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정성” 에 대한 검색결과 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2)

  • 민태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46(영조 22)∼1806(순조 6).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자삼(子三). 할아버지는 승수(承洙)이고, 아버지는 백종(百宗)이며, 어머니는 ()의 딸이다. 백형(百亨)에게 입양하였다.
    이칭별칭 자삼(子三)
  • 권상하(權尙夏)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권격(權格) 함평이씨(咸平李氏): 이초로(李楚老)의 딸 (동생)권상유(權尙遊) 이씨(李氏): 이중휘(李重輝)의 딸 →(자녀)1남 (1남)권욱(權煜) 권양성(權養性), () 『한수재집(寒水齋集)』, 『삼서...

고서·고문서(4)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落南以來 便梯無憑 因京遞附書 或可早晩登覽 而臨便輒患卒卒 用致闕候 經年每一念來 歉悵交至 客冬因江上 獲奉八月初六下狀 書出雖久 足慰傾慕之私 矧奉多少諭意 實無異合席亹亹 尤可幸也 信后歲改 伏惟靜居味道 一樣珍勝 弟舊患風眩 與歲增深 老境吏役 敗意多端 而姑不能拂衣賦歸 人事堪歎 行狀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이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逖聞執御住江上爲日 而在遠 旣失一拜 倥傯又闕書問 此間歎悵 想未及細諒 而爲所訝惑也 節深淸和未委旅中學履何似 瞻注瞻注 弟身姑無患 只以我病 閱旬惱苦素患懶症 乘時發作 爲不能沮抑 雖曰勤苦 原其所業足愧爲君子稱道 況並去此而抛却者耶 尤愧尤愧 返旋之期 若免燕鴻之歎 何幸何幸 千萬拔忙草此 伏...
    분야문학 | 유형문헌
  • 36251 B036251 남해현령 南海縣令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25年 3月 25日_028 ○以金光泰爲氷庫別提, 以鄭樸爲司僕主簿, 以趙昌禧爲司畜別提, 以鄭弘來爲司饔奉事, 以康弘濟爲相禮, 爲廣興守, 以金宗洙爲禮曹正郞, 以安商楫爲漢城主簿, 以韓光德爲居昌府使, 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정기(東征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
    征記) 채지홍 ▪일시 : 1740년 4월 1일~5월 10일 ▪동행 : 윤봉구(尹鳳九), 한원진(韓元震), () ▪일정 : 4월 1일~3일 : 청풍 황가 4일 : 청풍-제천읍 5일 : 제천읍-원주 주천(酒泉) 6일 : 주천-평창 약수역...
    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채지홍(蔡之洪)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677년(숙종 3)∼1751년(영조 27).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증조는 집의 권격, 조부는 한수재 권상하이다. 부친 부사 권욱과 모친 현감 김진수의 딸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목사 송병익의 딸이다. 조부 권상하의 슬하에서 학문을 익혔다. 관직은 돈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