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권영”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4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23)
사전(395)
- 권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온(仲蘊), 호는 청은(淸隱). 한성부서윤 성원(聖源)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장령(掌令) 격(格)이고, 아버지는 상명(尙明)이며,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李...이칭별칭 자고(子高)| 우곡(愚谷)
- 우송당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영(權潁)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필사본.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에 시 198수, 권2∼4에 소(疏) 4편, 서(書) 19편, 서(序) 3편, 기(記) 2편, 발(跋) 2편, 잡저 10편, 송(頌)...
- 권영(權坽)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권영 권영 權坽 정치·행정가관료/문신 인물 한국 조선 인조~현종 이현숙 이범직 2008 자고(子高) 우곡(愚谷) 양반 남자 160...
- 蟪菌齡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B0_D_0005 蟪菌齡 세시 기타 慕齋 D_07_02_27 대동운부군옥 7권 2장 27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2장 27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權景裕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4182 權景裕 인물 從容就戮, 史官, 內庭 佔畢齋, 柳子光, 李克墩, 燕山 弔義帝文, 稡言 D_18_01_64 대동운부군옥 18권 1장 64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8권 1장 6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575)
- 권영(權寧)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1단계) | 한국국학진흥원]연월일 미상의 즉일(卽日)에 죄인 하생(下生) 권영(權寧)이 단계(端磎) 김인섭(金麟燮)(1827~1903)의 아들인 중계(中溪) 김수로(金壽老)(1859~1936)에게 보낸 편지이다. 지난번에 상대방이 흉악한 무리들에게 구타당하는 일까지 있은 일은 분하고 답답함을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대학교 박물관
- 1 第一統統首權永宅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40년_웅촌면(熊村面) 1840년 웅촌면(熊村面) 第二十六銀下里 1 第一統統首權永宅 第一戶 幼學權永宅年陸拾壹庚子本安東父學生有大祖學生命泰曾祖學生益重 外祖學生姜汝興本晋州妻김氏年陸拾貳己亥本김海父學生性寬祖學生泰興 曾祖學生愛先外祖通政大夫宋萬郁本恩津子得富年...연도_면이름1840년_웅촌면(熊村面) | 면이름웅촌면(熊村面) | 마을이름第二十六銀下里
- 8 第八統統首權永澤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891년_청양면(靑良面) 1891년 청양면(靑良面) 第十一下亭里 8 第八統統首權永澤 第一戶幼學權永澤年陸拾壹辛卯本安東父學生祥夾祖學生誠禧 曾祖學生得善外祖學生車褒福本延安妻김氏年伍拾玖癸巳本 김海父幼學榮澤祖學生成翰曾祖學生斗永外祖學生尹舜牧本 坡平婢太辰年乙未...연도_면이름1891년_청양면(靑良面) | 면이름청양면(靑良面) | 마을이름第十一下亭里
- 1844년 권영수(權永秀)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 1844년 권영수(權永秀) 시권(試券)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정치/행정-과거-시권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시권 | 현소장처대전 무수동 안동권씨 유회당 종택
구술자료(35)
- 권영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권영하 대담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E-094 1489 강원 대담조사자료 1) 권영하가 관노가면극 활동 등에 대하여 증언한 내용이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영하
- 권영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권영하 대담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E-095 3192 강원 대담조사자료 1) 권영하가 자신의 음악활동과 강릉 농악 등에 대하여 증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연희음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영하
- 권영하 대담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권영하 대담조사 ① 예술·체육 작품 현대 E-096 3490 강원 대담조사자료 1) 권영하의 음악활동과 관노놀이 지신밟기 절차에 대한 증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영하
- 권영하 대담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권영하 대담조사 ② 예술·체육 작품 현대 E-097 3491 강원 대담조사자료 1) 권영하가 문굿, 김매기, 판례 등에서 농악이 사용되었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영하
- 강릉농악 음악조사 ①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그리고 유천동 농악에 대한 증언이 담겨져 있다. 2) 음질 상 강릉농악 청춘경로잔치 화전가 관동팔경가 성주풀이 화저놀이 동고리 삼동고리 오동고리 오동벌림 권영하 농악 1989-08-07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오죽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권영하
기초학문(61)
- 수출경로의 수직적 통합에 관한 연구:내부화 모델의 적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철, 게재일 : 199601010 권영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무역학회 1996 수출경로의 수직적 통합에 관한 연구:내부화 모델의 적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유형논문 | 게재일1996
- 영파생동사의 유형과 형태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을, 게재일 : 200203693 권영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2 영파생동사의 유형과 형태구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유형논문 | 게재일2002
- 산업자본과 금융자본 관계의 국제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준03242 권영준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산업자본과 금융자본 관계의 국제비교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46088d0112460fd유형논문
-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의 형성과 변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주, 게재일 : 200502330 권영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일조각 2005 일본형 지방자치 시스템의 형성과 변용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단축어의 유형과 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권영을, 게재일 : 200302415 권영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03 단축어의 유형과 구조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5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229)
- 權永鎭(權永鎭)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永鎭(權永鎭) 서울 權永鎭 權永鎭 南米倉町市地 2 식료품 - 야채 소매 39.6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權永鎭(權永鎭)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야채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李權榮(李權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權榮(李權榮) 서울 李權榮 李權榮 益善町 23-24 연료품 - 신탄(薪炭) 소매 20.4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李權榮(李權榮) | 지역서울 | 품목연료품 | 영업종목신탄(薪炭)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權寧元(權寧元)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寧元(權寧元) 서울 權寧元 權寧元 孝子町 138 청부업 - 토목 건축 청부 73.2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權寧元(權寧元)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토목 건축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權寧植(-)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寧植(-) 원산 權寧植 - 綠町 - - 정미업, 쌀, 콩, 잡곡상 판매 14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權寧植(-)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정미업, 쌀, 콩, 잡곡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 權寧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權寧義(-) 원산 權寧義 - 本町5 - - 시계,귀금속상 판매 11 - 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權寧義(-) | 지역원산 | 품목- | 영업종목시계,귀금속상 | 자료출처元山商工人名錄, 1940년
기타자료(328)
- 권영중;權寧仲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974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210면 권영중;權寧仲 제11회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영국;權榮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6932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65면 (38) 제36회 163명(1940년 3월 졸업) 권영국;權榮國 경성의학전문학교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영운;權寧運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3343 일본 山口 山口高等學校 山口高等學校一覽 1940~1941년 n.r. 134면 권영운;權寧運 경상남도학교소재지역山口 | 학교명山口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권영괵;權寧漍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권영괵;權寧漍 경상남도 함안 소화10년 3월8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권영;李權榮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이권영;李權榮 경상남도 통영 소화11년 3월6일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마산상업고등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전재강 | 안동대학교 | 2011 | 국내 | 경북
주제어사전(22)
-
권영 / 權塋 [종교·철학/유학]
1678(숙종 4)∼? 조선 후기의 문신. 한성부서윤 권성원 증손, 할아버지는 장령 권격, 아버지는 권상명, 어머니는 좌의정 이세백의 딸이다. 1732년(영조 8)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승지, 사직을 역임하였다.
-
권경 / 權璟 [종교·철학/유학]
1604년(선조 37)∼1666년(현종 7). 조선 후기 학자. 부제학 권자홍 후손, 부친은 사복시정 권의협이다. 하담 김시양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경사자집에 두루 해박하였으며 배운 바를 반드시 실천하였다. 학문과 행실이 모두 뛰어나 인근 유림의 추앙을 받았다. 벼
-
권경유 / 權景裕 [종교·철학/유학]
?∼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문신. 권집지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권영화, 아버지는 판관 권질, 어머니는 우참찬 이승손의 딸이다. 김종직의 문인이다. 1485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 제천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중종반정 후
-
권경희 / 權景禧 [종교·철학/유학]
1451(문종 1)∼1497(연산군 3). 조선 전기의 문신. 권집지 증손, 할아버지는 권영화, 아버지는 판관 권질, 어머니는 우참찬 이승손의 딸이다. 1478년(성종 9) 친시문과에 장원하여 이듬해 되었다. 이어 수찬·공조좌랑·호조정랑을 거쳐 1485년에는 경상도진
-
증참판엄흥도사제문 / 贈參判嚴興道賜祭文 [문학/고전산문]
치제문. 강원도 영월에 귀양살이를 하던 단종이 세조에 의하여 죽자 당시 호장 엄흥도(嚴興道)가 시신을 거두어 장례를 치뤘다. 1758년(영조 34) 10월 28일 영조가 이조좌랑 권영(權潁)과 예조좌랑 이홍제(李弘濟)를 파견하여 엄흥도를 공조참판에 추증하고 치제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