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권연하” 에 대한 검색결과 9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8)

사전(5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13(순조 13)∼1896(고종 33). 조선 말기의 문신ㆍ학자. [내용]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가기(可器), 호는 이재(頤齋). 유치명(柳致明)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평생동안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
    이칭별칭 가기(可器)| 이재(?齋)
  • 모산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동완(李棟完)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1882년(고종 19) 후손 찬주(瓚周)ㆍ명주(命周)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김익수(金益銖)의 후지(後識)가 있다. 고려...
  • 만오공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롯하여 원운(原韻)을 아울러 수록한 차운시(次韻詩)가 주종을 이룬다. 서(書)는 대부분 조동순(趙東淳)ㆍ홍난섭(洪蘭燮)ㆍ서창보(徐昶輔)ㆍ() 등과 학문의 요령, 선인들의 문집간행, 조상의 산소 등에 관하여 상의하는 내용이다. 서(序)의 「이봉사일오당시...
  • 구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권성구(權聖矩)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방후손 택수(宅銖)가 편집하고 아들 제열(濟說)과 사우(士友)들이 간행하였으나 간행연대는 미상이다. 권두에 ()의 서가 있고, 권말에 김흥락(金興洛)...
  • 괴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영(金瑩)의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895년(고종 32) 저자의 후손 경연(敬淵)‧익수(益秀)‧창기(昶基)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의 서와 김회진(金晦鎭)의 발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고서·고문서(27)

  • 1884년 () 서간(書簡) [영남 자료권역센터 구축(2단계) | 한국국학진흥원]
    1884년 3월 청명일, 가 상대 숙부의 사망에 애도의 뜻을 표하고 서적 간행에 따른 부조금을 보내는 일과 관련하여 보낸 편지이다. 먼저 상대의 숙부께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신 것에 대해 애통한 심정을 전하였다. 이어서 상대의 안부를 묻고 자신은 병이 조금 나아졌...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1892년 이재(頤齋) ()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안동 오천 광산김씨 후조당
  • 侍敎生 의 追輓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
    2947 1676_01 侍敎生 의 追輓 01 문화ㆍ생활 문헌 조선 이시선 종가, 일상생활, 사회관계, 시문류, 만사 한자 고문서 SL132.JPG 侍敎生 의 追輓 輓詞 侍敎生 未詳 미상 39 ...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한국국학진흥원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 이재선생문집(頤齋先生文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 41539 B041539 대부도 大阜島 도서 경기도 承政院日記 高宗 24年 1月 14日_026 憲, 行護軍李勉宇·盧鎭衡·李進斗, 已上今加資憲, 行護軍韓致肇·蔡相淳·蔡東陽·柳惠魯·徐明淳·李夏圭·鄭羽采·李晅愚·鄭來錫·鄭東纘·韓慶衍··李寅周·李應華·尹滋久·李恒信, 已...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경기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1)

  • 조선인민군과 같은 강력한 무장력을 가지는 조선 인민을 어떠한 침략세력도 정복할 수 없을 것이며 조선 인민의 행복은 빼앗기지 않을 것이다. 동 공장 로동자들을 대표하여 김금로 씨 청년을 대표하여 씨 녀성을 대표하여 김천연 씨 등 많은 로동자 사무원들이 인민군...
    대표표제어해방일보_1951_0208_03

주제어사전(12)

  • / [종교·철학/유학]

    1813년(순조 13)∼1896년(고종 33).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유치명의 문하에서 수학, 평생동안 학문연구와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1879년에 경학으로 천거되어 선공감역을 제수받았다. 1881년 스승의 문집인 《정재문집》을 교감, 1882년 수직으로 돈령부

  • 노운집 / 老雲集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홍전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92년에 간행한 시문집. 6권 3책. 목활자본. 1892년 문인 김휘석(金輝奭)과 종손(從孫) 학유(學裕)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과 권말에 김휘준(金輝濬)과 홍종선(洪鍾善)의 발문이 있다.

  • 유암집 / 楡巖集 [종교·철학/유학]

    배유장의 시문집. 목활자본, 서:(1883) 발:송석(1888), 3권1책. 권수에 (1813~1896)의 서문, 권미에 송석의 발문이 있다. 권1에는 88제 90수의 시와 6통의 편지를 비롯하여 서 3, 기 2, 발 3, 상량문 2, 제문 9이 실려 있다

  • 팔오헌집 / 八吾軒集 [종교·철학/유학]

    김성구의 문집. 7권 4책. <규 15537> 1873년(고종 10)에 4책 8권으로 간행되었다. 문집 말미의 발문과 지에 의하면 6대손 우수와 외예 등이 집안에 보관된 유고와 사우들이 가지고 있는 글 등을 모아 엮어 간행하였다고 전한다. 그러나 규장각 소장본

  • 행당집 / 杏堂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장만걸의 시문집. 5권 2책. 목판본. 후손 장진두·장진규 등이 편집했으며, 간행 년도는 미상이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다. 권1·2에 시 110여수, 만시 29수, 권3에 소 2편, 서 27편, 권4에 서·기·설 각 1편, 제문 3편, 유사