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재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
사전(3)
- 금주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권3에 서(書), 권4에 서(序)‧발‧변‧명‧기, 권5에 설, 권6에 애사‧제문‧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당시 영남 지방에 학자로 알려진 권재대(權載大)‧유치명(柳致明) 등과 사칠이기(四七理氣)에 대하여 논변한 것이 가장 많다. 설에는 『대학』을...
- 서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소(疏)에는 사림을 대표해 권벌(權橃)을 문묘(文廟)에 배향시키자며 올린 글과 당시 을사명현(乙巳名賢)이라 불리던 김의정(金義貞)의 시호(諡號)를 청하는 상소가 있다. 서(書)는 이휘령(李彙寧)ㆍ권재대(權裁大)ㆍ이한응(李漢膺) 등에게 보낸 것인데, 단편적이기는 하나 모...
- 심암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연기할 것을 요청한 것, 정치적 사건과 관련하여 철종 연간에 이명혁(李明赫)‧유치명(柳致明)‧권재대(權載大) 등을 탄핵한 것 등이 있다. 주는 저자가 좌의정‧우의정‧영의정 등에 재임할 때의 것으로, 왕에게 직접 아뢴 연주(筵奏)가 26편 포함되어 있다. 그 가운...
고서·고문서(18)
- 도도(島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916 B050916 도도 島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哲宗 6年 11月 8日_015 ○義禁府啓曰, 本府徒流案中, 全羅道羅州牧智島島置罪人柳致明, 靈光郡荏子島島置罪人權載大等名下, 放字書下矣。 柳致明·權載大, 罪犯甚重, 臺啓方張, 不得擧行之意, 敢啓。 傳曰, 卽爲擧...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도(島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917 B050917 도도 島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哲宗 6年 11月 13日_015 ○義禁府啓曰, 本府徒流案中, 全羅道羅州牧智島島置罪人柳致明, 靈光郡荏子島島置罪人權載大等名下, 放字書下, 而其時臺啓方張, 不得擧行矣。 今則臺啓已停, 竝放送事, 分付該道道臣, 何如...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도(島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50915 B050915 도도 島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哲宗 6年 11月 6日_012 ○左承旨李興敏, 左副承旨朴承輝, 右副承旨李濟達, 同副承旨李容殷等啓曰, 臣等卽伏見徒流案下者, 有智島島置罪人柳致明, 荏子島島置罪人權載大倂放之命矣。 臣等相顧愕眙, 竊不勝憂歎之至。 噫...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卽酌處, 雖出於大聖人好生之德, 豈有亂言不道自服遲晩, 而罰止島配, 假息覆載之間者乎? 若以言出卑賤, 事已勘處, 置而勿論, 其可曰闡義理而嚴懲討乎? 請古今島爲奴罪人韓鼎鎭, 亟令王府, 卽爲拿來, 嚴鞫得情, 夬正典刑。 答曰, 不允。 兩司合啓中柳致明·權載大事, 停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배(島配)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府, 卽爲拿來, 嚴鞫得情, 夬正典刑。 答曰, 不允。 兩司合啓中柳致明·權載大事, 停啓。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3)
-
권재대 / 權載大 [종교·철학/유학]
자도에 유배되었다. 1855년(철종 6) 철종은 정조 때부터 벼슬살이를 시작한지 60년이 된 권재대 축하 해주는 것이 선조인 정조임금에 대한 도리라고 하며 공조참판을 특별히 제수하였다.
-
유반잡록 / 留頖雜錄 [언론·출판/출판]
사부(史部) - 정서류(政書類) 편자미상, 필사본, 1855년(철종 6), 불분권 1책(40장). 1855년 유치명(柳致明), 권재대(權載大)와 관련된 상소들을 모아 등사한 책으로《壬子疏廳日記》와 연결된 내용이다.
-
금주집 / 錦洲集 [종교·철학/유학]
에 서(序)·발·변·명·기, 권5에 설, 권6에 애사·제문·부록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에는 당시 영남 지방에 학자로 알려진 권재대(權載大)·유치명(柳致明) 등과 사칠이기(四七理氣)에 대하여 논변한 것이 가장 많다. 설에는 『대학』을 비롯하여 성문·지지·음양·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