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오복” 에 대한 검색결과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6)

사전(3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467(세조 13)∼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예천(醴泉). 자는 향지(嚮之), 호는 수헌(睡軒). 예천 출신. 상(詳)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유손(幼孫), 아버지는 별좌 선(善),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
    이칭별칭 향지(鄕之)| 수헌(睡軒)| 충경(忠敬)
  • TD_L14_D_0905 인물 受業, 文章, 淸健, 學行, 高潔, 登第, 翰苑湖堂, 推重, 莫逆交, 弘文校理 燕山戊午 醴泉 嚮之, 睡軒, 佔畢齋, 我成廟, 金馹孫, 馹孫 D_05_01_129 대동운부군옥 5권 1장 12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1장 12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이문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현도(顯道), 호는 세촌(細村). 증조는 진(進)이고, 할아버지는 권생(權生)이며, 아버지는 감무 계상(繼祥)이다. 일찍이 김일손(金馹孫)ㆍ() 등과 더불어...
    이칭별칭 현도(顯道)| 세촌(細村)
  • 강백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493년 경상도관찰사 이극균(李克均)으로부터 선정사실에 대한 장계(狀啓)로 가자(加資)되기도 하였다. 이듬해 다시 내직으로 들어와 사헌부장령ㆍ사간원사간을 지냈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일손(金馹孫)ㆍ()ㆍ권경유(權景裕) 등이 대역죄로...
    이칭별칭 자온(子?)| 무명재(無名齋)| 효량(孝良)
  • 봉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에 있었던 서원. [내용] 1681년(숙종 7)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1869년(고종 6...

고서·고문서(11)

기타자료(3)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280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16면 - ; 1928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375 일본 京都 第三高等學校 第三高等學校一覽 昭和5年4月~昭和6年3月 1930―07―30 137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第三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9434 일본 京都 第三高等學校 第三高等學校一覽 昭和6年4月~昭和7年3月 1931 138면 ; 조선
    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第三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1467(세조 13)∼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할아버지는 권유손, 아버지는 별좌 권선, 어머니는 이조판서 이계전의 딸이다.김종직의 문하생으로 당시의 청류와 교분이 넓었고, 특히 김일손과는 막역한 사이였다.무오사화가 일어나자 향리에서 잡혀 올라와 같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