명 탑승)하여 입북한 사실 확인 공작조장 권중현과 조원 김동식은 복귀후 공화국 영웅칭호를 받음 (반잠수정 이동중 뻘지대 50~70M는 도보로 이동) | 저작권자육군본부 | 자료구분단행본 | 키워드간첩, 침투
- 공과신격(功過新格)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기타종교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국재선생실기(菊齋先生實紀)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전기-행장 | 형식분류고서-역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395 B07539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0年 8月 29日_004 ○東萊監理主事李能雨, 江原觀察府摠巡李漢翊依免, 前摠巡李倫永免懲戒。 金昌演任東萊監理署主事, 昌原港摠巡金光玉任江原道觀察府摠巡, 陸軍法院長權重顯命署理武官學校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5397 B07539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高宗 40年 8月 29日_004 ○東萊監理主事李能雨, 江原觀察府摠巡李漢翊依免, 前摠巡李倫永免懲戒。 金昌演任 東萊監理署主事, 昌原港摠巡金光玉任江原道觀察府摠巡, 陸軍法院長權重顯命署理武官學校長。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5)
- 不恭懲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포병 견습참위 민병옥씨가 보직에 락과을 분한야 군부대신 권중현씨 방문야 보직을 견차로이 엿다고 불공셜화엿다더니 그건이 죠률되아 오십에쳐엿다더라게재일1905년 4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조선출판경찰월보 040호 직재집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40호 직재집 직재집(直齋集) 14책 미기재 박연(朴淵) 경성(京城) 조선_1931년 12월 16일 삭제 치안 한문 이지용, 이완용, 박제순, 이근택, 권중현, 민영환,...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40호 직재집 | 출판물명직재집(直齋集) 14책
- 조선출판경찰월보 018호 삼천리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먼저 당시 육군 대신(大臣) 권중현(權重顕)을 저격한 일이 있다. 운운. (끝)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 문한별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18호 삼천리 | 출판물명삼천리(三千里) 제2권 제2호 추가
- 敍任及辭令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陸軍副將朴齊純 李址용 閔泳騎 權重顯 正二品 李夏榮 陪從武官長李根澤 任 中樞院顧問 五月三十一日 解刑法校正總裁 法部前大臣李夏榮 命刑法校正總裁 法部大臣 趙重應 以上五月二十九日 命掌禮院卿 正二品南廷哲 命判敦寧司事 從一品金宗漢 命知敦寧司事 特進官趙漢國 依願免本官 中樞院副贊議洪...게재일1907년 6월 4일 | 기사분류관보
- 國民敎育會捐補人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閔泳喆氏 一千元 리允用氏 五百元 李夏榮氏 一百元 리寅榮氏 五十元 李봉來氏 五十元 吳相奎氏 一百元 李鐘浩氏 二百元 白南信氏 二十元 李炳鼎氏 二十元 安永基氏 二十元 李完用氏 三百元 鄭澤基氏 八元 리容泰氏 一千元 閔泳煥氏 五百元 權重顯氏 三百元 리 甲 氏 三十元 嚴柱益氏게재일1905년 10월 19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
- 권중현;權重賢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1211 남한 경북 대구농업학교 2-15 졸업대장(1회~33회) n.r. 185면 권중현;權重賢 경북 청송군 안덕 명당동 331번지 제33회 4277년 12월 21일학교소재지역경북 | 학교명대구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3. 일본 정부가 대한제국의 ‘상무고문’으로 지명한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ED. 클라버리, 프랑스 영사 프랑스 외무부 외교문서(보고서) 1909년 1월 18일 파리 ED. 클라버리, 프랑스 영사 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더럼 화이트 스티븐스, 이종건, 김성근, 박용화, 조병식, 권중현, 신태휴, 이용구...집필자ED. 클라버리, 프랑스 영사 | 작성연도1909년 | 작성월일1월 18일 | 발신자ED. 클라버리, 프랑스 영사 | 수신자델카세,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8)
-
권중현 / 權重顯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친일파 관리(1854∼1934). 을사오적 중 한 사람. 1884년(고종 21) 부산감리서 서기관에 이어 주일공사, 한성판윤, 참찬, 법부, 군부대신을 역임했다. 농공상부대신으로서 을사조약 체결에 찬성했다. 1910년에 일본 자작(子爵)이 되었다. 조선총통부
-
강원상 / 姜元相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조선 순종 때에 활동한 독립운동가. 1907년 나인영(羅寅永)·오기호(吳基鎬)와 함께 을사오적(乙巳五賊)의 암살을 계획했다. 을사오적은 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이근택(李根澤)·이완용(李完用)·권중현(權重顯)이다. 3월에 권중현을 저격하려다 체
-
공과신격언해 / 功過新格諺解 [언어/언어/문자]
조선 말기의 학자 권중현(權重顯)의 『공과신격(功過新格)』(1905)을 국문으로 번역한 언해서. 1906년에 간행하였다. 3권 1책. 목판본. 판심서명은 ‘공과신격’으로 되어 있다. 간행비용을 맡았던 길인수의 ‘서’가 맨 앞에 붙어 있다. 이 서문에서 간행동기가 과편
-
대한강역고 / 大韓疆域考 [지리/인문지리]
뽑아 인용하였으며, 밑에는 저자의 견해를 밝힌 안설(按說)이 첨록되어 있다.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권 첫머리에 삼한·사군·신라·백제·북간도의 지도 5매를 장지연이 삽입하였다. 둘째, 서문에는 권중현(權重顯)·조정구(趙鼎九)·김택영(金澤榮)·김교홍(金敎鴻)
-
최동식 / 崔東植 [역사/근대사]
생몰년 미상. 한말의 애국지사. 1905년 을사조약이 일제의 강압으로 늑결되자 조약의 폐기를 주장하였고, 또한 조약체결에 찬동한 박제순(朴齊純)·이지용(李址鎔)·이근택(李根澤)·이완용(李完用)·권중현(權重顯) 등 5대신의 처형을 주장하는 고발장을 제출하였다가 붙잡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