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인하”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
사전(2)
- 소헌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권인하(權人夏)의 시문집. [내용] 6권 3책. 목판본. 1911년 손자 상대(相大)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연세대학교 도서관과 계명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에 시 113수, 권2에 서(書) 51편, 소(...
- 관동창의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秉埰)‧권인하(權仁夏) 모반사건, 의진의 북상과 해산 등에 이르기까지 1896년 8월까지 지속했던 강릉의병의 활동 전모가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 가운데서도 특히 유인석(柳麟錫)이 이끄는 제천의병과 강릉의병이 불편한 관계에 있었다는 사실, 민용호로부터 함경도소...이칭별칭존주록
고서·고문서(16)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爲忠翊將, 洪亮煥·鄭致廈爲昌德將, 崔錫弘爲訓鍊主簿, 尹用求爲文兼, 權寅夏·嚴鶴永爲守門將, 任翊準爲全羅中軍, 李庚稙爲群山僉使, 李孝秀爲慶尙左兵虞候, 柳永俊爲德浦僉使, 羅卿雲爲美錢僉使, 田在英爲草芝僉使, 朴桂益爲德津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포첨사(德浦僉使)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寅熙·申泰善爲副摠管, 洪台燮爲宣傳官, 安景元·高昌濟·金光順·李東根爲五衛將, 韓用河·申驥休爲忠翊將, 高宅英·金鍾玉爲昌德將, 朴鳳彬爲文兼, 洪獻周·安晶玉爲守門將, 元用熙爲城津僉使, 洪致周爲德浦僉使, 同知單李濂, 僉知三單, 申命衍·金鎭民·朴慶會, 副司果權寅夏·嚴鶴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덕진(德津)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49963 B049963 덕진 德津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高宗 8年 6月 20日_024 ... 羲復爲副摠管, 李敏樹爲訓鍊都正, 洪俊模爲兼司僕將, 趙升熙·許琠·洪宇燮·康仁誠爲五衛將, 朴海龜·南廷祐爲忠翊將, 洪亮煥·鄭致廈爲昌德將, 崔錫弘爲訓鍊主簿, 尹用求爲文兼, 權寅夏·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38 第三十八統統首朴寬業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기이다. 第四戶 業武김在成年貳拾柒丙辰本김海父尙鳳祖璣爀曾祖永長外祖 李錫奎本慶州妻김姓年貳拾伍戊午本慶州父文錫祖應燮曾祖成 輝外祖李裕星本慶州等己卯戶口相准 第五戶 業武成周斗年肆拾壹壬寅本昌寧父喆元祖聲德曾祖圭英 外祖嘉善大夫權仁夏本安東妻김姓年參拾捌乙巳本김海父景 佑祖斗曾祖光範外祖김大...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三南洞里
- 27 第二十七統統首김永浩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第四戶業武成周坤年肆拾癸卯本昌寧父喆元祖聲德曾祖圭 英外祖嘉善大夫權仁夏(年)安東妻李姓年參拾貳辛亥本慶 州父采祥祖致守曾祖善種外祖김象穆本김海婢丁丹年壬子等 己卯戶口相准 * 本의 오기이다. 第五戶業武김英年貳拾陸丁巳本慶州父尙佑祖應喆曾祖福只外祖 安益達本順興妻朴姓年貳拾肆己未本密陽父...연도_면이름1882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一東洞里
주제어사전(3)
-
권인하 / 權人夏 [종교·철학/유학]
1805(순조 5) ∼1889(고종 26). 아버지 권택모, 어머니는 의성김씨이다. 어릴 때부터 영민하였으며 <소학>‧<효경> 등의 서적을 공부하였다. 33살 때인 1837년(헌종 3)에 정재 유치명 선생을 찾아가 <대학>‧<서명> 등을 공부하였다. 선배 학자들의 사
-
연곡유집 / 延谷遺集 [종교·철학/유학]
권성익의 문집. 2권 1책. 석인본. 권정섭의 증조부인 소헌 권인하와 종숙부 질암 권경모가 편집한 뒤에, 권정섭의 아버지인 긍재가 몇 사람에게 교정을 청하여 2책으로 정리했고, 권정섭이 이를 석인으로 간행하였다.
-
소헌집 / 素軒集 [종교·철학/유학]
권인하의 문집. 6권3책. 목판본. 권1에는 시가 98편, 권2에는 편지가 51통, 권3은 잡저로 통문과 남초설 등이 6편, 서문이 7편, 기가 5편, 잠 1편, 찬 1편, 상량문 2편, 축문 8편, 뇌사 8편, 권4는 제문 21편, 전 4편, 행장 2편, 권5는 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